몽골 제국의 역대 대칸 | |||||
임시 예종 툴루이 칸 | ← | 2대 태종 오고타이 칸 | → | 3대 정종 구유크 칸 |
오고타이 칸국의 역대 칸 | |||||
신규 책봉 | ← | 1대 오고타이 칸 | → | 2대 구유크 칸 |
묘호 | 태종(太宗) | |
시호 | 영문황제(英文皇帝) | |
성 | 보르지긴(ᠪᠣᠷᠵᠢᠭᠢᠨ) (孛兒只斤 / 패아지근) | |
휘 | 오고타이/우구데이(ᠥᠭᠡᠳᠡᠢ) (窩闊台 / 와할태) | |
칸호[1] | 오고타이 칸/우구데이 칸(ᠥᠭᠡᠳᠡᠢ ᠬᠠᠭᠠᠨ) (窩闊台汗 / 와할태한) | |
생몰기간 | 1186년 ~ 1241년 12월 11일 | |
재위기간 | 1229년 9월 13일 ~ 1241년 12월 11일 |
몽골어: ᠦᠭᠦᠳᠡᠢ/Өгөөдэй[2], Өгөдэй[3], Өгэдэй[4]
중국어: 窩濶台
러시아어: Угэдэй
로마자 표기: Ögödei, Ögedei[5], Ogotai, Oktay, Ogodei
한국어 표기: 우구데이[6], 오고타이
1 명칭
이 인물의 명칭은 특정 언어의 말소리를 다른 언어의 표기로 옮길 때에 나타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이유들이 작용해서, 그 결과 이름이 문헌에 따라 표기가 달라지는 경우가 많다. 특히 몽골어 /Ө/를 'ㅗ', 또는 'ㅜ'로 옮기는 경우가 많다.[7]
생몰년대: 1185~1241(재위: 1229~1241)[8]
2 생애
칭기즈 칸의 셋째 아들이자 몽골 제국 2대 대칸. 아버지 칭기즈 칸의 정복 사업을 계승해서 몽골 제국은 역사상 가장 서쪽끝[9]과 남쪽끝에 도달했다. 물론 중국, 이란, 중앙아시아도 개발살내고 다녔다. 원나라가 건국된 후 태종이라는 묘호를 받았다.
온화한 성격이었다고 하지만 반면 술을 매우 좋아해서 건강에 문제가 있기도 했다. 술 좋아하는 것도 내력인지 그의 아들 중에서 술 때문에 아비보다 일찍 죽은 자식도 있었다. 몽골 제국의 특징인 종교에 관대하다는 전통은 오고타이가 시작했다고 볼 수 있다(칭기즈 칸의 경우는 정치적 이유로 이슬람에는 혹독할 수밖에 없었다.).[10] 한 투르크인이 무슬림을 싫어하여 꿈에서 칭기즈 칸이 나타나 무슬림을 다 죽이라고 명했다고 오고타이에게 얘기했는데 오고타이는 그에게 우리 아빠는 몽골어밖에 못 하는데[11]너한테 어떻게 얘기하니?라는 말로 버로우 시켰고, 후에 중국인들이 인형극을 가지고 무슬림을 까려고 하자 무슬림중에 중국인 노예 데리고 있는 애들은 있어도 중국인중에 무슬림 노예가 있는 애들은 없더라. 그러니까 작작 좀 하지?[12]라는 말로 버로우 시켰다. 하지만 버로우시킬 뿐 죽인 인물은 없었다.[13]
보통은 칭기즈 칸이 셋째인 오고타이를 칸으로 임명하자 다 따랐다고 하지만 원조비사에서는 주치의 핏줄이 문제가 돼서 둘째인 차가타이와 대립하게 되자 그나마 조정자가 될 수 있는 셋째 오고타이를 후계자로 임명했다고 한다.[14] 칭기즈 칸은 1227년 서하 원정 중 사망했고, 칭기즈 칸의 첫째 아들 주치는 그 전에 죽었다. 칭기즈 칸 사후 2년간 막내 동생이 섭정을 했지만 1229년 쿠릴타이에서 대칸에 올랐다. 둘째 형 차가타이는 오고타이 칸을 지지했다.
말자상속제 때문에 주치와 차가타이에게는 승계권이 없었다고 알려져 있는데, 사실이 아니다. 이에 대해서는 김호동, “칭기스 칸의 자제분봉(子弟分封)에 대한 재검토 -『집사(集史)』〈천호일람(千戶一覽)〉의 분석을 중심으로-,” 《중앙아시아연구》 9(2004)를 참고하면 알 수 있다.
오고타이 칸 시절에 여기저기 안쑤시고 다닌데가 없지만 중요한 전장 중에 한 곳은 중동지역이었다. 칭기즈 칸이 자근자근 밟아놨던 호라즘 왕조의 왕자 잘랄 웃 딘이 중동 지역에 돌아와 깽판을 치고 다니자 오고타이 칸은 몽골군을 보내 중동지역을 공략하게 한다. 이 군세는 잘랄 웃 딘을 쓸어내고 캅카스 지역까지 진출하여 이 지역 국가들을 속국으로 만든다.
1230년 무렵 오고타이 칸은 금나라 전선에 집중한다. 산서성에서 툴루이와 합동작전으로 금군의 주력을 쓸어버린 뒤[15] 금나라의 수도인 개봉을 포위한다. 전황이 유리하게 흘러가자 오고타이 칸은 전선을 떠났고 이후 몽골군은 남송의 지원을 받아 1234년 금나라를 멸망시켰다.[16] 이후 남송이 개기자 1235년부터 남송을 침공하여 이후 40여년에 걸쳐져 벌어질 남송과의 전쟁을 시작한다. 요동지방의 거란족 반란군들을 진압하던 와중에 불똥이 튀어 1231년 고려를 침공한다 (여몽전쟁 참조).
남송과의 전쟁이 막 시작되는 무렵인 1236년 유럽 쪽에도 바투가 이끄는 원정군을 보냈다. 캅카스 지역과 남부 러시아 지역을 강타한 바투의 원정군은 동유럽에 나타났다. 1241년 헝가리와 폴란드 전역에서 승리를 거둔 몽골군은 오고타이 칸에게 남은 유럽 지역을 정복할 수 있는 허가를 받았다. 몽골군은 오스트리아 빈 앞까지 진출했으나 오고타이가 돌연 심장마비로 사망하자 되돌아갔다. 몽골의 전통에는 황제가 죽으면 황족이 모두 모여 그 다음 후계자를 선출해야 했기 때문이였다. 아직도 서양쪽 사가중에는 이걸 모르는 사람이 많다.
오고타이 칸은 인도 방면에도 군대를 보냈지만 일부 지역을 속국으로 두었을 뿐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17]
3 기타
《칭기즈 칸 유럽을 깨우다》의 저자 잭 웨더포드는 오고타이를 별로 안 좋아해서 그의 술주정뱅이적인 면을 더 강조했다.
원조비사의 마지막은 오고타이가 자신의 과거 행적을 돌아보는 것으로 끝나는데 자신이 잘한 것으로 군사 활동과 역참을 놓은 것, 물이 부족한 곳에 우물을 판 일등을 꼽고 자신이 잘 못한 것으로 술에 빠진 것 등을 언급했다.
야율초재의 명언은 이 오고타이와의 대화 중 나온 거라고 한다.
몽골 울란바토르의 칭기즈 칸 광장에서는 칭기즈 칸, 쿠빌라이 칸과 함께 동상으로 전시되어 있다.
3.1 창작물에서
파일:Attachment/오고타이 칸/오고타이.png |
징기스칸 4 일러스트 |
잠깐 이건 클론 얼굴이잖아 누가 좀 간지나는 PK 일러스트 좀 가져와라
징기스칸 4에도 당연히 등장. 시나리오 1에선 얼굴도 좀 순딩이(...)[18]에 능력도 정치력이 높긴 하지만(정치 88, 전투 64, 지모 69) 그렇게 뛰어나지는 않아서 대칸이 될 남자치곤 좀 심심했는데 파워업키트에 추가된 시나리오 3(늑대들의 포효)에선 대칸으로 시작해서 얼굴부터 상당히 간지나게 변한데다가 능력치도 올라가서(정치 88, 전투 71, 지모 76) 과연 2대 칸다운 위엄을 보여준다. 거기다가 시나리오3에선 몽골제국이 이미 시작부터 킹왕짱인 상태. 능력치는 다른 형제들과 달리 정치 쪽으로 치우쳐 있어서 게임에서는 노동용 유닛이나 도시의 영주(수도에서 왕비와 함께 자식농사)로 사용하게 된다.
아버지 칭기즈 칸이 다 커서도 그 자신의 어머니이자 오고타이의 할머니인 호에룬에게 벌벌 떤것처럼 오고타이도 자신의 형인 차가타이를 두려워해서 취중에도 그가 나타나면 두려워했다고 한다. 바보같이 쫄긴(...) 대칸이니 성질 더러운 구유크 같았으면 무슨 술수를 썼을테지만 오고타이는 그러지 않았다. 한번은 차가타이가 자신이 스스로 잘못했다고 벌을 받으려 하자 형제끼리 뭘 그런거 가지고 그러냐고 차가타이를 달랬다. 근데 차가타이는 기어코 스스로 벌을 받았지만...
크루세이더 킹즈 2에서는 2.4 기마 군주 DLC 이전에는 부모 및 다른 형제들과 함께 구현되어 있긴 했으나 중국과 외몽골 지역이 구현되지 않은 탓인지 칭기즈 칸 사후로 연도를 돌려 보면 차가타이가 다스리는 히바 왕국의 가신이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나(...), 기마 군주 DLC에서 카라코룸이나 돈황까지 맵이 확장됨에 따라, 이후로는 몽골 제국의 대칸으로 구현되어 있다.
- ↑ 몽골식 군주 칭호
- ↑ 몽골어 위키백과의 본문에서 사용
- ↑ 몽골어 위키백과의 표제어로 사용
- ↑ 영어 위키백과에서 몽골어 표기로 제시
- ↑ 영어 위키백과의 표제어
- ↑ 한국어 위키백과의 표제어. 'ㅜ'로 표기된 모음을 제외하고는 원래 발음에 가장 가깝다.
- ↑ 몽골어 /Ө/는 후설 원순 중모음인데 독일어나 터키어의 전설 원순 중모음인 /ö/보다 훨씬 뒤쪽에서 발음된다. 한국어의 /ㅜ/보다 입을 좀더 벌리되 그렇다고 /ㅗ/처럼 뒷쪽에서 발음하지는 않는 소리.
- ↑ 칭기즈 칸은 1227년 사망했는데 즉위년이 1229년인 것은 이 2년 동안 동생 툴루이가 섭정했기 때문이다.
- ↑ 바투의 유럽 원정
- ↑ 원래 몽골인들은 원시적인 샤머니즘을 믿었다. 이후 정복활동에서 동쪽으로 간 몽골인들(원나라)은 티벳불교를, 서쪽으로 간 몽골인들은 무슬림이 되었으나 그 이후에도 다른 종교에 매우 관대했다.
- ↑ 참고로, 당시 몽골 땅의 귀족이면 튀르크어는 기본이었다.
대칸께서 어찌 귀족 나부랭이들처럼 남의 눈치를 보겠는가! - ↑ 노예로 안 부리는게 나은거 아닌가 할 수 있지만 아예 인간 취급을 안 해줬다는 그런 얘기다.
- ↑ 오고타이 칸의 시대에는 중앙 아시아보다는 중국 정벌에 힘쓴 시대이니 만큼 중국인들을 견제하는 동시에 무슬림들을 끌어들여야 했으니 정치적으로도 볼 수 있는 일화다. 하지만 다른 몽골족 지도자들보다 온화한건 사실.
- ↑ 주치는 칭기즈칸의 장자이기는 했으나 친자가 아닌 것을 그 당시에도 모두 알고 있는 상황이었다. 칭기즈 칸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치를 후계자로 삼으려 했으나 불발된다. 차가타이는 성정이 격하고 주치와의 대립이 심했기에 칭기즈 칸은 아예 후계자감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결국 착하고 선량한 우구데이가 후계자가 된다.
- ↑ 이때 금나라의 마지막 명장중 하나인 완안진화상이 충효군이라는 군대를 조직해서 몽골군에 대항했다. 완안진화상은 처음에 도회곡이라는 곳에서 몽골군을 대파하는 등 맹위를 떨쳤으나 결국 툴루이의 계략에 말려서 한 곳으로 몰려서 최후의 결전을 벌이나 참패하고 몽골군에 자진출두한다. 그는 죽는 순간까지 당당했고 투항을 거부했다. 비록 투항을 거부했으나 그의 당당한 태도에 몽골 장수들이 모두 감탄했다고 전해진다. 사실 완안진화상이 아무리 날고 기어도 전황을 뒤집기에는 이미 역부족이었는데 왜냐하면 이미 오랜 전쟁으로 금나라의 정예 전력인 기병 전력이 모두 소진됐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기병 전력을 충원해줄 만주를 상실했기 때문에 한 번 소진되면 다시는 복구가 불가능했다. 결국 완안진화상의 충효군은 보병 위주였고 이들 만으로는 야전에서 당연히 한계가 있었다.
- ↑ 금나라가 망하고도 곽하마라는 장군이 저항했다고 한다. 곽하마는 마지막까지 싸우다가 결국 힘이 다하자 스스로 불에 들어가서 분사한다. 곽하마는 활을 매우 잘쐈다고 하며 서하와의 전쟁에서 맹활약했고 마지막 순간까지도 수백발의 화살을 쏴 적을 맞추어 몽골군 장군들이 감탄했다고 전해진다.
- ↑ 오늘날의 라호르 일대를 침공, 점령한다
- ↑ 참고로 오리지널 한정으로 이게 가상인물얼굴이다. 참고로 동생인 툴루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