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온자리

(오리온 자리에서 넘어옴)

chart_ori.gif

겨울철의 대표적인 별자리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사냥꾼 오리온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 전설에 걸맞게 오리온자리는 전갈자리에 쫓긴다고 여겨지며, 두 별자리는 같은 하늘에 나오질 않는다고 한다.[1]

0등성 2개와 1~2등성 다섯개, 기타 3등성 이하 별로 이루어진 별자리로 사계절 밤하늘 별자리를 통틀어서 가장 밝고 화려하기 때문에 동서양 모두 오랜 옛날부터 인식하고 있었다.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자리인만큼 서울 같은 대도시에서도 관측이 가능하다.

0등성은 왼쪽 위의 적색거성이자 알파성 베텔게우스(Betegeuse)와 오른쪽 아래의 하얀 별 베타성 리겔(Rigel)이다.[2] 1등성은 오른쪽 위의 벨라트릭스(Bellatrix), 알닐람(Alnilam), 알니탁(Alnitak)이며 2등성은 사이프(Saiph)와 민타카(Mintaka)이다. 여기서 알닐람-알니탁-민타카 이 세 별이 오리온의 허리띠로 알려져 있다.[3]

주 천체로는 알파성 베텔게우스(Betegeuse), 베타성 리겔(Rigel), 감마성 벨라트릭스(Bellatrix), 델타성 민타카(Mintaka), 엡실론성 알니람(Alnilam), 제타성 알니탁(Alnitak), 이오타성 하트샤(Hatsya), 카파성 사이프(Saiph), 람다성 메이사(Meissa)가 있다. 이 중 우리가 주로 알고 있는 오리온자리는 베텔게우스, 리겔, 알니람, 알니탁, 벨라트릭스, 민타카, 사이프의 일곱개 별이다.

벨트 아래쪽에는 유명한 오리온 대성운(M42)과 트라페지움이라는 사다리꼴 모양의 오리온 거시기 부근에 위치한 4개의 별을 볼 수 있으며, 맑은 날 광해가 적은 시골에서는 나안으로 오리온 대성운을 관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맨눈으로도 볼 수 있는 성운. 다만 맨눈으로는 절대 성운의 색깔 따위를 볼 수 없으니 애초에 사진에서 보는 화려한 붉은색의 성운은 기대하지 말자. 천체 사진에서 성운이 화려한 색으로 찍히는 것은 노출을 오랫동안 주거나, 혹은 적외선 촬영 따위를 한 뒤 색보정 작업을 하는 것이다. 오리온 대성운은 그래도 매우 밝아서 망원경으로 좋은 날씨에 보면 미미하게나마 색이 보인다. 단 사진에서보는 붉은 색은 가시광선 대역의 빛이 아니라 보이지 않고 약간 청록색을 띈 빛 무리로 보인다.

또한 삼태성(Orion's belt)이라 불리는 벨트의 별 3개와 그 아래쪽에 일렬로 모여 있는 3개의 희미한 별[4]에 3등성인 η별을 더한 것을 거꾸로 뒤집힌 술병에 빗대어 '술그릇 별'이라고도 부르는데, 여기에는 술을 마시고 먹튀하는 묘성을 술집주인이 쫓아가서 저놈 잡아라 간신히 서쪽 하늘에서 붙잡는다는 전설이 있다.

실제 플레이아데스는 약 3시간 정도 전에 동쪽 하늘에서 떠오르지만, 위치상 북쪽에 치우쳐 있기 때문에 술그릇 별과는 거의 동시에 서쪽 하늘에 지게 된다. 그래서 묘성이 서쪽 하늘에서 술집주인에게 체포된다는 이야기가 생긴 것.

알퐁스 도데의 소설 '별'에서는 스테파네트에게 주인공 목동이 해 준 별 이야기 속에서 '세 사람의 왕'[5]이라는 프로방스 지방 고유의 이름으로 나온다. 여기에서는 '병아리집', '밀라노의 장'과 함께 친구 별의 결혼식에 초대되었는데 성질 급한 '병아리집'이 먼저 출발했고, '세 사람의 왕'은 길을 가로질러 '병아리집'을 따라잡았지만 '밀라노의 장'은 늦잠을 자다가 뒤처진 탓에 지팡이를 던져 친구들을 불러세우려 했고 그 때문에 '세 사람의 왕'을 '밀라노 장의 지팡이'라고 부르기도 한다나 뭐라나... 원리 자체는 상기한 '술그릇 별'과 '술집 주인'의 이야기와 같은 이야기.

유명한 별자리라서 북두칠성과 함께 별자리에 별로 관심이 없는 사람들도 많이 알고 있는 별자리이다.[6] 따라서 별을 막 보기 시작하는 아마추어 천문가들이 북두칠성, 북극성과 함께 가장 먼저 찾기 시작하는 별자리이기도 하다. 하지만 너무 찾기가 쉬워(…)[7] 몇번 찾고 나면 금방 관심은 다른 별자리들로 옮겨간다. 겨울철에 남쪽 방향 하늘을 적당하게(?) 쳐다보면 쉽게 보이니까. 못찾아서 헤맬 일은 없다[8] 오리온의 허리부근의 나란히 줄 서있는 삼태성을 먼저 찾아보는 것이 키포인트. 왼쪽 위의 0등성 베텔게우스는 큰개자리시리우스, 작은개자리프로키온과 함께 겨울철의 대삼각형을 이루는 별이고, 오른쪽 아래의 0등성 리겔과 시리우스 + 프로키온 + 폴룩스(쌍둥이자리) + 카펠라(마차부자리) + 알데바란(황소자리) - 이 여섯개의 별들을 함께 이어놓으면 겨울철의 대육각형을 이루기도 한다.

파일:Orions.jpg
오리온자리와 그 주변의 천체들[9]

별자리에 입문 할때 뿐만 아니라 본격적인 천체관측을 시작할 때도 상기 언급한 오리온 대성운을 비롯해 볼게 많은 별자리. 딥스카이 천체 중에서 오리온대성운은 작은 망원경, 심지어 쌍안경으로도 성운이 뚜렷히 보인다. 암흑성운인 말머리성운이나 M78 성운도 있다. 오리온대성운에서는 별이 새로 태어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언급한 트라페지움이 바로 그것. 그리고 초신성 폭발 후의 잔해, 즉 별의 시체(...)로 추정되는 버나드 루프가 별자리 전체를 휘감고 있다. 버나드 루프는 눈으로 보기는 힘들지만 장시간 노출을 통해 사진으로 찍으면 뚜렷하게 보인다.

오리온 자리 알파성 베텔게우스의 경우 초신성으로 진화할 확률이 매우 높은 별이다. 천문학계의 의견은 이미 폭발했다고 이야기하는 학자도 있고, 폭발 직전이라고 이야기하는 학자도 있다. 다만 수천년 안에 오리온의 한 쪽 어깨가 허전해질 것이란 점에는 이견이 없다. 어차피 이 글을 읽는 여러분이 살아있는 동안에는 벌어지지 않을 것이다 일단 폭발하면 베텔게우스가 갑자기 엄청나게 밝아진 것처럼 보일테니 일종의 행운일지도. 겉보기 등급 -12 등급까지 밝아질 것이라고 예측된다. 이는 달이 가장 밝을 때의 밝기와 비슷한 정도. 낮에도 보일 것이다. 우리은하에서의 초신성 폭발은 1604년 이래 수 세기동안 없었던만큼 대사건.

종합해보면, 이처럼 밝은 별자리는 여러 모로 훌륭한 딥스카이의 이정표라서, 오리온자리 및 그 부근은 천체관측 초보자들에게도 입문하기 좋고 상급자들에게도 도전할 만한 요소가 많다. 사진으로 보면 각종 성운과 버나드 루프, 노란 베텔게우스 등 때문에 매우 화려하다.

오리온 자리 아래에서 쎄..쎆쓰!!를 하고 싶은 청년의 순수(?)를 노래한 곡이 있다.
  1. 전갈자리는 여름~가을철 남쪽하늘, 오리온 자리는 겨울철 동남쪽 하늘. 새벽시간일 수록 앞 계절의 별자리가 나온다.
  2. 오늘내일 하고 있는 베텔기우스 탓에 가장 밝은 별은 베타별인 리겔이다.
  3. 삼태성이라 말하지만 동양 별자리에서 삼태성은 큰곰자리 다리에 위치한 별 3쌍으로, 오리온자리와는 관련이 없다. 굳이 부르자면 교과서에 나오는 표현인 '세쌍둥이별'이라고 부르는 것이 더 적절하다.
  4. 이들을 소(小)삼태성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5. 상술한 알닐람-알니탁-민타카 세 별에서 붙은 이름인 듯.
  6. 북두칠성은 서양 천문학에서는 큰곰자리의 일부분이다.
  7. 농담이 아니고 북두칠성이나 카시오페이아보다도 더 찾기가 쉽다. 구성 별들이 전부 엄청나게 밝다.
  8. 아닌게 아니라 오리온 자리를 구성하는 리겔이나 베텔게우스 등은 우리 은하내에서도 희귀한 매우 큰 별들이다. 덤으로 오리온 자리 주변에는 자기보다 밝은 별이 거의 없다.
  9. 오리온자리를 반달 모양으로 감싸고 있는 붉은 구름이 버나드 루프이며 삼태성 아래쪽의 붉은 영역에는 불꽃 성운말머리 성운이, 말머리성운에서 오리온자리 알파(α)별인 베텔게우스 방향으로 1/3정도에 M78이, 소삼태성에는 M42 오리온 성운M43 드 모이란 성운, 사다리꼴 성단이, 오리온자리 베타(β)인 리겔 오른편으로는 반사성운마귀할멈 성운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