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경순양함
제2차 세계대전기의 미 해군 군함 | |||||||||||||||||||||||||||||||||||||||||||||||||||||||||||||||||||||||||||||||||||||||||||||||||||
초계함(PG) | 이리급 | ||||||||||||||||||||||||||||||||||||||||||||||||||||||||||||||||||||||||||||||||||||||||||||||||||
호위함(FF) | 타코마급 | ||||||||||||||||||||||||||||||||||||||||||||||||||||||||||||||||||||||||||||||||||||||||||||||||||
호위구축함(DE) | 에바츠급, 버클리급, 캐논급, 에드솔급, 루더로우급, 존 C. 버틀러급 | ||||||||||||||||||||||||||||||||||||||||||||||||||||||||||||||||||||||||||||||||||||||||||||||||||
구축함(DD) | 샘슨급, 칼드웰급, 웍스급, 클렘슨급, | ||||||||||||||||||||||||||||||||||||||||||||||||||||||||||||||||||||||||||||||||||||||||||||||||||
잠수함(SS) | O급, R급, S급, 바라쿠다급, 아르고노트급, 나왈급, 돌핀급, 카샬롯급, 포퍼즈급, 살몬급, 사르고급, 탬버급, 거급, 마크렐급, 가토급, 발라오급, 텐치급 | ||||||||||||||||||||||||||||||||||||||||||||||||||||||||||||||||||||||||||||||||||||||||||||||||||
경순양함(CL) | 오마하급, 브루클린급, 세인트루이스급, 애틀랜타급, 클리블랜드급, 파고급A, 주노급A, 우스터급A | ||||||||||||||||||||||||||||||||||||||||||||||||||||||||||||||||||||||||||||||||||||||||||||||||||
중순양함(CA) | 펜사콜라급, 노스햄프턴급, 포틀랜드급, 뉴올리언스급, 위치타급, 볼티모어급, 오리건시티급A, 디모인급A | ||||||||||||||||||||||||||||||||||||||||||||||||||||||||||||||||||||||||||||||||||||||||||||||||||
대형순양함(CB) | 알래스카급 | ||||||||||||||||||||||||||||||||||||||||||||||||||||||||||||||||||||||||||||||||||||||||||||||||||
순양전함(CC) | |||||||||||||||||||||||||||||||||||||||||||||||||||||||||||||||||||||||||||||||||||||||||||||||||||
전함(BB) | 와이오밍급, 뉴욕급, 네바다급, | ||||||||||||||||||||||||||||||||||||||||||||||||||||||||||||||||||||||||||||||||||||||||||||||||||
호위항공모함(CVE) | 롱 아일랜드급, 차져급, 보그급, 생가몬급, 카사블랑카급, 커먼스먼트 베이급 | ||||||||||||||||||||||||||||||||||||||||||||||||||||||||||||||||||||||||||||||||||||||||||||||||||
경항공모함(CVL) | 인디펜던스급, 사이판급 | ||||||||||||||||||||||||||||||||||||||||||||||||||||||||||||||||||||||||||||||||||||||||||||||||||
정규항공모함(CV) | 랭글리, 렉싱턴급, 레인저, 요크타운급, 와스프, 에식스급, 미드웨이급A | ||||||||||||||||||||||||||||||||||||||||||||||||||||||||||||||||||||||||||||||||||||||||||||||||||
어뢰정 | PT 보트 | ||||||||||||||||||||||||||||||||||||||||||||||||||||||||||||||||||||||||||||||||||||||||||||||||||
연습함 | 울버린급, 세이블급 | ||||||||||||||||||||||||||||||||||||||||||||||||||||||||||||||||||||||||||||||||||||||||||||||||||
※ |
{{틀:해상병기 둘러보기}}
해상병기 둘러보기 | |||
1차 세계대전 | |||
미국 | 독일 제국 | ||
러시아 제국 | 영국 | ||
2차 세계대전 | |||
미국 | 일본 제국 | ||
영국 | 나치 독일 | ||
소련 | 이탈리아 왕국 | ||
폴란드 | 프랑스 | ||
스웨덴 | 핀란드 | ||
중화민국 | 만주국 | ||
냉전 | |||
소련 | 동독 | ||
현대전 | 미국 | 일본 | |
대한민국 | 인도 | ||
중화민국 | 러시아 | ||
영국 | 중국 | ||
프랑스 | 태국 | ||
독일 | 이탈리아 | ||
스페인 | 호주 | ||
북한 |
1 제원
우스터급 경순양함 1번함 우스터 | |
배수량 | 기준배수량 13,000t, 만재배수량 17,997t |
전장 | 207.1m |
전폭 | 21.5m |
흘수선 | 7.5m |
보일러 | Westinghouse 620 psi 보일러 4기 |
주기관 | GE geared 증기터빈 4기 4축 |
출력 | 125,000hp |
속도 | 33knot (61km/h) |
항속거리 | 15knot (28km/h)로 8,000해리 (15,000km) |
승무원 | 1,560명 |
주포 | 6인치 47구경장 Mk.16 DP 2연장 양용포탑 6기 (총 12문) |
대공포 | 3inch 50구경장 Mk.27 2연장 대공포탑 11기 (총 22문) 3inch 50구경장 Mk.33 단장 대공포탑 2기 (총 2문) |
대공기관포 | 20mm 70구경장 단장 기관포좌 12기 (총 12문) |
측면장갑 | 3 ~ 5inch |
갑판장갑 | 3.5inch |
주포탑장갑 | 2 ~ 6.5inch |
바벳장갑 | 5inch |
함교장갑 | 4.5inch |
2 개요
Worcester class cruiser. 제2차 세계대전중 계획되었으나 종전후에 완성된 미국 최후의 경순양함.
디모인급 중순양함과 함께 함포무장이 주가 된 순양함의 마지막을 장식했다.
3 개발
전간기에 벌어진 일본 제국과 미국의 순양함 경쟁은 볼티모어급 중순양함과 클리블랜드급 경순양함의 건조로 인해 미국의 승리로 마무리되었다. 이들은 일본군의 동급 함선보다 우월한 무장과 강력한 장갑을 가지고 있었으며, 대공능력도 탁월했으므로 전쟁의 승리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이들 신형 중순양함과 경순양함을 기존 순양함들과 같이 전투에 투입해본 결과, 중순양함의 경우에는 주포의 발사속도가 느려서 타사파롱가 해전처럼 의외로 야간에 돌진하는 구축함을 제대로 제압하지 못해서 원거리에서 선제포격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산소어뢰공격을 받는 경우가 발생하였고, 경순양함은 주포의 속사성이 상대적으로 양호했지만 그래도 뭔가 약간 부족하다는 느낌을 받았다는 전훈이 도출되었다.
물론, 구축함같이 급수가 작은 함선을 상대하기 위해서 5인치 양용포를 많이 배치해놓았으나, 소형 어뢰정과는 달리 일본군의 대형구축함은 5인치 포탄을 몇 발 맞는 정도로는 쉽게 무력화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양패구상을 당할 수 있는 위험성이 상존했다. 원래 5인치 양용포는 38구경장이라는 중(中)포신을 가지고 있어서 대수상용으로는 50구경장 이상의 장(長)포신을 가진 동급 함포에 비해 화력이 열세하며, 그걸 빠른 재장전장치와 우월한 사격통제장치, 레이더로 메꾸는 상황이었으므로 대수상분야에 있어서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런 전훈을 바탕으로 해서 기존의 조약인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과 런던 해군 군축조약이 붕괴된 것까지 감안하여 조약의 제약을 받지 않고 성능상 최강을 추구하는 중순양함과 경순양함이 만들어졌는데, 바로 디모인급 중순양함과 우스터급 경순양함이었다.
4 특징
우스터급 경순양함은 방공경순양함인 애틀랜타급 경순양함과 기존의 포격전 중심 경순양함인 클리블랜드급 경순양함이라는 경순양함 내부의 2가지 갈래를 하나로 합치는 목적도 부여받았으므로 기존의 경순양함보다 특징이 많다.
4.1 화력
주포는 6인치 47구경장 Mk.16 양용포로 2연장 주포탑 6기로 총 12문을 보유하였다. 자동장전장치의 채택으로 기존 분당 8~10발에서 12발로 증가 되고 포각 확대와 어느 각도에서든 장전할 수 있어 6인치 함포로 양용포화가 가능해졌다. 그리고 이 주포는 기존의 5인치 양용포처럼 대공능력을 위해 대수상능력을 축소시키지 않고, 기존 함포의 대수상능력을 보유하면서 대공능력을 추가한 것이라 대공능력도 탁월했고, 대수상용의 위력은 연사가 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오히려 증대했다. 물론 2연장 주포탑 6기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과 배수량이 필요했으나, 부포로 쓰는 5인치 양용포탑이 필요없으므로 설치하지 않았기 때문에 해당 문제는 해결되었으며, 화력을 단일화하여 사격통제시 이점이 컸다.
대공포로는 3인치 50구경장 Mk.33/34 대공포를 장착했다. 하지만 초도함인 우스터에는 아직 개발이 완료되지 않아서 대부분의 대공포 장착위치를 비워놓고 20mm 기관포 6기만 장착했으며, 1949년 초 필라델피아 해군 조선소에서 20mm 기관포를 제거하고 간신히 3인치 대공포를 장착하였다. 3인치 대공포는 카미카제의 전훈을 살려서 보포스 40mm 기관포의 대체를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각 함의 중거리 방공을 분당 45발 의 발사속도로 담당했다. 우스터급 경순양함에는 2연장 방식의 Mk.33과 단장 방식의 Mk.34가 혼용되었는데, Mk.33은 좌현과 우현에 각각 5기, 함수에 1기를 장착했고, Mk.34는 함미부위 벌지 상부 양현에 각각 1기씩 장착했으므로 총 수량은 24문이었다. 그리고 근거리 방공용으로 20mm 70구경장 단장 기관포 12기를 장착했다.
그리고 이들 화력을 정확하게 적에게 맞추기 위해 주포는 Mk.13 사격관제레이더와 Mk.54 사격통제장치를, 3인치 대공포는 Mk.35 사격관제레이더와 Mk.56 사격통제장치를 보유한다. 그리고 사격관제레이더는 각 포탑마다 1기씩 총 19기가 존재했다. 그리고 화포 종류마다 사격통제장치가 존재한다. 여기에 더해서 SR2, SG6 수색레이더를 메인 마스트에, SR6 수색레이더를 후방 마스트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적의 접근을 충분히 파악할 수 있다.
4.2 방어력
설계 단계부터 애틀란타급 경순양함보다는 8,000여톤, 클리블랜드급 경순양함보다는 4,000여톤이나 배수량이 증대되었기 때문에 볼티모어급 중순양함과 비슷한 배수량까지 도달하게 되었다. 이렇게 배수량이 크게 늘어났기 때문에 이 점을 살려서 클리블랜드급 경순양함보다 주포탑 및 갑판장갑 방어가 강화되었으며 선체 구조도 튼튼해졌다. 따라서 대응방어가 가능하다. 다만 자신이 가진 주포가 속사포이므로 대응방어에서는 상정하지 않는 경우인 2발 이상의 포탄이 1곳에 맞을 가능성이 있어서 자신의 주포를 두들겨맞을 경우 안심할 수는 없다.
측면장갑은 76.2mm ~ 127mm, 갑판장갑은 최대수치가 88.9mm의 두께를 가진다. 주포탑장갑은 50.8mm ~ 165.1mm, 바벳장갑은 127mm의 장갑을 보유한다. 함교장갑은 114.3mm이다.
4.3 속력
배수량이 중순양함 수준으로 증가되었으므로 출력도 동시기의 중순양함 수준인 125,000마력이다. 디모인급 중순양함의 출력이 120,000마력인 것을 생각하면 엄청난 수준이다. 이를 통해 33노트의 속도를 달성한다.
이렇게 경순양함답지 않게 고출력을 달성한 이유는 전쟁중 대공화기와 각종 장비를 만재한 미합중국 해군의 순양함은 속력이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느렸고, 특히 개수를 통해 화기와 장비를 증설한 순양함이 그 증상이 심했다는 문제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개함방공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30노트 이상의 속도로 항진하는 항공모함의 직위방공함으로서는 호위진에서 제자리를 유지하기 힘들어진다.
5 시대의 변화
위에 언급한 특징으로 인해 우스터급 경순양함은 기존의 경순양함의 2가지 종류인 방공경순양함과 포격전용 경순양함을 성공적으로 합치는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우스터급 경순양함은 정찰 임무 수행, 구축함 전대의 기함, 방공업무등 다양한 임무수행이 가능하다. 여기에 더해서 중순양함급 배수량을 가졌으므로 연료도 많이 탑재했으며, 선체도 대형화하고 선체 길이도 늘리면서 유선형으로 잘 다듬었고 출력도 크게 향상시켰으므로 기동성과 장거리 항해능력을 동시에 충족시켰다. 그리고 주포가 양용포겸 속사포이며 대응방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대수상전과 대공전에서 모두 유리한 위치에 올라간다.
하지만 초도함이 취역한 1948년은 이미 함포 위주의 순양함이 설 자리가 없던 상태였다. 전쟁은 끝난지 오래며, 항공기도 제트기위주가 되서 속도가 너무 빨라서 대공포로 요격하기 힘들었다. 여기에 서서히 미사일까지 태동하던 시기였으니, 때를 놓친 셈이다. 그리고 선체가 너무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 흘수선을 약간 낮춘 설계를 했는데, 파도가 거칠게 치면 흔들리는 등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받기 쉽다는 지적도 있었다.
물론 주포가 속사포이므로 육지에 대해 함포사격을 하는 용도로 사용할수도 있었다. 하지만 이런 임무에는 8인치 속사포를 보유한 디모인급 중순양함이 이미 단단히 자리잡은 뒤라 이 점에서도 밀리게 된다. 그래서 원래는 10척이 건조예정이었지만 2척만 건조되었으며, 1958년에 두 척 모두 퇴역하게 된다. 하지만 아무런 일도 하지 않은 것은 아닌데, 6.25 전쟁에서 항공모함의 호위 및 지상함포지원사격을 담당하였다.
6 외부 링크
United States of America 6"/47DP (15.2 cm) Mark 16
WORCESTER light cruisers (1948-1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