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구단

(원구단에서 넘어옴)

Hwankudan.JPG
대한제국 시기 사진. 왼쪽의 기와집이 황궁우, 오른쪽의 매끈한 지붕을 올린 제단이 환구단이다.

thumb_600_1290679564cdde091.jpg
환구단의 3D 복원도.

3add114062e4c1c568abe8529dd7f46c_1434178889.74.jpg


1 개요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동 웨스틴 조선호텔 앞에 위치해 있는 대한제국의 제단(祭壇). 원구단(圓丘壇)이라고도 불린다. 원래는 거대한 규모를 가진 대한제국의 성역(聖域)으로 지정되었던 곳이었으나 일제가 1913년 호텔의 신축을 이유로 철거하게 되면서 환구단 본단(本壇)은 사실상 없어지고 대신 환구단의 상징물격인 '황궁우(皇穹宇)' 만 남게 되었으며 규모도 대거 축소되었다.

환구단은 중국의 황제가 유교의 예법에 따라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장소이다. 중국의 역대 왕조들은 자국 이외의 국가들은 모두 오랑캐로 보며 오직 자국의 군주만이 환구단을 짓고 하늘에 제사를 지낼 수 있다고 보았다. 하지만 우리나라같이 유교를 수용하고 외왕내제의 성격을 가진 나라들은 모두 환구단을 짓고 하늘에 제사 지냈다.

우리나라중국에서 유교가 전래되기 전에도 다양한 종류의 하늘에 지내는 제사가 있었다. 부여, 고구려, 백제 등 여러 왕조에서 "동맹", "수신", "영고" 등의 이름으로 불려진 제사들로 하늘에 제사지내고 오방의 신[1], 각국의 건국자들에게 제사지냈다. 신라신궁 역시 제사지낸 상대가 정확히 누구인지 논란이 있지만 천신 숭배 시설이 아니었을까 하는 설도 있다. 시간이 흘러서 유, 도, 불교가 전파되어 전통문화와 융합하면서 도교식 제사인 초제[2] 나 불교식 행사 겸 제사인 팔관회, 연등회 등이 등장하고 불교의 호법신이자 천신인 제석천와 재래 천신신앙이 결합하면서 둘을 동일시하여 제석천을 주존으로 모신 절인 제석원/제석사를 짓기도 했다. 특히 유교가 전파되면서 유교식 제사가 가장 중요하게 여겨젔고 환구단, 종묘, 사직[3]이 우리나라에 설치된다.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인 중국식 환구단은 고려 성종 때 최초로 지어졌다. 하늘의 신 "상제"와 오방의 신, 그리고 태조 왕건에게 제사지내며 기우제를 지냈다. 국왕이 즉위할 때, 왕태자를 책봉할 때도 종묘와 환구단에 제사지내 하늘과 건국자에게 이 소식을 고하였다.

몽골 전쟁과의 전쟁에서 굴복한 후, 원간섭기에 들어서며 원구단은 폐지되고 제석신앙도 위축되며, 나중에 공민왕 때 다시 부활한다. 고려가 무너지고 조선 왕조가 건국된 후 태조 이성계는 환구단 폐지를 요청하는 유학자들의 상소를 거부하고 환구단을 "원단"으로 이름만 바꾸어 계속 시행한다. 이후 환구단은 태종대에 폐지됐다가 세조대에 잠시 부활하나 다시 폐지된다. 이때부터는 소격서의 초제와 마리산 참성단의 단군제를 올릴 때 옥황상제 위패를 놓아 눈 가리고 아웅 식 천제를 지냈으나 소격서는 이단인 도교의 으사라며 지속적으로 공격받다 임란을 거치며 완전히 사라졌고, 참성단 제사도 비록 단군을 기린다는 유교적 효 이념을 내세워 완전히 사라지는 것은 면했지만 유학자들에게 잦은 공격을 당했다.

조선 후기에 고종아관파천 이후 경운궁[4]으로 환궁(還宮)하면서 본래 중국의 사신을 맞이하던 중국풍 별관인 "남별궁"을 부수고 그 자리에 몇백년 만에 다시 환구단을 짓는다.[5] 고종은 이곳에서 하늘과 땅에 제사를 지낸 후 대한 제국 황제로 즉위하게 되고, 이 때부터 환구단은 대한 제국의 자주독립과 국가평안을 기원하는 신성한 장소로 부상하게 된다.

대한제국은 기본적으로 동지(冬至)와 새해 첫 날(음력 설날)에 제천(祭天)의식을 거행하였다.

1899년에 환구단 내에 '황궁우(皇穹宇)' 를 설치하여 안에 신위판(神位版)을 봉안하였고 1902년에는 고종 황제 즉위 40년을 맞이하여 '석고단(石鼓壇)' 을 설치하였다.

1.1 일제의 환구단 철거 및 구역 축소

그러나 1910년 한일병합이 체결되고 1913년 일제가 환구단 자리에 '조선철도호텔' 을 신축한다는 조선총독부 훈령에 따라 환구단은 결국 일제에 의해 철거되어 황궁우와 석고단만을 남긴채 영역도 축소되었고, 환구단이 철거된 자리에는 조선철도호텔 건물이 들어서게 되어, 이 호텔은 해방 후인 1968년 현재의 웨스틴 조선호텔로 이어나가게 된다.

1945년 해방 이후에도 환구단은 제단(祭壇) 자체를 복원하지 못한채 황궁우와 석고단을 중심으로 그 흔적을 그대로 이어나가게 되었으며 이후 서울 도심의 발달과 도로공사 등을 거쳐 오늘까지 지금의 모습을 이어오게 되었다.

1.2 일화

지리적으로 웨스틴 조선호텔 앞에 위치해 있던 탓에 처음 방문을 했던 내외국인들이나 환구단에 대해 아는 것이 없는 사람들로부터는 조선호텔의 정원이나 부속물이 아니냐는 의문이 나돌게 될 정도로 문화재라기보다는 조선호텔의 부속물이 아닌가하는 평판들도 있었다.

웨스틴 조선호텔 앞에 위치해 있기는 하지만 엄연한 국가 문화재이자 보호시설이기 때문에 문화체육관광부 또는 문화재청서울특별시 등에서 관리감독하고 있으므로 조선호텔은 사실상 이에 대한 관리권한이 없다.

일각에서는 아예 웨스틴 조선호텔을 이전하거나 황궁우를 옮겨 역사적 고증을 통해서 환구단 본단(本壇)을 복원하자고 촉구하기도 하였다.

환구단 철거 이후에 환구단의 정문인 '환구대문' 또한 흔적도 없이 철거된 줄 알았지만 2007년 서울 강북구 우이동에 있는 시내버스 차고지에서 발견되었고 이런 영문을 모른채 버스 회사에서 아예 환구단 정문을 시내버스 출입구로 사용했다고 한다. 발견되었을 당시 현판은 존재하지 않았고 '백운문' 이라는 현판이 대신했는데 건축 방식을 조사해본 결과 환구단의 정문임이 밝혀졌다. 다행이도 우이동 시내버스 차고지에서 본래의 환구단 자리로 이전하여 2009년에 완전 복원을 하였다.

1967년 사적 제157호로 지정되었다.

2 주변시설

2.1 황궁우(皇穹宇)

파일:BpGqwmw.jpg
1899년 환구단 안에 세워진 환구단의 상징물로 팔각 3층 건물이다. 안에는 신위판들이 봉안되어 있고 천장에는 경복궁 근정전의 칠조룡(七爪龍)과 다른 팔조룡 조각이 새겨져 있다. 중국에서는 삼조룡은 백성, 사조룡은 제후, 오조룡이 황제인데 경복궁 칠조룡은 상수로 여겨지는 홀수로 오조룡보다 상급인 칠조룡인데 이는 대한 제국 황제와 황족(皇族), 황실을 상징한다. 짝수인 황궁우의 팔조룡은 팔작지붕과 더불어 어떠한 의미인지는 확실치 않다. 일제의 환구단 철거 이후에도 그대로 존치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왔다. 주변에 조선호텔 등 여러 고층 건물들이 들어서버린 위치가 위치인지라 삭막함 사이에서 홀로 아늑한 멋을 풍긴다. 서울 상공을 통해서 아래를 내려다보면 빌딩숲 속으로 아기자기하게 보여 갸륵한 느낌이 난다는 사람도 있다.

2011년 10월 3일 KBS 9시 뉴스를 통해서 황궁우에 관한 보도내용이 방송되기도 하였는데 뜻밖에도 황궁우 정원이 모래바닥으로만 되어있는 한국 전통방식이 아닌 잔디 형식의 일본식 조경으로 꾸며져 있다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논란을 일으켰다. 이것은 일제가 과거에 호텔을 짓는 목적으로 환구단 본단을 철거하고 황궁우만을 남기게 되고나서 생겼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게다가 일제가 환구단 입구 주변에 여러개 세워놓았다는 석등(石燈)도 논란대상으로 올랐으며 문화재청은 추후 일제가 세웠던 일본식 석등들을 모두 철거할 예정이라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그 밖에 일제가 남겨놓은 잔재들이 그대로 남아있는 것 뿐 아니라 팔각정 역할을 하는 황궁우 역시 미세하게 기울어져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었다. 사람들의 외면을 받게 되다보니 결국은 이꼴로...

2013년에는 일본식 정원이라고 지적받았던 잔디를 들어내고 대신 전통방식에 따라 마당을 전부 마사토로 포장했다. 그리고 석등과 가로등, 조형수 등을 철거해 변형된 모습을 바로 잡았고, 환구단 주변에 산재된 난간석, 지대석 등 석재 유물을 한 곳에 모아놓았다. 황궁우 기단의 포방전 중 노후되고 파손된 부분을 전통 전돌로 다시 까는 등 정비하고 시멘트로 채워졌던 자연석 박석 줄눈을 해체, 마사토로 줄눈을 채웠다.

다만 아직도 갈 길은 멀었는데 애초에 환구단 옆에 호텔이 있어 공간이 부족해 호텔이나 환구단 둘 중 하나를 옮기지 않는 이상 완전복원은 사실상 불가능하되 현재의 기술로 환구단 크기 정도의 건물을 옮기는 건 가능하다. 그나마 살아있는 황궁우도 내부시설 등이 고증과 많이 멀다. 일월성신의 위패도 시멘트 블럭 위에 놓여져 있는 실정.(2013년 1월 기준)

2.2 석고단(石鼓壇)

contn_img_HIS030105_03.jpg
환구단 입구에 있으며 고종 황제 즉위 40년을 기념하여 1902년 환구단에 설치되어 있는 북이다. 광화문 옆 해치를 조각한 석공의 작품이라고 한다. 이름의 뜻은 '돌로 만든 북', 즉 '돌북' 이며 제천(祭天)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어 몸체에는 화려한 용(龍)의 무늬가 새겨져 있다. 황궁우와 함께 일제의 환구단 철거 이후에도 존치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져 왔다.

2.3 환구단/본단(圜丘壇/本壇)

2009101230038051.jpg
058_wongudan.jpg
사라지기 이전 본단의 보습.

thumb_600_12906795462edecc9.jpg
3D 복원도.

환구단의 본단으로 황궁우와는 다르게 매끈한 황금색 지붕이였다. 아쉽게도 일제가 허물어 현재는 존재 하지 않는다.

2.4 그 외

파일:/100/400/16/906016.jpg
환구단 삼문. 대문으로 보이는 건물이 웨스틴 조선 호텔. 저 곳으로 내려가면 답도가 있다.
파일:/100/400/14/906014.jpg
환구단 답도. 환구단과 황궁우를 잇는 계단이었다.

국립고궁박물관에서 2015년 5월 5일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 "황제국의 상징 환구단과 환구제" 특별전을 개최한다. 환구단에서 사용하던 유물 몇 가지는 최초 공개이며, 황궁우 내부 모형도 전시된다.*
  1. 동, 서, 남, 북, 중앙의 신들. 다른 이름으로 오제(五帝)라고한다.
  2. 도교의 신과 별의 신에게 지내는 제사. 고려시대부터 조선 중기까지 존재하였다.
  3. 땅의 신과 농사의 신에게 지내는 제사와 그 제단을 의미한다.
  4. 덕수궁의 옛 이름이다.
  5. 남별궁을 부숴 환구단을 세운 이유는 더이상 중국과 사대관계를 맺지 않고 동등한 위치에 서겠다는 뜻을 나타내려 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