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구

李容九
1868 ~ 1912

1255407310.jpg
송병준과 이용구

1 소개

한국의 민족반역자이자 일진회 회장을 지냈던 친일파. 1910년 한일병합이완용 등과 함께 병합을 적극적으로 지지하였다. 경상북도 상주시 출신. 본명은 이상옥.

2 생애

1868년 경상북도 상주부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 밑에서 농사일을 지어왔다가 1890년 동학에 입교(入敎)하여 동학 교주 2세인 최시형의 교육을 받아왔다. 1894년 동학농민운동 때 동학군으로 참전하였으며 동학 교주 3세인 의암 손병희일본으로 건너갔다가 1903년 귀국하여 동학 포교(布敎) 운동을 벌였다.

2.1 친일파 그리고 민족반역자로의 변신

동학 포교활동 중 1904년 러일전쟁이 발발하면서 동학교도들이 중심이 된 진보회를 결성하였다가 친일파 송병준의 권고로 일진회와 합병하여 이 때부터 본격적으로 친일 행위를 시작하게 되었고 러일전쟁 때는 일본을 지지하기도 했다.

1905년 손병희동학천도교로 강화 및 포교하게 되면서 동학시절 옛 동지였던 손병희의 천도교에 맞서[1] 친일파 성향의 신흥종교인 시천교(侍天敎)를 창시하여 시천교 교주가 되었다. 일진회를 만들고 동 단체의 회장이 된 뒤, 일본의 극우인사 우치다 료헤이와 그의 단체 현양사의 도움으로 친일행위에 나서게 된다.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모티브로 조선과 일본이 1:1로 대등합방 하자는 생각 하에 백성들에게 일본의 사상을 전파하고 친일행위를 찬양하며 한일병합을 제창하고 고종에게까지 병합건의서를 제출하는 등 민족반역자로 변신하게 되었다.

1909년 중국 하얼빈역에서 안중근 의사에 의해 이토 히로부미가 저격을 당하게 되자 그의 장례식 당일 독립관에서 이토 히로부미 추도회를 주관해 왔다가 1910년 한일병합이 되면서 일진회가 1주일의 시한을 받게 된다. 쉽게 말해 1주일 내에 해산하라는 것. 그는 1909년 12월 일본 수상가쓰라 다로에게 합방 청원에 소요되는 비용 3백만엔을 상의했는데, 이때 가쓰라 다로는 그에게 "3백만이 아니라 3천만이라도 주겠다."라고 했다. 그러나 막상 1910년 일진회를 해산하고 나니 일본정부가 일진회에게 준 돈은 달랑 15만엔이었다. 그것도 이용구 개인에게 준 게 아니라 일진회 회원들 전체에게 준 것. 그야말로 토사구팽.

게다가 이용구는 당시 개화파 지식인들처럼 아시아주의를 진짜로 믿고 있었던것 같다(...). 이용구는 한일 양국이 1대1로 국가 연합을 하리라고 믿고있었던 모양이다. 결국 그는 일본이 준 조선귀족 작위도 거절하고 허탈함과 격분에 빠진 나머지 몸져 눕고 만다. 1912년 죽기 얼마 전 문안차 찾아온 우치다 료헤이에게 "우리는 바보짓을 했어요. 처음부터 속았던건 아니었을까요?"라고 이야기 했다고 한다. 멍청한 작자가 함부로 날뛰면 얼마나 큰 사고가 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적절한 예.[2]

2.2 사망

1911년에 일본 스마(須磨) 지방으로 건너가 요양생활을 하게 되었다가 1912년 병고(病苦)로 죽었다. 죽은 후 일왕으로부터 훈(勳) 1등 서보장(瑞寶章)을 받았다.

그의 아들인 이석규[3][4]친일파이자 일진회 고문 출신으로 아버지와 함께 이완용, 송병준을 위한 한일병합 공로자 합동 위령제를 지내는 등 친일 행위를 해 왔으며 해방 후에도 이용구 전기[5]등을 저술하였다가 1986년 일본에서 참 편하게 뒈졌다. 이 사람은 평생을 자기 아버지 이용구가 송병준의 농간 속에 이용만 당했다고 주장하였다.끼리끼리 잘 놀았는데 무슨 소리야

뭐, 그나마 아주 약간 참작할 게 있다면 죽기 직전에 자신들이 속았다는 것을 알아채고 참회하는 기색을 조금이나마 보였던 것이겠지만 역사의 평가는 냉정한 법. 지금까지도 이용구 하면 친일반민족행위자의 대명사 중 하나인 것은 자명하다.
  1. 이 당시 손병희는 이용구를 비롯한 62명의 동학 지도자에게 출교 처분을 내렸다. 쌤통이다
  2. 정작 저 말을 전한 우치다 료헤이야말로 일진회의 고문이자 이토 통감의 참모였으며, 일본의 대륙진출을 음지에서 추진하던 대륙낭인의 거두다. 우치다는 “뒷날 반드시 모든 것이 명백해질 것입니다. 오늘은 어리석은 자이지만 뒷날 반드시 현자가 될 것입니다.”라고 되도 않는 구라를 쳤다(...).
  3. 1909년 두번째 부인 이화사(李華師)사이에서 태어났다. 일본 이름이 여러가지가 있는데 大東碩奎, 大東國男, 佐藤國郞 이다. 성에서부터 알 수 있다시피 죽을 때까지 대동아 공영을 주장했다. 특히 大東國男는 '대동국의 남아'라는 뜻이다.
  4. 이 아들을 보기 전, 조카인 이현규(李顯奎)를 양자로 두었으나 이 아들을 늦둥이로 보고 바로 파양하였다.
  5. 이용구의 생애(李容九の生涯), 時事通新社, 19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