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 2/조합법

마인크래프트 주요 문서
게임 진행
관련 문서
명령어마법부여
아이템회로업적
바이옴구조물차원
진행 외
주요 문서
모드리소스팩
멀티플레이플러그인서버 구동
출시된
에디션
포켓에디션콘솔에디션
스토리 모드에듀케이션 에디션
관련 문서튜토리얼여담
커뮤니티닉네임 스킨
개발 관련기초모드
플러그인ModPE
업데이트PC 업데이트 내역PE 업데이트 내역

1 개요

이 조합법은 IndustrialCraft 2 2.2.774 버전(Experimental)에서 작성되었습니다. Experimental 이전의 버전일 경우 아래의 조합법들과 판이하게 다른 조합법들이 많기 때문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근데 아직도 클래식 버전으로 플레이하는 사람들이 있나

이후에 조합법이 바뀔 경우 기존의 조합법을 삭제하지 마시고 기존의 조합법 바로 밑에 추가해 주시면 됩니다.

1.1 참고할 사이트

  • 산업모드 위키 : [1]
  • 숨겨진 조합법 : [2][1]

2 재료

가루/주괴 등등을 제작하는 방법입니다.

  • 파일:Mc-bronze1.png 청동 가루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구리 가루, 주석 가루, 분쇄 정제된 구리 광석, 분쇄된 구리 광석이다. 딱히 저대로 맞춰야 하는 건 아니고, 분쇄된 광석이든, 분쇄 정제된 광석이든, 가루든 간에 구리 3개와 주석 1개가 들어가면 조합이 가능하다. 배치하는 위치도 상관이 없다.
  • 파일:Mc-energyum.png 에너지움 가루
    에너지 크리스탈을 만들기 위한 필수 재료이다. 3, 6, 9, 12시의 파란 가루는 다이아몬드 가루이다. 참고로 분쇄기에 다이아몬드 1개를 넣으면 다른 광물과는 달리 가루 1개만 나온다.
  • 파일:Mc-carbonfabric.png탄소 섬유
    석탄 가루 4개로 조합한다
  • 파일:Mc-carbonbundle.png탄소 뭉치
    탄소 섬유 2개로 만든다
  • 파일:Mc-carbonplate.png탄소 판
    고급 기계에 쓰인다. 고급 기계 블럭, 나노 슈트, 풍력발전기 로터 등을 제작할때 사용한다.
  • 파일:Mc-kineticrotorCarbon.png 탄소 로터 날개
  • 파일:Mc-metalblock.png 혼합 금속 주괴(Metal Block)
    가운데줄에 있는 것은 청동 판이다.
  • 파일:Mc-advalloy.png 고급 합금(Advance Alloy)
    주로 강화유리나 나노 세이버, 고급 기계 블럭, 원자로 도금판 등을 제작할때 쓰니 많이 만들어두자.
  • 파일:Mc-refinediron.png 정제된 철(Refined Iron)
    타 모드들의 강철과 호환된다. 주로 판으로 만들어 고급 기계 블럭을 만들때나 증기 터빈을 만들때 쓰인다.
  • 파일:Mc-silverpile.png (미량의) 은 가루(Silver Pile)
    산출물 중에서 가장 위의 햐안 가루이다. 분쇄한 금 가루를 가열 원심분리기에 넣고 돌리면 이 은 가루가 나온다. 이걸 모으면 유리 섬유 전선 제작이 가능하다.

3 기계

3.1 구성 요소

  • 파일:Mc-mhcasing.png 기계 케이싱(Basic Machine Casing)
    철 판 8개가 필요하다.
  • 파일:Mc-advmachine.png 고급 기계 케이싱(Advanced Machine Casing)
  • 파일:Mc-elcircuit.png 전자 회로(Electronic Circuit)
    관련 위키에는 레드스톤을 위 아래에 두고 전선을 세로로 두는 조합법도 가능하다고 되어있으나 실제로는 위 이미지대로 놓아야만 조합이 가능하다. 메카니즘모드의 기본회로와 호환된다.
  • 파일:Mc-advcircuit.png 고급 전기 회로(Advanced Circuit)
    레포르톤 크리스탈이나 퀀텀 슈트 같이 상위 티어의 기계/도구를 제작할때 쓰인다. 메카니즘의 고급 회로와 호환된다.
  • 파일:Mc-coil.png 코일(Coil)
  • 파일:Mc-elecmotor.png 전기 모터(Electronic Motor)
    위 아래에 있는 것은 주석 케이싱이다.
  • 파일:Mc-toolbox.png 공구 상자(Tool Box)
    상자를 둘러싸고 있는 것은 구리 케이싱이 아닌 청동 케이싱이다. 헷갈리지 말 것.
  • 파일:Mc-heatconduct.png 열전도체(Heat Conductor)
    HU를 생산/사용하는 기계에 쓰인다

3.2 EU 기반 생산/가공 기계

EU(Energy Unit)란 전기 에너지를 뜻하며, 아래의 기계들은 EU를 생산/이용한다.

3.2.1 EU 생산 기계

  • 파일:Mc-generator.png
    파일:Mc-generator2.png 발전기(Generator)
    첫번째 것의 가운데에 있는 것은 기계 케이싱이다. 두번째 것의 아래에 있는 것은 철 화로이다. 일부 버전에서 일반 화로+기계 케이싱을 쓰는 조합이 먹히지 않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
  • 파일:Mc-landheat.png 지열 발전기(Geothermal generator)
    가운데 열에서 가장 밑에 있는 것은 발전기(Generator)이다. 가운데 중간과 위에 있는 것은 통합 유동체 셀이 아니라 빈 셀(Empty cell)이다.
  • 파일:Mc-solar.png 태양 전지판(Solar Panel)
  • 파일:Mc-kineticgenerator.png 키네틱 발전기(Kinetic Generator)

3.2.2 EU 기반 가공 기계

3.3 HU 기반 생산/가공 기계

HU(Heat Unit)란 열에너지를 뜻하며, 아래의 기계들은 HU를 생산/이용한다.

3.3.1 HU 생산 기계

3.3.2 HU 기반 가공 기계

3.4 KU 기반 생산/가공 기계

KU(Kinetic Unit)란 운동 에너지를 뜻하며, 아래의 기계들은 KU를 생산/이용한다.

3.4.1 KU 생산 기계

3.4.2 KU 기반 가공 기계

  • 파일:Mc-turingtable.png 선삭용 선반(Turning Table)
    철제 블랭크를 변형시키는 기계이다. KU 생산기가 옆에 있어 KU를 공급해줘야 이용 가능하다.

3.5 기타 기계

3.5.1 일반

석탄/용암 등과 같은 물질만 이용하거나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는 기계의 목록이다.

3.5.2 상자/거래

3.5.3 순간이동

3.6 변압기

현재 변압장치는 비활성 상태이므로 지금은 서술하지 않습니다.
나중에 활성화 된다면 추가 바랍니다.

3.7 저장 장치

3.7.1 저장 기계

  • 파일:Mc-batbox.png 배터리 박스(Batbox)
    초반에 사용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이다. 40,000 EU의 저장량을 가지고 있다. 절연된 주석 전선, 목재 5개, RE-battery 3개가 필요하다.
  • 파일:Mc-cesu.png CES Unit(CESU세수)
    거의 안쓰이는중반에 살짝 사용되는 저장장치이다.
  • 파일:Mc-mfe.png MFE Unit(Multi-Functional Electric storage unit)
    4,000,000 EU의 저장량을 가지고 있다. 에너지 크리스탈 4개[2]가 필요하다.
  • 파일:Mc-mfsu.png MFS Unit(Multi-Functional Storage Unit)
    무려 40,000,000 EU의 저장량을 가지고 있는 저장 장치로, 레포르톤 크리스탈 6개에 MEF 1개, 즉 40개의 다이아몬드가 들어간다.

3.7.2 저장 아이템(배터리)

  • 파일:Mc-rebattery.png 충전용 건전지(RE Battery)
    10,000 EU의 저장량을 가지고 있다. 절연된 주석 전선, 주석 케이싱 4개, 레드스톤 2개가 필요하다. 양 옆의 4개는 주석 케이싱이다. 완전 방전되었다면 16개까지 쌓을 수 있지만, 조금이라도 충전이 되어있으면 쌓을 수 없다.
  • 파일:Mc-energycristal.png 에너지 크리스탈(Energy Cristal)
    1,000,000 EU의 저장량을 가지고 있다. MFE 또는 MFS에서만 충전된다. 에너지움 가루 9개를 압축기에 넣으면 1개의 에너지 크리스탈을 얻을 수 있다. 충전용 건전지와 달리 완전히 방전된 상태에서도 쌓아지지 않는다.
  • 파일:Mc-energypack.png 에너지 팩(Energy Pack)
    2,000,000 EU의 저장량을 가지고 있다.

3.8 업그레이드

  • 파일:Mc-ejuprgade.png 이젝터 업그레이드(Ejector Upgrade)
    산출물을 지시한 방향으로 내놓게 하는 업그레이드이다.
  • 파일:Mc-fluidejupgrade.png 유동체 이젝터 업그레이드(Fluid Ejector Upgrade)
    유동체를 지시한 방향으로 내놓게 하는 업그레이드이다.
  • 파일:Mc-pullingupgrade.png 풀링 업그레이드(Pulling Upgrade)
    물체를 지시한 방향에서 가져오는 업그레이드이다.
    이 아이템은 MC 1.7.10 버전에서 번역이 되지 않았다. (아마 있는지도 몰랐던 것 같다. 산업모드 위키에서도 보이지 않는다.)

4 Nuclear Reactor 관련

핵 관련 조합법은 찾기 쉽게 하기 위해 이곳에 따로 모았습니다.
능력자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4.1 기계

위의 블럭은 반응로이고, 밑의 블럭이 원자력 발전기이다.
반응로는 기계케이싱1+납 판4로 만들고, 원자로는 고급 기계 회로1+반응로3+고밀도 납 판4+화력 발전기1로 만들 수 있다.
반응로는 오로지 원자로의 바로 옆에만 설치 가능하며, 한 블럭당 원자로의 GUI를 한줄씩 늘려준다.
원래 원자로는 3*6사이즈의 GUI를 가졌지만, 6면에 반응로를 설치함으로써 9*6의 GUI를 사용할수 있다.

4.2 아이템

4.3

5 전선

5.1 일반 전선

  • 파일:Mc-GlassFibreCable.png 유리 케이블
    은가루가 필요해졌다. 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2 모드에서는 금을 원심분리하면 얻을 수 있으며, 다른 모드에 추가된 은 광석도 가능하다.
  • 파일:Mc-hvcab.png 고압 전선(HV Cable)
  • 비절연된 구리/주석/금 전선 : 위의 고압 전선과 같이 금속 변형기의 압출모드를 이용하면 된다. 또는 구리/주석/금/철 판을 커터와 같이 조합하면 만들 수 있다.

5.2 절연된 전선

5.3 기능 전선

특정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전선이다.

  • 파일:Mc-splittercable.png EU-분배 전선 (Splitter Cable)
    이 전선에 레드스톤 신호를 공급하면 전류가 흐르지 못하고, 공급하지 않으면 전류가 흐르게 된다.
  • 파일:Mc-detectorcable.png EU-감지 전선 (Detector Cable)
    레드스톤을 연결하면 전류가 흐를 때 레드스톤 신호를 내보내고,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레드스톤 신호를 내보내지 않는다.

6 도구

6.1 일반 도구

  • 파일:Mc-hammer.png 대장간 망치(Forge Hammer)
    초반에 판과 케이싱을 만들기 위한 도구이다. 80회의 사용 제한이 있으며, 80번 사용하면 사라진다.
  • 파일:Mc-cutter.png 커터(Cutter)
    판을 전선으로 만드는데 필요한 도구이다. 60회의 사용 제한이 있으며, 60번 사용하면 사라진다.
  • 파일:Mc-treetap.png 간이 추출기(treetap)
    고무나무에서 고무나무 수액을 추출하기 위한 도구이다. 17번 사용하면 사라진다.
  • 파일:Mc-wrench.png 렌치(Wrench)
    놓은 기계들을 다시 아이템화하는 도구이다. 일정 확률로 기계가 아닌 기계 케이싱(기계류의 경우)이나 일반 발전기(EU 발전기 종류의 경우)를 드롭할 가능성이 있다. 작은 파워 유닛과 조합하여 전기 렌치를 만들 때 렌치는 내구도가 하나도 달지 않은 상태여야만 한다. 렌치를 한번이라도 쓴 다음에 전기 렌치를 조합하려 하면 조합이 안 된다.
  • 파일:Mc-shaft3.png 축(철) (Shaft) 전기가 부족해 보이는건 기분탓이다
  • 파일:Mc-itb.png 철제 블랭크(Iron Turning Blank)
    다이아몬드 드릴, 채광용 레이저를 만들기 위한 필수 요소이다. 물론 이 상태의 아이템으로 다이아몬드 드릴이나 레이저의 조합은 불가능하고, Turning Table에서 Lathing Tool을 넣고 변형시켜야 조합이 가능하다.
  • 파일:Mc-lattool.png 절삭 공구(Lathing Tool)
    Turning Table에서 철제나 목제 블랭크를 깎아내기 위해 넣어줘야 하는 부품이다. 총 50의 내구도가 있으며, 선삭용 선반에서 한 번 깎기를 누를 때마다 내구도가 깎인다.
  • 파일:Mc-cutbladeiron.png 철제 절삭날(Block Cutting Blade(Iron))
    블록 절삭기에 넣어야 하는 도구이다. 절삭날의 재료에 따라 자를 수 있는 블록이 한정되어 있다. 철제 절삭날은 철보다 낮은 강도의 블록만(즉, 철 블록을 자를 수 없다) 절삭 가능하다.
  • 파일:Mc-cutbladerefiron.png 정제된 철제 절삭날(Block Cutting Blade(Refined Iron))
    정제된 철보다 낮은 이하 강도의 블록만 절삭 가능하다.
  • 파일:Mc-cutbladediamond.png 다이아몬드 절삭날(Block Cutting Blade(Diamond))
    대부분의 블록을 절삭 가능하다.

6.2 전기 도구

[3]

파일:Mc-tutabledrill.png
다음과 같이 5/4/3/2/1 로 만든 다음, 위의 그림과 같이 조합하면 다이아 드릴을 조합할 수 있다.
  • 파일:Mc-mininglaser.png 채굴용 레이저(Mining Laser)
    이것도 철제 블랭크를 변형시킨 것이 필요하다. 위의 다이아몬드와 달리,
    industrialcraft-2-2.6.86-ex110부터 선삭용 선반이 없어진다. 합금판넬로 대체하면 된다.
    파일:Mc-tthandle.png
    4/3/2/2/2로 만들어야 한다.
다이아 드릴과 채굴용 레이저는 마인크래프트 1.8용 버전의 이후에서 철제 블랭크가 빠진 기존의 조합법으로 되돌아갔다. 이것에 대해 아는 사람은 추가 바람.

7

  • 파일:Mc-emptycell.png 빈 셀(Empty cell)
    클래식 버전에서는 주석 주괴를 마름모꼴로 배열하면 빈 셀을 만들 수 있었지만 experimental 버전부터는 이와 같이 Metal Former를 통한 방법으로만 빈 셀을 만들 수 있게 되었다. 주석 판 1개당 셀 3개를 만들 수 있다.
  • 파일:Mc-lavacell.png 용암 셀(Lava cell)
    클래식 버전에서는 빈 셀을 용암이 있는 곳에 오른클릭과 함께 휘저으면 용암 셀을 쉽게 얻을 수 있었지만 experimental 버전부터는 이와 같이 용암 양동이와 함께 조합해야 용암 셀을 만들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양동이는 다시 회수된다. 용암 양동이가 겹쳐지지 않아 일일히 조합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귀찮아졌다.

8 방어구

9 건축

추가 바람

10 농업

11 폭발물

12 굴착

industrialcraft-2-2.6.86-ex110버전에서 확인됨.

고급 채굴기 (Advanced Miner)
파일:AdvancedMinerRecipe.jpg

13 테라포머(Terraformer)

14 미분류

아직 분류가 안 된 조합법입니다.

  1. IF 버전에서도 꽤 예전 버전을 기준으로 하기에 현 Experimental 시점에서는 적용되지 않는 것이 많다. 1.7.10용 버전 기준으로 저 페이지의 조합법 중 양동이, 발광석, 화약, 철로 아이템 제작법만 적용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그 중 발광석과 화약은 이미지의 조합법과 달리 레드스톤 가루가 5개 들어간다. 참고로 한번 조합으로 화약은 3개씩, 철로는 8개씩을 얻을 수 있다.
  2. 다이아몬드 16개
  3. 파일:Mc-diadrillfail.png 변형을 시키지 않고 그대로 조합을 시도 했다간 이런 조합 결과만 나올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