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

원래는 '인천대학교/제물포캠퍼스'로 문서가 만들어졌어야 하나, 현재 쓰이지 않는 캠퍼스로 추후 제물포캠퍼스가 재개발된다면 그때 별도의 하위문서로 개편 요망.

1 개요

仁川大學敎 濟物浦캠퍼스(Incheon National University Jemulpo Campus)

인천광역시 남구 도화동에 위치한 국립대학 인천대학교의 부 캠퍼스. 인천대학교가 2009학년도 2학기 송도국제도시로 옮겨가기 전, 인천대학교의 메인캠퍼스였다.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는 언덕을 올라가야 있다. 성지관은 어차피 인천전문학교가 점유하고 있으니 수업을 할 리가 없고, 제물포역에서 내려 본관이나 성리관에 가려면 이순신 동상을 지나 언덕을 올라가면 된다.

이 학교 건물의 고층은 웬만하면 올라가지 않도록 하자. 엘리베이터가 진짜 멈춘 사례가 2012년에 발생했다. 캠퍼스 죽어가는 소리 좀 안 나게 해라 엘리베이터가 멈추지는 않더라도, 덜컹대는 소리는 마치 공포영화에서나 들을 수 있는 엄청난 위압감을 준다.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의 학사일정은 2015년이 마지막이다. 사실 2015년 현재에도 1, 2, 3학년의 학사일정은 송도캠퍼스에서 진행된다. 4학년만 캠퍼스에 남아있는 것이다. 이들도 2학기가 되면 송도캠퍼스에서 수업을 받게 된다.

2 캠퍼스 구성

2.1 본관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는 구 인천전문대학 본관을 본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과거의 인천대학교 본관은 현재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에게 유상 양도된 상태다. 본관은 도서관이나 열람실 등 대부분의 기능들을 담당하고 있는데, 인천대학교의 제물포 건물이 계속 헐리면서 학생들 수가 줄었기 때문이다.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의 본관을 위성 사진으로 보면 '가운데 중(中)'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 건물 내부에는 동상이 세워져 있고 앉아서 휴식할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한다.
당시 인천대학교의 건물들이 그랬듯이, 본관의 엘리베이터는 상당히 독특한 형태를 지니고 있다. 엘리베이터들이 갈 수 있는 층계가 홀수 층계뿐이다. 계단으로 제물포캠퍼스에 올라가도, 홀수 층계로 올라가게 된다. 건물 형태의 독특한 점으로 인해 발생한 일이다.
본관은 경비원이 지키고 있으며, 사진 촬영을 엄금한다. 그러므로 본관 내부에 입장하면 사진을 찍지 않도록 하자.

2.2 성리관(인문대학원)


성리관은 인문관에 해당한다. 인천대학교 건물 중에서 꽤 고풍스러운 양식을 가졌으며, 건물 내부에 들어가면 광활한 내부가 눈에 들어온다. 그렇지만 현재 제물포캠퍼스에 등교하는 학생들이 거의 없기 때문에 건물 내부는 상당히 을씨년스럽다. 내부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인지 휴게실도 그냥 열려 있다.
보통 일반적인 대학교의 경우 방학 중에도 과 사무실이 열려 있고 최소한의 학생들이 남아 학교를 지키지만, 성리관은 그런 것 따위 없다. 그나마 불이 켜진 곳도 사람이 있는 것인지 의심스러운 곳들뿐.
성리관에도 열람실이 있으나 공사를 이유로 폐쇄되어 있다. 한편 성리관의 양 끝은 세미나실로, 거대한 크기를 갖고 있다. 성리관의 엘리베이터도 모든 층을 올라가지는 않는다. 그러나 실제로 직접 계단을 올라 보면 정상적으로 층을 올라갈 수 있다. 이 건물은 위성에서 보면 '임금 왕(王)' 자의 형태를 하고 있다.
여타 건물 중에서도 굉장히 고지대에 위치해 있다. 고지대라는 게 완만한 비탈길을 타는 느낌이 아니라 평평히 이어지다 급격히 올라가는 구조라 일부러 높인 것이 아닌가 싶을 정도다. 언덕에는 잔디와 수목이 깔려 있고 일조량이 굉장히 높아 인천대가 송도로 옮기기 전에는 '폭풍의 언덕'으로 불리며 학생들의 휴식공간겸 술처먹고 데굴데굴 굴러다니는 아비규환으로 기능하기도 했다.

2.3 성지관(인천전문학교 제물포캠퍼스)


성지관은 과거에 인천대학교 학산도서관이었다. 인천대가 비리사학이였던 선인재단을 벗어난 후 지어진 건물이라 이전 대학건물 디자인과는 큰 차이를 보였다.
캠퍼스의 다른 건물들과는 달리 정사각형의 디자인을 채택했고, 외부로 개방된 창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는 인천전문학교(ITI)가 이 건물을 사용하고 있는데, 인천대학교 평생교육원 그리고 행정대학원 총동문회와 같이 자리하고 있다.
성지관의 엘리베이터는 그 크기에 비해 적재하중이 상당히 작다. 웬만한 아파트용 엘리베이터보다도 큰 크기에 적재하중은 1000kg 즉 1ton뿐. 참고로 이 건물의 엘리베이터 문에는 시립대학 당시 로고가 새겨져 있다.
incheon.jpg
(시립대학 당시의 로고.)

2.4 복지회관


내부에 들어가 보면 건물 부지 대부분이 매점, 인쇄실, 식당으로 채워져 있다. 물론 방학 중에는 운영을 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식당의 경우 여전히 개방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 대해서는 해당 재학생 등의 조사를 바란다.

3 이전 건물들

3.1 본관(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

35375_34846_5646.jpg
(인천대학교 시절 본관 사진)

인천대학교가 송도국제도시로 옮겨간 뒤, 청운대학교가 인천대학교 부지 중 일부인 구 본관 건물과 부지 1.5만평을 사들여서 현재는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 본관으로 쓰고 있다. 물론 건물은 대대적으로 리모델링했다. 적어도 겉으로는 과거의 본관과 많이 달라져 윗동네 건물 같은고풍스러운 모습은 찾아보기 힘들게 됐다.

암튼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 이전은 부지 헐값 매각논란(677억원)과 대학을 홍성에서 이전하는 문제로 여러가지로 시끄러웠고, 교육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법제처의 산업대학 신설에 대한 유권해석으로 겨우 인전할수 있었다. 추후 인천대학교 부지의 헐값매각으로 인해서 감사원으로 부터 주의조치를 받고 인천시예산에도 불이익이 가해진것은 골룸... 그러나, 당시 인천시의 입장은 학교가 옮겨와야 주변 상권이 살아날 수 있으니 헐값매각도 어쩔수 없었다 입장이였다고..

3.2 실습관

3.3 인문사회관

3.4 공학관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 북쪽에 있던 건물로 현재는 해체되서 사라진 상태다. 공학관이 있던 땅에는 장애학생들을 위한 특수학교가 세워질 예정으로 있다.

3.5 동북아국제통상대학

%ED%95%99%EA%B3%BC%ED%83%90%EB%B0%A9%EB%8B%A8%EA%B3%BC%EB%8C%80%ED%95%99%EA%B1%B4%EB%AC%BC%EB%8B%A4%EC%8B%9C_0.jpg
인천대학교 동북아국제통상대학은 이 당시에는 인천대학교 캠퍼스와는 다소 거리가 있었다. 인천대학교보다는 차라리 선인체육관(인천체고)에 더 가까웠다. 동북아국제통상대학 건물은 신설인데다가(1998년 단과대학 설립) 입학생들은 당시 인천대학교 수준과는 매우 다른 엘리트들의 것이 될 것이었으므로, 상당히 고급스럽게 지어졌다. 2012년에 철거되어 있었으나 정확한 철거 시기가 언제인지는 알 수 없다.

3.6 선인체육관

56490320.2-56490319.2.jpg
한때는 동양최대 체육관이라고 불리던 곳으로, 지금은 인천도화도시개발사업의 권역으로 묶여 아파트 건설을 위해서 폭파 해체된 상태이다. 인천대 (구)본관-현재는 청운대 인천캠 본관- 길 건너편으로도 한참 걸어가야 했었다. 인천체고 등이 사용했지만, 원래는 인천대, 인천전문대 등도 함께 사용했던 체육관이였다.

4 주변 대중교통

도화오거리 정류장 : 인천 버스 2, 인천 버스 10, 인천 버스 13, 인천 버스 14, 인천 버스 21, 인천 버스 28, 인천 버스 62, 인천 버스 82, 인천 버스 510
제물포역 : 인천 버스 4, 인천 버스 15, 인천 버스 22, 인천 버스 23, 인천 버스 33, 인천 버스 63, 인천 버스 72[1], 인천 버스 512, 인천 버스 790, 인천 버스 9100
하늘꿈교회/서화초등학교 정류장 : 인천 버스 12, 인천 버스 13, 인천 버스 24, 인천 버스 81
제물포역 (서울 도시철도 1호선)
도화역 (서울 도시철도 1호선)

5 미래

2015학년도를 기점으로 제물포 캠의 현 시설은 쓰이지 않게 될것이다. 대학측은 제물포 캠의 활용계획을 찾고 있지만, 당장 뽀족한 활용방안은 있을수 없다.
2015031203536_1.jpg
(인천도시공사 정보)
개발후 인천대학교 제물포 캠퍼스의 넓이는 6.7만평이 되고, 주변은 청운대학교, 인천합동정부청사 및 관공서, 주거지역으로 개발될 예정이다. (옛 인천대학교 부지가 넓기는 했다는. ) 이원화 캠퍼스로 개발될수도 있고, 혹은 매각돼서 다른 지역에 캠퍼스를 매입할 수도 있으니. 미래는 두고봐야 알듯..

6 이야기거리

6.1 벙커 또는 쑥골공원

2015년 현재에는 헐려 볼 수 없지만, 2014년 초중반까지 존재했던 한 운동장이 있다. 이 운동장의 별명은 '벙커' 였는데, 그것은 운동장의 지붕이 막혀 있다는 등의 이유가 아니라 외부에서 운동장 내부를 볼 수 없었기 때문이다. 현 본관(구 인천전문대학 본관)에서 도화동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계단을 쭉 내려가면 그 운동장을 갈 수 있는데, 운동장의 사방이 높은 절벽이나 담으로 막혀 외부의 그 누구도 내부를 볼 수 없다. 그래서 도화동 시절, 이 곳에서 기합 등의 악습이 반복되곤 했다.
운동장이 되기 전에는 백인엽과 백선엽이 이 곳을 공원처럼 만들어 쑥골공원이라는 별칭이 붙기도 했다.

'벙커'는 2014년 4월과 10월 사이에 철거된 것으로 추정된다(구글 어스).
  1. 하행(수봉공원→청라국제도시)은 남중학교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