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アワ(粟)
중국어: 샤오미(小米)
영어: Foxtail millet
프랑스어: Millet des oiseaux
독일어: Kolbenhirse
학명: Setaria italica
강아지풀속이며, 엄밀히 따지면 강아지풀을 길들인 재배종이 바로 조이므로 받아들이기에 따라서는 강아지풀 맞다. 좁쌀이라고도 한다. 일부지역 방언으로는 서숙이라고도 한다..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풀로 원산지는 동부 아시아. 낱알은 좁쌀이라고 부르며, 밥에 넣어 먹으면 좁밥[1] 아주 약간 고소해진다. 곡식으로 쓰는 종류는 크게 차조와 메조로 분류된다. 낱알이 정말 작아서 거의 볼펜에 들어가는 구슬과 크기가 비슷하다.
삼국시대 고구려에서 평민들의 주식으로 사용되었던 곡식.* 북부지역은 차가운 기후 때문에 쌀농사가 잘 되지 않아 쌀은 귀족들의 차지였고, 평민들은 좁쌀밥을 먹었다.
일제강점기에 한동안 조밥이 빈민층의 주식이 되었던 적이 있는데 일본에서 쌀 부족 현상이 심화됨에 따라, 더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는 일본으로 쌀을 대량으로 수출하다보니 정작 조선에서 그 양이 부족해졌기 때문이다. 실례로 삼성의 이병철이 일제 때 조선의 쌀을 도정한 후 일본으로 수출해서 번 자본으로 삼성의 기반을 닦았다. 19세기 아일랜드와 영국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일어났었다. 쌀과 조가 아닌, 밀과 감자였던 것만 빼고.
하여튼 조밥이 주식이 된 당시의 사회상은 일제강점기를 무대로 한 소설에서도 종종 반영되는데, 대표적으로 현진건의 운수 좋은 날에서는 "조밥도 못 쳐먹는 년이 설렁탕은!"이라는 명대사가 등장한다.
일제강점기 이전에도 주식까지는 아니더라도 중요한 구황 작물이었는데, 차조의 경우 찰기가 있기 때문에 다른 곡류 없이 이것만 가지고도 밥을 지을 수 있다(강조밥이라고 한다). 물론 메조도 밥으로 만들 수는 있는데, 찰기도 없고 미칠듯이 까칠해 목으로 넘기기도 힘들어서 문제다. 이 때문에 화전으로 밭을 일구고 살아가던 화전민들은 메조만으로 밥을 지을 경우 반드시 잘 넘어가라고 미끌미끌한 도토리묵이나 청포묵 등을 곁들여서 먹었다고 한다. 경상북도 문경의 특산 음식으로 손꼽히는 묵조밥이 이 부류에 속하는데, 수확량과 식감 문제 때문에 옛날처럼 메조로만 밥을 지어내는 음식점은 드문 편이다.
벼농사 하는 농민들 입장에서는 잡초다. 보이면 뽑는다! 하긴 옛날에 조를 키울 때는 피가 잡초였고, 신석기 때 피를 키울때는 벼 등도 다 잡초였다고 카더라
물물교환의 위대함을 알려주는 좁쌀 한 톨이라는 동화도 있다.
여담으로 세종대왕께서 도량형을 정리하실 때 황해도의 좁쌀을 기준으로 잡으셨다.
중국의 업체인 샤오미는 좁쌀에서 사명을 따왔다. 좁쌀죽만 먹고 살던 시절이 있었다는듯.
국어사전에 실린 표준어 중에 '좁쌀과녁'이라는 단어도 있다. 얼굴이 매우 큰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인데, 좁쌀처럼 작은 물건을 던져도 잘 맞을 정도라고.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조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 조 뒤에는 ㅎ이 덧나기 때문에 실제로는 조밥
이나 좁밥이 아니라 조팝이 된다발음 참. 나무 중 조팝나무가 여기서 발음을 따왔다. 반면 쌀밥의 경우 이팝이라고도 하는데 이것 역시 쌀을 뜻하는 이- 뒤에 ㅎ이 덧나는 것이다. 이팝나무도 있다. 북한에서 말하는 이팝에 고깃국이 바로 쌀밥을 말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