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련 항목 : 동음이의어·다의어/ㅎ
1 불을 붙여 쏘는 불화살 화전(火箭)
이름 그대로 화살에 타르나 송진, 기름 등 가연성 물질을 달아 쏘아 불을 붙이는 화살. 흑색화약이 개발된 이후로는 화약뭉치를 달고 천이나 종이를 감은 뒤 불을 붙여 쏘는 일종의 폭탄화살로 변했으며, 이런 형태의 화전은 석류화전(石硫火箭)으로 부르기도 한다.
2 로켓 무기 화전(火箭)
말 그대로 불을 붙인 화살을 뜻하기도 하나, 중국에서 13세기 무렵 개발한 로켓 병기 체계를 뜻하기도 한다. 사실상 가장 '로켓'에 근접한 한자어.
최초의 화전은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당나라 말기인 904년 사용된 비화이며, 940년 편찬된 호령경에는 화전에 대한 상세한 묘사가 남아있고, 그외에도 송나라 초기 기록에 화전에 대한 몇몇 기록이 남아있다.
초기의 화전 중 하나인 금나라의 비화창을 보면 몽고 침입시 사용한 길이 2.4미터의 대형 로켓이다. 그러나 후대의 중국 화전들은 점점 작아지는 경향을 보이며, 최종적으로는 일반적으로 고문헌에 나오는, 한국의 소신기전보다 약간 작은 수준의 소형이 정착되어 많이 사용하였다.
명나라의 다양한 화전의 모습.* 왼쪽부터 비창전, 비도전, 비검전이다. 화살촉의 모양이 각 창검처럼 생긴 게 특징이며,[1] 이는 화전의 위력을 조금이라도 강하게 하려는 노력에서 나온 실험작들이다.
또다른 화전들의 모습.*** 하지만 가장 많이 쓰인 것은 일반 화살형태였다.
한국의 주화(走火)나 신기전(神機箭)도 이 계열 무기다. 다만 일반적인 화전은 신기전 같은 받침대가 없는 단순한 모양이었고, 이 때문에 당파에 걸쳐놓고 쏜다는 기록도 있다. 최초의 개발자에 대한 자료는 남아 있지 않으며, 화창의 화약통에서 착안하여(혹은 화창에 화약통을 실수로 거꾸로 매달아 화창이 날아가는 것을 보고) 만들었다는 설과, 화살의 사거리 향상을 위해 만들었다는 주장이 있다. 다만 화전이나 파생형이라 할 수 있는 한국의 주화, 신기전은 자체 추진력에 의존해 날아갔지 활로 쏘지는 않았다. 조선전역해전도에서 활로 신기전을 쏘는 것은 고증오류. 뭐 이 물건이 그것만 잘못된 건 아니지만...
임진왜란 이후로는 조선도 명나라와의 교류탓인지 신기전을 종종 화전이라고도 불렀다.
현대에 와서도 중국은 로켓을 한자로 火箭이라 표현한다. 이는 군용미사일이나 로켓 뿐만 아니라 우주로 쏘아올리는 이동수단으로서의 로켓도 포함한다.
여담으로 명나라때에는 적에게 날아가 한방 먹인 뒤 역추진기에 불이 옮겨붙어 아군 진영으로 돌아오도록 고안된 화전도 있었다. 당연하지만 이론만큼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금방 사라졌다.
3 火田
18세기 핀란드의 화전민들.[2]
Slash-and-Burn
산이나 숲을 불태우고 그 자리에 농사를 짓는 경작 방식. 나무를 일일이 베고 흙을 골라내는 일반적인 방식으로는 개간하는 데 너무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기에 불을 질러 화전을 일구는 것이다. 열대우림과 같은 지역에서는 영양분을 이미 수초가 흡수해버려 의외로 토지 자체는 척박해서 화전이라도 하지 않으면 농사 자체가 불가능할 때가 많아 화전을 택하기도 한다.
따로 비료를 주지 않고 불탈 때 나온 재 및 토지가 원래 가지고 있는 양분에 의존해 작물을 키우기에 지력이 빨리 소모되고, 그렇기에 화전 경작을 하는 사람들은 끝없이 옮겨다니며 새 땅을 일구어야 한다. 그래서 동남아시아의 화전민들은 자신들을 숲을 먹는 사람들이라고 부른다고.
한국에서도 과거에는 자신의 토지가 없는 농민들이 일구는 화전이 많았다. 한국전쟁 중 정부의 청야작전 때문에 많은 수가 끌려내려왔고, 그 이후에도 7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화전민이 전국 농가의 13%를 차지하고 있었을 정도로 많았으나 산림녹화사업을 진행하면서 완전히 사라졌다. 요즘 세상에 땅 만들어 농사짓겠다고 산에 불지르면 큰일난다. 요즘 농촌은 안 그래도 땅 남고, 화전 농업의 특성상 한 번 화전을 만들면 단기간에는 땅에 영양소가 풍부해져 많은 수확을 거둘지 몰라도 장기적으로는 급속도로 땅의 영양을 소비만 해서 결과적으로는 농사가 불가능한 척박지가 점점 늘어난다.
그러나 산업화가 진전되지 않고 농업의 비중이 큰 동남아시아,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등 개발도상국에는 아직도 화전이 많다. 다만 가난한 농민들만이 아니라 대규모로 농목업을 하는 농장주나 목장주, 또는 다국적기업들이 플랜테이션을 만들기 위해 의도적으로 대규모의 밀림을 불지르는 경우가 많다. 당연히 토지는 개발살나고 녹림은 사라지며 이산화탄소는 늘어만 간다(…). 환경파괴를 몇 단계는 한꺼번에 질러버리는 행위인지라 규제가 절실하지만 막을 방법이 현실적으로 거의 없는 것이 문제.
일본에는 고유한자 중 밭을 의미하는 畑가 있는데, 여기에는 한국, 중국과 달리 논농사가 주류인 특징상 밭농사 = 화전이라는 인식 때문에 만들어진 한자라는 설이 있다.[3] 참고로 일본에서 이 한자는 성씨로도 많이 사용된다.(예: 하타 코사쿠)
서브컬처 등지에서는 산 속에 숨어사는 사람들이 화전을 일구며 살아가는 설정이 많이 등장한다.
4 花煎
이 사진에서는 화전이 노릇노릇하지만 저렇게 해서는 안 된다. 아래 사진처럼 하얗고 깨끗한 것이 화전의 특징.
파일:150611.HDTV.H264.720p-WITH.mp4 003576990.jpg
한식대첩 시즌3 4화 끝장전에서의 충청남도 팀의 화전.
꽃과 찹쌀가루로 익반죽[4]하여 만든 한국 음식. 쌀가루로 전을 만들고 꽃잎으로 무늬를 박아 약한 불에서 기름에 부친다. 흔히 아는 전과는 달리 반죽과 재료를 미리 넣어 섞은 후 부치는 게 아니라 반죽을 미리 부치고 그 위에 꽃을 올린다. 또 꽃을 미리 올리면 익어버려 제 맛이 안 나므로 한 번 뒤집은 후에 꽃을 올려 뒤집지 않고 익힌다. 계절마다 꽃을 다르게 쓰는데 봄엔 진달래꽃을 주로 쓰고 가을에는 국화를 주로 쓴다. 철쭉을 썼다면? 끔살
맛은 심심한 밀가루떡에 꽃잎의 쌉싸름함이 더해진 정도로 엄청 맛있는 건 아니다. 그 철에 핀 꽃을 써서 계절감과 예쁜 색감을 즐기는 계절 별식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5 花田
꽃밭의 한자 표기.
6 花鈿
중국의 옛 화장 방식 중 하나. 낙매장(落梅粧), 화자(花子), 면화(面花), 미자(媚子)라고도 한다. 이마 가운데에 꽃 등의 그림을 그리거나 붙여서 장식하는 것이다. 남조 송무제 때 수양공주가 이마에 매화를 올려놓은 것이 시초라고 한다. 물총새 깃털, 금박, 생선 비늘, 차유화병(茶油花餠), 매미의 날개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했다. 다양한 색이 있지만 격식이 따로 있지는 않았다.
이마를 주목하자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