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시

경상북도 기초자치단체
자치군고령군군위군봉화군성주군영덕군
영양군예천군울릉군울진군의성군
청도군청송군칠곡군
자치시경산시경주시구미시김천시문경시
상주시안동시영주시영천시포항시*
밑줄은 도청 소재지 / 별표는 특례시.


聞慶市 / Mungyeong City

img_20140117085521_0961f492.jpg
리모델링 이전 문경시청의 전경. 타일로 되어있어 타일이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후 2015년 리모델링을 하여 전경이 바뀌었다. 여담으로 공사 중 다른 도시의 유리궁전과는 달리 단열에 많은 신경을 썼다고 한다. 주소는 경상북도 문경시 당교로 225(舊 모전동 220).

color-logo.png

문경시
聞慶市 / Mungyeong City
국가대한민국
면적911.17㎢
광역시도경상북도
하위 행정구역2 7 5
시간대UTC+9
인구74,985명
(2016년 7월 기준 주민등록인구)
인구밀도83.22명/㎢
시장고윤환
재선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홈페이지 페이스북 트위터

1 개요

경상북도 서북부에 위치한 . 인구 7만여 명. 옛날에는 석탄산업의 중심지였으며 문경새재가 유명하다. 시 동쪽에 예천군, 남쪽에 상주시, 서쪽에 충청북도 괴산군, 북쪽에 충주시, 제천시, 단양군이 있다.

석탄 개발이 활발하던 1960~80년대까지는 젊은층 인구도 많고 지역 전체 인구도 10만이 넘을 정도로 번성했으나 90년대 이후 폐광이 이어지면서 따라서 감소하였고 현재는 예전과 비교하면 많이 줄어든 편이다.

2 역사

문경시 행정구역 변천사
문경군
(聞慶郡, 1914)
점촌시
(店村市, 1986)
문경군
(1986)
문경시
(1995)

조선시대 문경현이었다가 1895년 안동부 문경군이 되었다. 1896년 23부 체제가 다시 13도로 개편되어 경상북도 문경군이 되었다.

1906년 예천군의 동로면과 화장면이 문경군에 편입되었고, 상주군의 산서·산남·산동·산북·영순면이 편입되었다. 1914년 용궁군의 서면, 함창군의 동면 일부를 편입하였고, 1933년 신북면이 문경면에 통합되었다. 1956년 7월 8일 호서남면이 점촌읍으로 승격하고, 1963년 1월 농암면 삼송리가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으로 편입되었다. 1973년 7월에는 문경면이 읍으로 승격하고, 가은면과 상주군 이안면 저음리를 합쳐 가은읍이 되었다. 1986년 1월 점촌읍과 문경군 호계면 별암리 일부가 합쳐져 점촌시로 승격, 분리되었고, 1989년에는 상주군 함창읍 윤직리 일부를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자로 점촌시와 문경군이 합쳐져 도농복합형의 통합시가 되었다. 1996년 산북면 거산출장소, 동로면 수평출장소를 폐지하였다.

2.1 시의 명칭에 관한 문제

문경시가 아직 군이었던 1986년에 문경군의 일부였던 점촌읍이 시로 승격되어 점촌시로 된 것이 문제의 발단이다. 과거 문경군청은 문경읍 상리에 있었으나 1949년 점촌읍으로 이전하면서 문경군의 중심지가 점촌으로 바뀌었다. 1995년 대대적인 행정구역 개편이 이루어지면서 원래 하나의 행정구역이었던 점촌시와 문경군을 통합하게 되면서 통합 시의 명칭을 문경시로 바꾸느냐 점촌시로 유지하느냐를 놓고 논란이 일었으며, 이 문제가 지역 주민들 사이의 갈등의 원인이 되었다. 상당한 진통 끝에 원래의 이름인 '문경시'로 되었지만 문경시 안에 시청이 있는 구 점촌 지역과 문경읍이 공존하는 상황이 혼란을 가져왔다.[1] 현재 점촌은 문경시 점촌동이다.[2] 문경읍에 문경시청이 없고 옛 점촌시 지역인 시내에 문경시청이 위치하게 된 것이다.[3] 현재 문경시 인근의 대부분의 교통 표지판에는 시내를 가리키는 표시로서 반드시 '점촌(문경시청)'과 '문경읍'을 명확히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보통 나오는 지도에서는 점촌 지역은 문경시청 소재지라서 문경으로 나오고 역시 문경읍도 문경이라고 나온다.

비슷한 사정을 가진 곳들로는 광양시사천시[4] 등이 있다. 다만 형태는 비슷한 함안군의 경우, 해방 직후에 가야읍으로 옮겨졌기 때문에 옛 중심지인 함안면과 군청소재지인 가야읍이 분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큰 잡음이 없는 편.

3 교통

옛날부터 문경새재는 "조령"이라고 불렸으며, 조선시대에 한양에서 영남지역을 잇던 주요 관문 중 하나였을만큼 교통의 요지였지만, 일제시대 들어 경부선이 조령이 아닌 추풍령을 지나가게 놓이게 되면서 영남의 관문을 김천에게 내어 주며 점점 듣보잡 촌동네가 되어버린 과거를 가지고 있다. 현재 철도경북선이 지나다니기는 하지만, 하루에 무궁화호가 3~4회 왕복하는게 고작. 30분마다 1대씩[5] 경기대원고속에서 운행하는 동서울터미널시외버스에 무참하게 발리고 있다. 뿐만 아니라 1시간(혹은 그 남짓) 간격으로 서울고속버스터미널까지 운행되는 고속버스도 있다. 한때 KD에서 운행하던 센트럴시티행 시외버스도 있었으나 경부선 고속버스에 밀려 폐지되었다.

주의할 것은 만약 다른 지역에서 문경시내에 가려고 한다면 버스든 기차든 '문경'행 표가 아닌 '점촌'행 표를 사야 한단 거다.[6] 기차는 어차피 문경읍 가는 건 없어지고, 문경역도 없어진 지 오래돼서….

중심지에 위치한 점촌역에서는 경북선 뿐만 아니라 문경선이 분기하고 문경선 진남역에서 가은선이 분기하고 있는 화려한 철도망을 자랑했지만 석탄산업의 사양화로 수요가 급감하다보니 현재는 주평역(점촌역에서 문경선으로 분기하면 제일 먼저 나오는 역)까지 화물열차가 운행하는 것 외에는 철도 영업을 전혀 하지 않고 있으며, 가은선은 아예 폐선되어 관광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2004년 12월 중부내륙고속도로의 개통으로 점촌함창IC문경새재IC가 오픈하면서 도로 사정은 많이 좋아졌다.[7] 그 외 3번 국도, 34번 국도, 59번 국도가 이 동네를 지나간다. 중부내륙고속도로가 개통된 이후 문경에서 서울까지 소요시간이 자가용 2시간 정도로 크게 단축되어 서울로 가는 사람이 크게 늘었다. 반대로 수도권 소재 기업들이 땅값이 저렴하면서 소요시간도 상대적으로 길지 않은 문경시로 공장을 이전하기도 하고 있다.

시내버스문경시 시내버스 항목 참조. 교통카드티머니를 이용한다.

덕분에 편의점 매출이 크게 늘었다고 카더라

4 관광

2000년대 초부터 KBS에서 투자하여 태조 왕건의 촬영장을 건설하였다. 이 덕분에 문경시의 경제가 살아나고 그후 KBS, MBC, SBS의 여러 사극에서 세트장으로 사용. 또 한국민속촌을 중심으로 조선시대로 고정되어 있던 여타의 사극계에도 삼국시대, 후삼국시대를 찍을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주어 매우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8]. 연개소문 세트장은 안자랑# 2014년에는 정도전을 촬영하였었다. 비슷한 예로 충청북도 제천시단양군이 있다. 문경새재 1관문을 지나 2관문 조금 못되는 곳에는 정조시대에 세워진것으로 추측되는 순한글 비석이 있다. 이름하여 산불됴심표석. 참고로 이 표석은 구개음화를 적용하여 '산불심'이라고 쓰고 '산불심'이라고 읽는 표석이다.

특산물로는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도 등록된 오미자가 유명하고 많이 난다. 그래서 오미자 축제를 열지만 2011년의 경우 농민들이 원하는 가격과 농협의 가격이 맞지 않아서 축제기간에 오미자 출하를 꺼려 축제에서 오미자를 싸게 사려고 왔다가 돌아가는 경우도 발생했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대구에서 유명했던 사과의 생산지가 문경까지 올라왔다. 매년 가을에 하는 사과 축제도 유명한편.

5 스포츠

과거 성남시에 있던 국군체육부대를 유치하여 2013년 9월 26일에 이전되었다. 상무 축구단은 아랫동네인 상주시에서 홈 경기를 치른다.

2015년 세계군인체육대회를 개최하게 되었다. 개최를 할 당시 문경은 10조원 이상 수익이 기대된다라고 홍보를 했지만 정작 대회 예산 지원도 제대로 되지않아 시의 부담이 가중되었고, 최근 선수촌을 카라반으로 대체하여 8백억의 세금을 아꼈다. 카라반을 대회기간동안 임대 하는 방식이며 이후 카라반은 일반인에게 판매 될 예정이다. 대회이후 모두 판매할 예정이라고 한다. 대회 최종예산은 1653억원....캐러반이 신의 한 수 였다고 카더라

3월 들어서 배우 안성기를 대회 홍보대사로 삼고 홍보에 나서고 있지만 군인대회라는 한계상 방송 지상파라도 탈 수 있을지 의문이다지상파를 탔었다. 물론 개막식만.[9] 참고로 대회는 10월 2일부터 11일까지 열렸는데 한국이 역대 최고성적 4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언론 보도도 그 어떤 것도 제대로 보도도 되지 않았고 고작 위에 서술한 캐러반 선수촌으로 예산을 아낀게 평창동계올림픽이라든지 차후 국제대회 개최지들이 참고하자는 투로 보도된 수준이었다. 10조이상 수익이라는 홍보는 그야말로 헛소리가 되었다.예상되었지

또한 정구가 유명한데 전국대회에 나가면 상을 거저 탄다고 한다. 학교별로 정구부가 있다.

6 정치

점촌시-
문경군
13대14대
신영국/초선
통일민주당
이승무/초선
무소속
문경시-
예천군
15대16대17대18대19대
황병태/재선[10]
신한국당
신영국/3선
한나라당
신국환/초선
무소속
이한성/초선
한나라당
이한성/재선
새누리당
신영국/재선
한나라당
영주시-
문경시-
예천군
20대
최교일/초선
새누리당

국회의원 선거구는 13, 14대 국회까지는 단독선거구였으나, 1996년 15대 국회부터 예천군과 공유하며 문경-예천 선거구로 되었다. 이후 인구부족으로 2016년 20대 국회부터 문경-예천 선거구가 영주시 선거구와 통폐합되었다.

경북에 위치해 보수정당 강세 지역이다. 과거 6선 의원과 국회의장을 지낸 채문식의 지역구이기도 했는데, 채문식의 리타이어 이후에는 신영국과 신국환이 세 번 붙어 15대 재보선과 16대에는 신영국, 17대에는 신국환이 승리했다. 20대 총선에선 최교일이 당선되었다.

7 하위 행정구역

문경시/행정 항목 참조.

8 출신 인물

그 외의 인물들은 이 기사를 참조.
  1. 도농통합으로 나온 시는 아니지만 파주시도 비슷한 상황이다. 여기는 파주군 시절 파주읍(당시 주내면)이 구한말에 중심지였으나, 금촌읍으로 중심지를 이전한 이후 시로 승격이 되었는데 시청이 있는 금촌동과 파주읍이 같이 존재하여 혼란을 주고있다.
  2. 경산시에도 점촌동이 있다. 이쪽은 대구한의대학교와 평산동 사이에 있다.
  3. 문경 시민 대부분과 주변 지역에 사시는 시민들은(특히 농촌 지역 분들은) 아직도 시내를 '점촌'이라 부르는 경우가 많다. 고속버스도 "서울 - 점촌"으로 표기하지 "서울 - 문경"으로 표기하지 않는다.
  4. 사천시는 도농통합 전후로 사천읍(옛 사천군의 중심지)과 삼천포시가 하도 싸우다 보니 아예 사천읍과 삼천포의 중간 지점에 시청을 세워 버렸다! 허허벌판.
  5. 주말에는 이것도 모자라 예비차까지 투입한다.
  6. 동서울터미널 홈페이지 노선 정보에서는 점촌행은 점촌, 상주로 표시되고 문경행은 문경, 가은, 농암으로 표시된다. 또한 문경읍내를 경유해서 점촌가는 시간도 있으니 확인하고 승차해야 한다. 덤으로 문경새재로 바로 갈려면 점촌행 표 보단 문경행 표를 사는걸 추천.
  7. 서울고속버스터미널에서 점촌터미널까지 176.1km, 2시간 소요. 영주(207.2km, 2시간 20분), 김천(224.1km, 2시간 40분)보다 훨씬 가깝다. 문경하고 거리와 소요시간이 비슷한 곳은 보령시, 영월군 등.
  8. 하지만 단점으로는 태조 왕건 당시 거의 처음으로 이루어진 대규모 공성전 촬영에서 실제 화염을 사용. 거기다 세트가 아닌 진짜 성을 사용한지라 (문경새재 제1관문) 왕건의 종영 직후 문경을 여행간 사람들은 이글이글 그을린 대야성(문경의 성의 정문이 대야성씬에 쓰임)의 장엄함(...)을 볼 수 있었고 덕분에 엄청난 욕을 먹음과 동시에 그 후 부근에 새로운 성을 쌓았다. 이로 인해 공성전 촬영 시 최대한 물리적 공격과 화공을 자제하게 되었고, 최근에 와서는 CG도 적절히 사용하고 있다. 한국 사극계의 흑역사 아닌 흑역사인 셈.
  9. kbs에서 중계하긴 했으나 공중파에서는 중계가 없었다....
  10. 97.12.26 의원직 상실(뇌물수수)
  11. 그런데 출생지가 인천광역시라는 말도 있다. 위키백과에는 원래 인천 출신으로 되어 있었으나, 지금은 문경 출신으로 수정되었다.
  12. 충청북도 옥천군 출신이라는 말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