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설명
조선 중기에 자체적으로 개발된 개량 조총. 성벽에 거치하여 운영하거나 개인화기로서 사용하며, 중세 말기에 등장한 전장식 소총의 일종으로 추정된다. 명칭은 사거리가 1,000보에 달한다는 감탄사로서 붙인 이름인데, 조총과 마찬가지로 과장이 있다. 다만 설계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으며, 조총으로 보느냐 총통으로 보느냐에 따라서 사거리에 대한 평가도 갈린다.
제작자는 조선 숙종 시대의 군기시[1]에서 일하던 박영준. 등장 연대는 1680~1700년으로 추정된다. 초기에는 시범적으로 설치해서 운용하다가, 이후에 영조시기에 이르러서 신형 장총에 천보총이란 이름을 갖다붙여서 조금 양산되었다고 한다. 천보총을 소개하는 서적이나 인터넷 사이트, 위키 등지엔 비거리가 최대 900보, 살상거리는 500보 정도라고 적혀있지만 허구에 가깝다. 미터법으로 환산하면 살상거리가 900m에 달하지만, 현대 소총의 살상거리를 생각해보아도 이는 허구일 가능성이 높다. 천보총이란 중세시대의 명칭을 액면가 그대로 사거리에 대입한 것이다.
초기형 천보총은 성벽에 설치하는 거치형, 신형 천보총은 장조총의 개조형으로서 개인 화기였다. 실제 운용이 이루어진 장소는 서북지방이었다. 직접적으로 전해지는 유물이 없어서,[2] 현재는 몇 가지 추측이 존재한다. 개념을 이해하자면, 조선시대에 저격총의 개념을 도입하려고 시도했던 무기체계라고 생각할 수 있다.
2 설계에 대한 추측
2.1 성벽 거치식 - 총통#s-1 개념
초기형의 경우 유물은 커녕 비슷한 설계도조차 전해지지 않아서 추측이 다양하다. 단순히 중세 시절에 나오던 초기형 전장식 소총보다는 조선시대의 총통 개념을 바탕으로 설계한 대형 조총이었을 거라는 추측도 있다. 2인 1조로 운용했다는 말도 있으나 사실은 불명. 성벽에 설치하는 방식의 운용법을 볼 때, 단순히 전장식 화승총보다는 총통의 개념으로 사용한 무기에 가깝다는 것이다. 이렇게 해석하면 사기적인 비거리도 (물론 중세적인 과장을 빼야) 어느 정도는 납득할 수 있다는 식이다.
어찌되었든 남아있는 기록으로 볼 때, 최초의 천보총은 기존 조총을 훨씬 길고 거대하게 만들어서, 일반 화승총을 저격을 위한 화기로서 업그레이드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실질적인 저격총의 개념을 조선 자체적으로 만들어낸 것이다. 다만 이는 유럽을 비롯하여 화기를 중점적으로 운용한 국가에서는 흔한 현상이었다. 이런 노력 끝에 소총이 만들어졌으니.
2.2 개인 화기 - 저격총 개념
영조 시대에 양산된 신형 천보총은 수어사[3] 윤필은이 만든 것이다. 초기형 천보총은 무겁고 거대하여 불편하지만, 약 30여년 후에 윤필은이 만든 신형 천보총은 이전과는 달리 하나의 쇠막대기처럼 가볍고 편리하다는 언급이 있다. 즉, 천보총은 숙종 시대의 2인 1조로 성벽에 설치하여 다루는 거치형 화기로 개발되었으나, 영조 시대에 양산된 장총[4] 형식의 1인 화기에 천보총이란 이름을 붙이면서 두 가지 버전이 존재하는 것이다.
이러한 1인 운용식 개념을 따르자면, 천보총은 아프가니스탄에서 사용된 "제자일(Jezail)"[5]과 매우 흡사한 무기로 생각된다. 제자일의 경우 사거리가 200~300m나 되는,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비거리를 자랑하는 실질적인 저격총으로서, 파수튠 족은 이걸로 만들어서 산악지대에 숨어서 영국군들을 괴롭혔다고 한다. 참고로 이 총은 추리소설 셜록 홈즈 시리즈의 화자인 존 왓슨 박사를 의병제대시킨 놈이기도 하다.
제자일은 인접한 티벳-인도 지역까지 전파되어서 사용되었다. 천보총의 사거리나 용도도 이와 비슷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물론 천보총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무기는 아니며, 비슷한 점 외에도 차이점이 많다.
신미양요에 참전한 미국 장교가 집에 보낸 서신을 보면 조선군의 포가 상당히 구닥다리며 어떤 것은 동료 병사의 어깨에 거치해서 쏘는 것도 있었다고 하는데, 그것이 천보총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실제로 이 당시 몇 발의 총탄이 미국 군함에 날아들어 부상자를 만들기도 했는데, 천보총이 저격용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실제 이 당시 노획된 장신의 조총이 나중에 유물로 공개되기도 했다.
2.3 구한말 의병 - 뇌관식 행장총(일반 조총)의 애칭
하지만 신형 천보총의 경우에도 많은 수가 양산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실질적으로 전해지는 유물은 없다. 구한말 의병들이 천보총으로 게릴라를 펼치며 저항했다는 기록이 있지만, 그것이 사실이더라도 대부분이 유실되거나 반출되면서 실질적으로 남아있는 유물은 없다.
덧붙여서, 구한말의 의병들이 사용한 화승총은 쉽게 구할 수 있었던 구형 화승총(행장총)[6]을 뇌관식으로 개조하고, 신형총탄을 사용하여 비거리를 늘린 것이 대부분이었다. 링크 즉, 의병들이 사용한 무기는 중세 조선군에서 개발했던 천보총이 아니다.
한마디로, 초기에는 거치형 대형조총을 가리키는 이름이 신형 장조총의 이름으로 이어지고, 나중에는 의병들이 개조한 구식 화승총에게로 옮겨가는 현상이 벌어진 것이다. 사실, 이런 용어의 혼란 자체는 흔한 현상이다. 현재에도 조선중기에 애용했던 장총(장조총)이란 단어를 소총의 민간용어로 사용하고 있는 상황으로 볼 때, 구한말의 의병들이 자신들이 개조한 화승총에다 천보총이란 개념을 빌려와서 사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3 총평
조선군에서 사용하던 천보총에 대한 기록은 1871년에 어영청에서 1기가 남아있던 것이 마지막이다. 아마도 운용상의 까다로움이나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서 사라진 것으로 해석된다.
현재는 18세기 조선에서 개발된 장조총인지 천보총인지 모를 물건의 재현품이 있다. 보면 알겠지만, 몹시 길다 이런 식으로 개량해왔으니 러시아 군대나 병자호란에서 화승총을 가진 조선군이 저격을 할 수 있었던 모양이다
덤으로, 천보총이라는 단어가 가리키는 무기는 계속해서 바뀌고 있는데, 이는 시대가 지날 때마다 천보총이란 용어를 재발굴해서 사용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4 매체에서의 등장
한성별곡에서는 전장식 소총에 가까운 신형 천보총을 등장시켰다. 하지만 이쪽은 장총이랑 별로 구분이 안 되는 형상이다. 실제로도 최근 매체에서는 천보총과 장총을 같은 개념으로 언급하고 있다. 즉, 초기 천보총이 거치형 화기였던 개념을 생략하고, 초기형 조총에서 바로 천보총=장총으로 업그레이드 되는 식으로 간략화하여, 두 가지 무기를 동일화하는 식이다.[7]
미니어쳐 게임인 Warhammer의 스케이븐이 사용하는 워프록 제자일은 2인 1조로 운용하는 거치형 무기라는 점에서, 숙종 시대의 박영준이 개발한 초기형 천보총의 크기나 운용법이 이와 비슷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현대로 따지면 군산복합체쯤 되는 국영시설.
- ↑ 엄밀히 말하면 유물은 조금 있긴 있다. 문제는 어느 게 천보총이고, 어느 게 장조총인지 현재로서는 구분이 안간다는 게 문제. 단순히 총신 길이가 좀 긴 장조총은 더 이전부터 있었다.
- ↑ 남한산성을 관리하는 기관인 수어청의 장관.
- ↑ 장조총. 조총의 조선판 개조버전 중 하나. 천보총보다 이전에 개발되었으며, 이 둘은 별개의 무기체계로서 확실하게 언급된다. 당연히 장총은 1인이 운용하는 개인화기였다.
참고로 성능 자체는 흔한 전장식 화승총참고로, 장총은 조선 중기부터 상당량이 양산되어서 보급되었다. 현대에 들어서도 장총은 한국에서 소총을 지칭할 때 흔히 사용할 정도로 널리 퍼진 개념이다. - ↑ 아프간의 파슈툰 족이 영국군의 브라운 베스를 노획해서 개조한 소총이다.
- ↑ 보병용 조총. 임진왜란에서 사용된 그거 맞다.
- ↑ 등장인물들의 업적을 띄워주기 위해서 이런 방식을 쓰는 경우가 많다. 주로 영조, 정조. 당연하지만 이들 이전에도 조선의 조총이나 화포는 지속적으로 개량되어 왔다. 본 항목에서 천보총과 함께 여러번 언급된 장총이 대표적인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