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이스타 톰슨

토이스타의 제품 목록
소총토이스타 M4A1토이스타 AK토이스타 K1A토이스타 K2토이스타 M1 카빈
토이스타 M14 RIS토이스타 SA80A2토이스타 M16A2토이스타 M16A4토이스타 M16A3
서브머신건토이스타 톰슨토이스타 우지 SMG토이스타 K7
권총토이스타 콜트 M1911A1토이스타 토카레프토이스타 발터 P22토이스타 발터 P38토이스타 글록26
토이스타 글록17

1 개요

토이스타가 생산하는 톰슨 기관단총에어소프트건.
에어 코킹식이며 시카고 마피아의 상징이 되어버린 드럼탄창형 민수용 톰슨과 미군에서 개량해 사용한 M1928A1(톰슨 밀리터리)의 두 가지 버전 모두 판매되고 있다. 다만 M1/M1A1타입은 아니라 그보다 먼저 양산되던 계열이다. M1/M1A1자체가 M1928을 더 싸고 더 빨리 뽑을 수 있게 고친 전시 간이형이다.

2 설명

원본은 일본의 Ls社 이다. 초기에 발매 되었을때는 조립형으로 발매 되었다.참고로 조립형은 만드는 재미와 희소성,수집용에 중점을 보고 사는것이 아니라면 그다지 추천하지 않는다. 단순히 사격용을 목적으로 사는 거라면 완성형이면 충분하다.

바리에이션으로 펌프액션 버전과 미니톰슨이라는 제품도 있었으나 밀리터리 모델과 드럼모델에 비해서 인지도가 낮은 탓에
2005년도에 단종 되었다. 모두 실총에는 존재하지 않는 모델이다.
펌프액션 버전의 특징이 있자면 핀을 빼서 그립을 접을 수 있고, 박스탄창을 총열 맡에 끼워서 보관할 수 있다. 또 접이식 스톡도 있다.
미니버전의 특징은 스텐처럼 탄창을 옆으로 꺾는 것이 가능하다.

토이스타 톰슨도 M4A1과 마찬가지로 신/구 버전이 있는데 개머리판의 나사 구멍이 있으면 구 버전이고, 없으면 신 버전이라고 한다. [1]

또한 소염기의 경우에는 별도 판매하는 메탈 소염기로 바꿔 끼울 수가 있다. (M4A1 계열이나 K-1,K-2도 마찬가지) 그리고 메탈 장전바가 있는데, 언제부턴가 둘 다 구하기 어려워졌다. 특히 메탈 소염기의 경우에는 재생산 계획이 없다. ...왜?

토이스타 톰슨의 존재로 전국, 더 나아가 전세계의 2차대전 미군덕후들은 희귀한 마루이 전동건이나 아예 나오지도 않는 M1개런드, 역시 레어하고 값 비싼 M1카빈, 말이 필요없는 초 레어템인 B.A.R.(그런데 이놈은 홍콩에서는 개런드나 카빈 보다도 훨씬 널렸다. 그것도 전동 풀메+나무가 우리나라 미니미 판매가격의 2/1에... 직구하면 45만 정도의 미니미보다도 싸게 들여올수 있다.(...)), .30 기관총등을 구하지 않더라도 싼 값에 미군화기 수요를 충족할 수 있을 듯... 미 해병대나 극초기 미군 아니면 재현을 하기 힘들어 별로 쓸 일 없다고 알려져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실존인물인 밴드오브 브라더스의 로널드 스피어스 중위도 실제론 바로 이모델을 사용하였다. 상식적으로 개량형이 나왔다고 전에 나온모델을 전시상황에 사용안할 이유가 없다. 군대는 뭐든 마르고 닳도록 사용하니까

매니악함 때문인지 오프라인 매장에서는 찾아보기 힘들다. 조준하기가 어렵고, 장전바가 플라스틱이며, 홉업이 고정홉업인지라 토이스타 M4A1에 비하면 실용성이 떨어진다(M4A1의 경우에는 장전 손잡이가 금속제다. 그리고 메탈 소염기도 나온다.)는 점이 구매 메리트를 떨어뜨린 듯하다.

가끔 값싸게 톰슨 전동건을 만들려는 용자들이 이 물건을 사서 마개조한다는 이야기가 있다. 몰라 뭐야 그거 무서워...

2011년에 ver.3가 나왔는데, 탄창이 전동건과 유사한 방식으로 바뀌고 무려 가변홉업으로 업그레이드 되었다! 이제 마개조가 더더욱 쉬워졌다

우리나라에 몇 안되는 2차세계대전 기관단총이라서[2]] 인기가 많을것 같지만 일단 사본사람들의 리뷰에 의하면 성능은 정말 믿을게 못된다고 한다.[3]

핸드가드부분이 정말 연약하게 생긴데다 [4] 장전바가 위에있어 게임용으로도 부적합한데 당기기 쉬운것도 아니라서 아무리 봐도 게임용으로 쓰기엔 무리가 있다.

다른 문제로는 방아쇠압이 지나치게 약하다는 것. 장전하고 방아쇠에 손가락을 살짝 얹기만 해도 발사되기 때문에 오발에 취약하다.
  1. 사실 본래 조립형 이였을 때는 접착제로 고정하는 양면 접합식으로 나사구멍이 없었으나 완성형으로 발매할때 생산의 용이성 때문에 나사고정식 으로 생산방식을 바꿨다가 미관상의 문제로 조립형의 접착제 고정방식을 다시 사용한 것이다. 고정핀에 접착제를 발라서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고정핀의 면적이 넓은데다가 타이트하게 고정되고 접착제 소제도 플라스틱을 녹여서 붙이는 소재를 사용해서 꾀 단단히 붙으므로 튼튼하다.
  2. 일단 권총은 3이 다 갖춰져 있고 가끔 레어템으로 아카데미 루거도 있지만 2차대전 소총이나 기관단총 에어코킹건은 국내에서 구하기 매우 힘들다. 기껏해야 거지같은 3단 플라바렐토이스타 수입 Kar98정도
  3. 극초기엔 홉업이랍시고 장착된 부품이 제기능을 못했으나 2004년도 출시분 부터는 홉업이 좋아졌다. 대중적이지 못한데다가 사용하기 불편한 탓에 사용되지 않았을 뿐이다.
  4. 토이스타는 항상 총기 내구도를 살짝 모자라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 토이스타 아연합금이랑 아카데미 플라스틱이 싸우면 아카데미 플라스틱이 이긴다 카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