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라이아웃

1 사전적 의미

tryout, 적성시험, 선수 선발 테스트, 시험공연을 뜻한다.조커가 좋아한다

2 스포츠의 트라이아웃

말 그대로 순수하게 선수의 기량을 직접 보고 뽑는다는 의미다. 입사시험과 동일한 뜻.

철저하게 자유 계약 위주로 돌아가는 유럽 축구 리그에서는 프로 구단 입단 시 테스트를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면 MLB와 같은 미국식 폐쇄형 리그에서 입단 테스트를 받는다는 것은 상당히 굴욕적인 의미다. 애초에 구단측에서 "당신은 우리가 분석하지 않은 듣보잡선수라 직접 확인해야겠습니다."라는 뜻이기 때문. 이 때문에 해외진출 계약을 가다가도 실패하는 케이스가 제법 있다.

2.1 한국 프로리그의 외국인 선발제도

한국 프로리그의 외국인 선수를 선발하는 과정에서 구단이 각각 독자적으로 선수와 접촉해 계약하는 자유계약자가 아닌 해당 리그에 참가를 원하는 외국인 선수들을 한자리에 모아놓고 드래프트형식으로 선별하고 계약하는 것.

외국인 선수들을 한자리에 모아놓고 워크아웃을 한뒤 드래프트를 거쳐서 계약하게 된다.

2.1.1 도입 이유

단 두 가지 밖에 없다. 국내선수들과의 기량차이 보정, 과도한 지출 줄이기.

현재 이 제도를 유지하는 종목이 농구와 배구에 불과한데, 이 두 종목이 상대적으로 하드웨어가 기량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

2.1.1.1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점

리그 출범때부터 트라이아웃으로 외국인 선수를 선발했던 역사깊은 KBL만 보면 트라이아웃제도의 문제점과 현실이 보인다.

첫째, 국내선수의 발전과 외국인 선수의 수준 낮추기는 별개라는 것.
외국인 선수항목에서 KBL을 한줄요약하는 글귀나, 현재 V리그 여자배구, 특히 헤일리 스펠만을 봐도 트라이아웃으로 외국인 선수의 수준을 낮춘다고 감독들이 몰빵을 하지 않는다는건 새빨간 거짓말이라는 사실이 드러난다. 애초에 농구나 배구처럼 한 선수가 많은 점유율을 차지하는 구기종목은 당연히 효율문제로 잘하는 선수에게 몰빵하는 것이 쉽고 간단한 승리법이기 때문.

둘째, 결국 기량정체는 볼거리 감소로 이어지는 것.
자기 팀이나 좋아하는 구단,스포츠의 미래를 걱정하는 소수 기우에 찬팬들을 제외하면 대다수의 한국 농구 시청자들은 외국인 선수가 국내리그를 초토화하건 말건 별 관심이 없다. 이기려면 외국인 선수가 잘하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거나, 인종차이는 어쩔수 없다고 생각하거나, 그동안 국내파들은 뭐했냐등 반응은 다양하다. 그래서 지금의 수준낮은 용병들의 기량보다는 단테 존스, 마커스 힉스, 피트 마이클등 압도적인 용병의 퍼포먼스와 볼거리를 오히려 그리워하기도 한다. 대다수의 팬들은 어차피 응원하는 구단이 쓰는돈 내돈 아닌데 잘하는 용병에게 수백만달러씩 쓰는걸 단돈 1원도 아까워하지 않는다. 특히 일부 프로야구 팬들이 프로야구 수준 저하를 이유로 외국인 선수 TO확대를 주장하면서 선수협이 반대해서 안된다라는 논리를 주장하는데, 사실 외국인 선수 확대를 부담스러워하는 쪽은 한명 늘때마다 수억, 많게는 10억 이상이 깨지는 구단쪽이다.

셋째, 돈은 돈대로 쓰고 실패의 부담이 너무 큰 것.
트라이아웃을 하면 용병의 몸값을 줄일 수 있다라는 명제가 사실 그렇게 논리적이진 않다. 애초에 트라이아웃은 외국인 선수가 참가 신청을 해야 의미가 있는 것이며 얼마든지 탬퍼링이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 '크리스 윌리엄스 트라이아웃 뒷돈 논란으로 퇴출' 기사[1] 리그 사무국이 완전히 구단을 배제하고 선수를 모집하지 않는한 우수한 외국인 선수가 몰래 구단과 접촉해서 자신을 뽑는 대신 뒷돈을 요구하면 들어줄 구단은 들어준다. 이 뒷돈 문제는 근본적으로 자유계약제도와는 별반 차이가 없다. 이는 철저하게 사무국과 구단의 의지가 달린 문제. 또한 트라이아웃제다보니 한번 용병이 실패하면 나머지 참가 선수 중에서 찾아야 하기 때문에 한시즌을 용병농사에 올인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제도를 이용해 당사 선수나 구단을 엿먹이는 소재로 쓰인다.
16-17시즌을 앞두고 kbl에서 벌인 트로이 길렌워터가 신청서를 냈는데 15-16시즌 당시 노답 판정에 항의했다는 점을 구실삼아 괴씸죄 참여를 막아버린 갑질, V-리그 남자부 최초 트라이 아웃에서는 우카, 김밥 등 하위권 팀들이 옥저, 현캐 등 상위권 팀들이 원하는 선수를 못 오게 막으려는 행태 등을 통해 외국인 수급 방법을 제약해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제도를 마개조함으로써 팬들에게 싸고 좋은 외인선수들을 데려와 리그를 운영하니 찾아 달라고 하긴 커녕 팬 떨어져 나가라고 시위를 하는 격이 된다.
자유계약이라면 그 제약 사유가 없기에 이런 논란이 없으니 힘 낭비를 할 여지가 없어진다.

이때문에 KBL도 몇번이나 트라이아웃제와 자유계약제도를 오갔다.

2.1.2 한국프로농구의 사례

외국인 선수#s-4 항목 참조.

2.1.3 한국프로배구의 사례

IMG_0206.JPG
2015-16시즌 트라이아웃 현장.

그동안 자유계약제를 유지하다가 15-16년부터 한국배구연맹은 크게 3가지 이유로 트라이아웃 제도를 만들었다.

  • 몰빵배구로 인해 국내배구의 수준이 낮아지고 있다.
  • 용병들의 과도한 몸값을 줄여야 한다.
  • 줄어든 비용으로 유소년 육성에 투자한다.

이처럼 제한을 둬서 기량이 한 수 떨어지는 용병을 데려오면 용병들의 점유율을 낮출 수 있고, 국내선수들을 활용하면서 한국배구가 발전할 것이라는 기대를 한 것. 그리하여 15-16시즌부터 #팀당 선택 인원은 1명. #트라이아웃 대상은 전미대학체육협회(NCAA)에 등록된 4학년 졸업예정자 또는 졸업한지 3년 미만의 선수. 라는 기준으로 미국 애너하임에서 트라이아웃 참가자들을 테스트해서 총 6명을 선정했다. 연봉또한 12만달러에서 15만달러로 제한했다. 국적 제한은 그 어느 나라에서도 없다

2.1.3.1 현장의 실상

일단 용병들의 점유율은 떨어졌다. 지난시즌 외국인들의 평균 점유율은 47.5%였지만 15-16시즌 전반기 새로운 용병들의 평균 점유율은 38.7%였다. 점유율이 약 9% 떨어지면서 트라이아웃 제도의 효과를 봤다. 하지만 대전 KGC인삼공사의 용병인 헤일리 스펠만의 점유율은 무려 51.6%로 지난시즌 용병이었던 조이스(53.6%)와 큰 차이가 없다. 국내 선수들의 기량이 가장 떨어지는 인삼공사 배구단과 트라이아웃 현장에서 가장 뛰어난 능력을 보여줬던 헤일리의 조합으로 최악의 점유율이 만들어졌다.

뽑은 선수 중 캐서린 벨(센터)과 에밀리 하통(윙 리시버)을 빼면 다 아포짓이라 공격에 방점을 찍고 있는 것은 여전하다. 게다가 화끈한 공격이 거의 사라지면서 디그가 늘어 랠리가 길어지고 풀세트 접전이 늘어 남자부 경기에도 악영향[2]을 끼치고 있다. 이렇게 랠리가 길어진다는 것은 피로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결코 좋은 현상이 아니다.

2.1.3.2 비판

역사는 반복된다
배구팬들이 가장 아쉬웠던 부분은 제도 개선보다 의식 개선이 필요했다는 점이다. 국내 감독들은 우승을 위해 미친듯이 용병에게 몰빵하고 세터들은 외국인 선수에게 무조건 올리고 본다. 이런 시스템이 정착 되어있는 상황에서 용병들만 바뀐다고 해서 달라질 것은 없다. 물론 직접적으로 점유율을 낮출수는 있겠지만 진정으로 리그를 위한 제도라고는 보기 어렵다.

두번째는 왜 항상 몸값논란은 외국인 선수한테만 있는가 라는 것이다.
연맹은 트라이아웃 제도를 만들면서 외국인들의 몸값을 대폭 낮췄다. 하지만 왜 항상 몸값 논란은 외국인 선수들에게만 있는지는 의문이다. 오랜기간 외국인 선수들은 혹사소리를 들을 정도로 쉴새없이 스파이크를 때려왔다. 물론 몸값은 상한선을 훌쩍 뚸어넘었지만 평균 25득점-40% 이상의 점유율 속에 자신들의 역할을 해왔다.

그렇다면 국내선수들은 과연 몸값에 맞는 활약을 보여줬는가? 양효진, 김사니 정도를 제외하고 몸값에 걸맞는 능력을 보여주는 선수들은 많지 않다. 국내 선수들 가운데 40%의 점유율을 차지하면서 경기당 20~30득점을 올릴 수 있는 선수들은 몇 명이나 될까? 더이상 국내에 없는 김연경을 제외하고 말이다. 용병들의 몸값만큼 부려먹는 몰빵배구 리그에서 세계 배구시장에게 한국은 봉이 아니다 라고 선언하는거 자체가 참 웃긴 일이다. 15만 달러를 받고 50%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이런 리그에 과연 어떤 용병이 오려고 할까?

트라이아웃 제도를 만들어 국내선수들을 살리고 리그를 좀 더 나은 방향으로 제시하려 한 배구연맹의 취지는 존중한다. 다만 용병들에게 제한선을 둬서 점유율을 낮추는것은 단기적이고 몰빵배구를 단숨에 거둬내기는 힘들다. 게다가 트라이아웃 도입 이유는 토종 공격수들의 공격력 강화[3]가 목적인데, 도입 이후 정작 늘어난 수치는 디그와 리시브에 불과하다. 리그에서 외국인 선수의 기량미달로 인해 공격력이 반감되면서 수비 스탯이 반사이득을 거둔 것 외에는 효과가 없다.

특정 선수에게 쏠리는 현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뛰어난 세터들이 계속해서 나올 필요가 있다. 과거 이도희, 강혜미 같은 명세터들이 즐비했던 것에 비해 현재는 유능한 세터 자원들이 많이 나오지 않고 있다. 김사니이효희가 언제까지 대표팀에 있을 수 는 없다. 염혜선이나연, 이다영 등이 계속해서 성장 할 필요가 있다.

제도 개선이 필요한 곳은 다른데에 있다.
몰빵배구를 하루아침에 없애기는 어렵다.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외국인 선수에 대해 제도적으로 제한시키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봐야한다.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시스템으로 국내 선수들이 발전해야 외국인 몰빵배구를 없앨 수 있다. 연맹은 줄어든 비용으로 유소년 선수육성에 투자한다고 말했다. 진정으로 선수육성에 힘쓰고 싶다면 실업팀과 상생하여 지명받지 못하거나 기회가 없어 은퇴하는 선수들을 살릴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여자배구는 탈출구가 없다. 프로에 지명받지 못하면 열악한 실업팀에서 뛰어야 하고 5개에 불과한 여자 대학팀에 진학하기도 어렵다. 갈수록 여자배구 저변이 줄어드는 이유다. 또한 다른 종목과 달리 신인선수들에겐 계약금도 주지 않고 학교에만 지원금을 줘 정작 선수들에게 돌아가는 혜택이 거의 없다. 권리가 없는데도 계약은 프로구단 마음대로 정하는 시스템 때문에 김연경 파문 같은 갈등이 싹튼 것이다. 프로구단은 "선수들이 조금만 힘들면 배구를 포기한다" 라고 말하지만 제대로 대우를 해주지 않으면 프로의식을 가지기는 어렵다. 배구연맹의 제도 개선이 필요한 점은 바로 이런곳에 있다.

2.1.4 한국프로야구의 사례

외국인선수 도입 초기인 1998년과 99년에 외국인 선수 드래프트를 시행했지만 이후 폐지된다.

2.2 그 외

가끔 프로구단 혹은 독립구단 등에서 비선수 출신의 기량을 확인할 목적으로 테스트를 하기도 한다.
  1. 원 출처인 점프볼기사는 삭제되었다.
  2. 주중엔 여자부 경기 후 남자부 경기를 할 때 한정이며, 이로 인해 남자부 경기가 처음 기준점인 7시를 넘어 8시에 시작하는 경우가 늘었다.
  3. 정확히 말하면 여자 선수들 무릎 아작낸 2점 백어택에 이어서 후위공격 능력 강화가 최우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