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자동차 관련 정보
![]() |
메르세데스-벤츠 맥라렌 SLR의 후진등이 점등된 모습. |
Reversing Lamp/Backup Lamp 백업?
흔히말해 빠꾸등이라 한다.
1 소개
변속기 레버를 후진(R) 위치로 하였을 때 점등되는 후진 방향의 조명등이다. 동시에 후방의 차량 또는 사람에게 이 차가 후진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기능도 한다. 후퇴등이라고도 한다. 자동변속기 차량의 경우에는 인히비터 스위치가 R레인지 위치를 검출해서 후진등에 불이 들어온다.
일반적으로 양쪽에 두 개가 장착되나 일부 구형 모델들은 한쪽에만 장착된 경우도 있다.[1] 유럽에서는 좌측에 후방안개등을 장착하는 경우가 많으며[2], 디자인상 가운데에 하나만 장착한 차량들도 많다.[3] 후진등 가운데에 후방안개등이 들어간 토요타 86이나 푸조 RCZ 같은 특이한 구조도 있다. 색상은 전세계 공통으로 백색이나, 과거 호주와 뉴질랜드에서는 주황색의 방향지시등을 후진등 겸용으로 사용했던 적이 있었다.
![]() |
호주산 차량인 1970년대 홀덴 모나로. 백색등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2 관련 문서
- ↑ 한국GM 라보, 대우 티코, 기아 타우너 코치, 아시아 록스타 R1, 기아 토픽 구형, 쌍용 코란도 구형 등.
- ↑ 르노 캡쳐를 수입해 판매한 르노삼성 QM3의 경우 좌측에 후방안개등, 우측에 후진등이 있다.
- ↑ 국산차로는 쉐보레 올란도가 대표적이며 GM대우 G2X, 캐딜락 전 차종(SRX, 에스컬레이드 제외), 맥라렌 MP4-12C 이후의 전 차종, 벤틀리 전 차종(뮬산 제외), 포르쉐 918 스파이더/박스터/카이맨, 벤츠 S클래스(W222)/SL클래스(R231)/SLS AMG/AMG GT, 애스턴 마틴 One-77, 포드 머스탱(6세대), 쉐보레 볼트(1세대), 닷지 챌린저(3세대 페이스리프트 이전)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