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y Hey, My My (Into the Black)



1991년 라이브 공연

그런지 록의 효시. 그리고 록 팬에게 영원히 남을 구절을[1] 남긴 곡.

1979년 닐 영이 크레이지 호스와 함께 발매한 라이브 앨범 "Rust Never Sleeps"에 수록된 곡.

1 소개

1978년 샌프란시스코에서의 공연에서 연주한 곡으로, 이듬해 1979년에 라이브 현황 앨범이 발매되었을 때 처음 음원으로 공개되었다. 참고로 이 앨범의 1번 트랙인 "My My, Hey Hey (Out of Blue)"와는 쌍둥이 곡으로, 가사는 거의 같지만 어쿠스틱이냐 일렉트릭이냐의 차이가 있다.

2 배경

1977년이 되자 록 음악계는 하드록의 흐름에서 펑크 록의 흐름으로 기류가 이동하기 시작했다. 그 유명한 섹스 피스톨즈의 Never Mind the bollocks : Here's the Sex Pistols, 더 클래시의 The Clash 등이 유럽과 미국을 휩쓸기 시작한 것이다. 이들 펑크 록커들 중 일부는 50년대의 초기 로큰롤 거장들부터 70년대의 공룡밴드들에 이르기까지 기존 거물들을 죄다 디스하며 기존의 록음악은 끝났고 자기들이 새 시대를 연다는 식으로 언플노이즈 마케팅을 하기도 했다.

이러한 배은망덕한 일부 펑크 록 밴드들에게 이 자식 안 되겠어 빨리 어떻게든 하지 않으면영이 부른 곡이 바로 이 곡이다.

3 내용

가사는 꽤나 은유적이지만 당시 시대 배경을 감안하면 해석은 어느정도 된다. 뭐 일단 "Rock 'n' Roll can never die"는 더 클래시에 대해 반박하는 가사고, "King is gone but not forgotten"에서의 king은 엘비스 프레슬리를 의미한다 [2] 그 뒤의 쟈니 로튼의 이야기라는 것은 존 라이든의 "로큰롤은 죽었다"라는 발언 등을 말한다. 그 밖에 Rust Never Sleeps 등과 같은 가사는 더 덕스의 제프 블랙번이나 밀러드 필모어의 격언, 또는 닐 영의 초기 곡 'Cowgirl in the Sand' 등과 연관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원곡에서는 It's better to burn out 'cause rust never sleeps라고 나오며, than to fade away는 어쿠스틱 버전에서 나온다.

어찌됐건 간에 이 곡은 한동안 큰 인기를 끌었고, 그런지 록의 태동은 사실상 이 곡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다. 괜히 그런지의 대부라 불리우는게 아니다. 실제로 너바나커트 코베인은 닐 영을 매우 좋아했을 정도.

하지만 이곡은 아래에 소개될 비극으로 인해 더 널리 알려져 있다.

4 커트 코베인의 자살, 영의 추모

1994년 커트 코베인이 자살했을 당시 마지막에 그는 유서에 My My, Hey Hey의 구절인 It's better to burn out than to fade away를 남겼다. 본의 아니게 닐 영은 커트의 죽음에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한 나머지 의기소침해졌다. 이 후 영은 코베인에게 'Sleeps with angels'라는 곡으로 그의 죽음을 추모한다. 한동안 영은 추모의 의미로 라이브에서 이 곡을 부르지 않았지만 이후에는 다시 부르기 시작했다.

원채 코베인의 비극적인 결말이 널리 알려진 나머지 많은 사람들이 It's better to burn out than to fade away가 이 곡에 있다고 아는 경우가 많다. 뭐, 닐 영도 라이브 때마다 자기가 부르고 싶은 가사로 이리저리 바꿔가면서 부르니 큰 문제는 아니긴 하지만.

5 커버

너무나 유명한 곡이다 보니 수많은 음악가들이 커버를 했다. 그 중 가장 유명한 것은 역시 오아시스가 2000년 웸블리에서 커버한 버전.


그 밖에도 시스템 오브 어 다운 등도 커버를 했다.

6 기타

  • 존 레논은 "난 그 말이 싫어요. 불타 없어지는 것보다는 노병처럼 서서히 사라져 가는 것이 더 낫습니다. 난 죽은 시드 비셔스나, 제임스 딘, 존 웨인 같은 사람들을 추앙하는 것을 인정할 수 없습니다. 다 마찬가지에요, 시드 비셔스를 영웅으로 만드는 것이나, 짐 모리슨을... 다 쓰레기 같은 짓거리입니다. 그들이 도대체 뭘 가르치는 것이죠? 아무 것도 없어요. 죽음뿐이에요. 무엇을 위해 시드 비셔스가 죽은 거죠? 그래서 우리가 락을 해야 하는 것입니까? 이런 건 다 쓰레기 같은 짓거리들이에요. 닐 영이 그 감상적인 짓들을 그렇게도 높게 평가한다면, 왜 그는 자기 자신이 직접 그렇게 하지 않는 것입니까? 그는 우리 모두와 마찬가지로 서서히 사라졌다가 다시 나오곤 했어요. 난 그런 말 이제 사양합니다. 난 삶과 건강을 택하겠어요."라고 이 곡을 깠다. 아이러니하게도 존 레논은 이 곡이 발표된 지 고작 1년 뒤인 1980년 12월 8일에 총격으로 사망한다.[3]
  • 도타 2리나는 죽을 때 "Better to burn out, than to fade away."라고 외치며 쓰러진다.
  • 이와 비슷하게 "불완전 연소할 바에야 타버리고 말거다"라는 주장을 펼치는 만화가 1973년 일본에서 완결됐다. 어찌보면 시대정신이라고 할수 있고 원작자의 선견지명이라고 할수도 있는 부분.
  1. 물론 영이 의도한 건 아니지만
  2. 엘비스는 닐 영이 10대 시절부터 가장 좋아하던 뮤지션이다
  3. 존 레논과 비틀즈를 존경하는 갤러거 형제도 비슷한 발언을 했다.그래놓고 저렇게 멋진 커버를 해버림 Lock the Boxa.k.a. 짤방 제조기 인터뷰에서 닐 영 - 커트 코베인 모두 존경하는 뮤지션이지만 "I Hate Myself and I Want to Die같은거 싫어. 애들은 그딴 헛소리 들을 필요 없지."라고 생각을 밝혔다. 그렇게 해서 나온 노래가 Live Fore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