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전기의 베트남 인민군(월맹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K-44, 38식 소총J, 99식 소총J, MAS-36F 카라비너 98kF |
반자동소총 | SKS, SVT-40, SVD, MAS-49F | ||
돌격소총 | K-56, 63식 자동소총, AKM, Vz.58, StG44 | ||
기관단총 | K-50M, 50식 기관단총, PPS-43, Vz.25, PM-63, Vz.61, 100식 기관단총J, MAS-38F, MAT-49F, MP40F | ||
권총 | K-54, K-59, CZ52, C96, APS, 나강 M1895, 남부 권총J, MAC M1950F | ||
지원화기 | 기관총 | RPD, DP-28, DTM, Vz.26/30, MAC 24/29F, Vz.59, 67식 기관총, SG-43, 92식 중기관총J, DShK | |
대전차화기 | B-40/50, B-41, B-10, B-11, 자돌폭뢰J | ||
화염방사기 | LPO-50 | ||
박격포 | 82-PM-41 | ||
※ 윗첨자J/F : 일본/프랑스군으로부터 노획 ※ 이탤릭체 : 소련으로부터 지원받음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W1 | 연합군 | 동맹군 | ||||||||||||||||||
WW2 | 연합군 | 추축군 | ||||||||||||||||||
미국 | 영국 | 나치 독일 | 일본 제국 | |||||||||||||||||
소련 | 프랑스 | 이탈리아 왕국 | 체코슬로바키아 | |||||||||||||||||
중화민국 | 폴란드 | 핀란드 | 헝가리 왕국 | |||||||||||||||||
스위스 | 스웨덴 | |||||||||||||||||||
냉전 | 소련 | 동독 | 중국 | 유고슬라비아 | ||||||||||||||||
한국전 | 한국 | 북한 | ||||||||||||||||||
월남전 | 미국 | 월맹 | ||||||||||||||||||
현대전 | 미국 | 러시아 | 영국 | 프랑스 | 한국 | |||||||||||||||
일본 | 중국 | 독일 | 핀란드 | 이스라엘 | ||||||||||||||||
체코 | 스웨덴 | 이탈리아 | 인도 | 폴란드 | ||||||||||||||||
중화민국 | 터키 | 스위스 | 싱가포르 | 호주 | ||||||||||||||||
스페인 | 노르웨이 | 태국 | 이집트 | 캐나다 | ||||||||||||||||
브라질 | - | - | - | 북한 |
베트남 전쟁당시 월맹군이 만든 기관단총.
제식 명칭: K-50M
종류 | 기관단총 | |
구경 및 사용탄 | 7.62x25 Tokarev | |
급탄 | 35발 바나나 탄창 | |
중량(빈총) | 4.4kg | |
작동방식 | 블로우백, 오픈 볼트 | |
총열길이 | 269mm | |
전장 | 756mm | |
발사속도 | 분당 650~700발 | |
최대사거리 | 200m |
소련의 PPSh-41을 중국에서 정식으로 만들어낸 기관단총인 '50식 기관단총'을 베트남에서 자체적으로 업그레이드(?)를 한 총기이다. 베트남 유일의 오리지널 기관단총. 이름의 어원은 당연히 중국의 50식 기관단총이다.
베트남 전쟁이 터지자 중국은 북베트남군에게 이런저런 지원을 해주었고 그 중에서는 바로 50식 기관단총이 섞여있었다. 단 정글에서 게릴라전을 주로 하던 북베트남군은 PPSh-41의 드럼탄창은 휴대에 불편했고 습기에 고장도 잘났으며, 나무 개머리판은 걸리적거렸다. 특히 은밀한 작전중 오발이 잦다[1] 는 점에 불만을 가졌다. 북베트남군은 이것을 개량하였고 그 결과물이 바로 이 K-50 기관단총이다. 외모 때문에 MP40의 현지개수버전이라고 착각하는 경우도 있으나 탄창이나 총열덮개 등 어딜 봐도 엄연히 PPSh-41의 피를 물려받은 물건.
그래서 철사형 개머리판과 박스형 탄창을 사용하게 되었고, 안전장치가 보강되었고, 발사모드의 전환(자동-단발)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PPSh-41의 소련산 오리지널 후계인 PPS-43과도 같은 개량 방향.
PPSh-41이란 우수한 기관단총을 베이스로 만든 물건이지만, 소련의 정식(?)버전이 아닌 중국의 카피판을 배끼면서 프랑스군이 두고간 MAT-49의 개머리판을 참고했다. 전체적으로 PPSh-41보단 떨어지는 구석이 많지만... PPSh-41을 베이스로 한 덕에 사용 탄환 및 각종 부품은 PPSH-41과 호환되었고, 공산권 국가들끼리 총을 돌려쓰던 시기였으므로 부품과 탄약 조달은 걱정 안해도 될 만큼 썩어나게 나왔다.
PPSh-41을 베이스로 삼았기 때문에 PPSh-41 특유의 드럼 탄창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개머리판을 어느 정도 잡아빼야 가능하다는 괴악한 조건이 있다. 개머리판을 접은 상태에선 안쪽으로 들어간 개머리판 철사가 드럼탄창의 삽입을 방해하기에...역시 급조무기의 한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