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전기의 베트남 인민군(월맹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K-44, 38식 소총J, 99식 소총J, MAS-36F 카라비너 98kF |
반자동소총 | SKS, SVT-40, SVD, MAS-49F | ||
돌격소총 | K-56, 63식 자동소총, AKM, Vz.58, StG44 | ||
기관단총 | K-50M, 50식 기관단총, PPS-43, Vz.25, PM-63, Vz.61, 100식 기관단총J, MAS-38F, MAT-49F, MP40F | ||
권총 | K-54, K-59, CZ52, C96, APS, 나강 M1895, 남부 권총J, MAC M1950F | ||
지원화기 | 기관총 | RPD, DP-28, DTM, Vz.26/30, MAC 24/29F, Vz.59, 67식 기관총, SG-43, 92식 중기관총J, DShK | |
대전차화기 | B-40/50, B-41, B-10, B-11, 자돌폭뢰J | ||
화염방사기 | LPO-50 | ||
박격포 | 82-PM-41 | ||
※ 윗첨자J/F : 일본/프랑스군으로부터 노획 ※ 이탤릭체 : 소련으로부터 지원받음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W1 | 연합군 | 동맹군 | ||||||||||||||||||
WW2 | 연합군 | 추축군 | ||||||||||||||||||
미국 | 영국 | 나치 독일 | 일본 제국 | |||||||||||||||||
소련 | 프랑스 | 이탈리아 왕국 | 체코슬로바키아 | |||||||||||||||||
중화민국 | 폴란드 | 핀란드 | 헝가리 왕국 | |||||||||||||||||
스위스 | 스웨덴 | |||||||||||||||||||
냉전 | 소련 | 동독 | 중국 | 유고슬라비아 | ||||||||||||||||
한국전 | 한국 | 북한 | ||||||||||||||||||
월남전 | 미국 | 월맹 | ||||||||||||||||||
현대전 | 미국 | 러시아 | 영국 | 프랑스 | 한국 | |||||||||||||||
일본 | 중국 | 독일 | 핀란드 | 이스라엘 | ||||||||||||||||
체코 | 스웨덴 | 이탈리아 | 인도 | 폴란드 | ||||||||||||||||
중화민국 | 터키 | 스위스 | 싱가포르 | 호주 | ||||||||||||||||
스페인 | 노르웨이 | 태국 | 이집트 | 캐나다 | ||||||||||||||||
브라질 | - | - | - | 북한 |
MAS-38 | |
종류 | 기관단총 |
국가 | 프랑스 |
사용 역사 | |
사용 년도 | 1939년~1950년 |
사용 국가 | 프랑스 - (자유 프랑스 / 비시 프랑스) 나치 독일 베트남 민주 공화국 |
사용된 전쟁 | 제2차 세계대전 베트남 전쟁 |
생산 및 제조 역사 | |
개발 년도 | 1930년대 |
생산 | 셍테티엔 병기창 |
생산 년도 | 1939년~1946년 |
제원 | |
구경 | 7.65mm |
탄약 | 7.65mm Longue (7.65x20mm) |
급탄 | 32발 박스탄창 |
작동 방식 | 블로우백 |
중량 (장전 시) | 2.87kg/3.56kg |
전장 | 623mm |
총열 길이 | 224mm |
발사 속도 | 600~700RPM |
탄속 | 350m/s |
유효사거리 | 100m |
최대사거리 | 200m |
1 개요
프랑스의 기관단총. 셍테티엔 병기창이 개발하여 MAS-38이라는 제식명칭이 되었다.
2 상세
제1차 세계대전에서 쓰라린 경험을 했던 프랑스군은 기존의 권총부터 소총, 기관총, 기관단총을 비롯한 모든 보병장비들을 새 시대에 맞춰 교체하려 했으나, 1930년대부터 마지노 선 건축에 박차를 가하면서 경기관총 MAC 24/29을 제외하고 무기 생산과 지급이 늦어졌다.
당시 프랑스군은 독일 및 스위스에서 수입한 기관단총들을 운용하고 있었는데, MAS-35 등 자체 기관단총을 개발하기는 하였지만 제대로 된 군 채용을 위한 목적을 가지고 개발한 기관단총은 없었다.
9x19mm 파라벨럼 탄이 아닌 프랑스 독자적인 탄[1]을 사용했는데, 이는 제식으로 사용중인 권총과 탄약 호환도 있지만, 아군이 적군의 탄약을 사용하려는 국가 자부심이 걸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도 있었다.
특이하게도 탄창을 삽입하지 않았을 때 삽입구로 이물질이 들어오기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탄창 덮개가 존재한다. 또한 안전 장치는 방아쇠를 앞쪽으로 밀어두는 것으로 사수가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었다.
3 기타
초기에는 프랑스 내 방위군에 배치를 시작으로 프랑스군에 지급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프랑스군이 사용하였지만 프랑스가 독일에게 항복하면서 자연스레 생산 공장도 점령되었다. 독일군은 기관단총에 MP722(f)의 명칭을 부여하고 프랑스에 주둔하는 독일군과 비시 프랑스쪽으로 납품되거나 레지스탕스들이 사용하였다.
1945년 4월 28일 파르티지아노가 베니토 무솔리니를 향해 발포하여 사살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1946년에 생산이 중단되었지만 사용은 계속되었으며, 일부는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북베트남군이 노획하면서 2차 전쟁 때 사용되기도 하였다. 이후 프랑스군에서는 1950년대에 MAT-49로 교체되면서 퇴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