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3 105mm 경곡사포

제2차 세계대전기의 미군 화포
곡사포75mm M1 곡사포, 105mm M2 / M101 곡사포, 105mm M3 곡사포, 155mm M1 곡사포, 8인치 M1/M2 곡사포, 240mm M1 곡사포 'Black dragon'
평사포155mm M1918 평사포 ,155mm M1/M2 평사포 'Long Tom', M1 8인치 평사포
대전차포M3 37mm 대전차포, M1 57mm 대전차포, M1897 75mm 야포, 3인치 M5 대전차포 90mm T8 대전차포
대공포40mm M1 대공포, M1918 3인치 대공포, 90mm M1/M2/M3 대공포, 120mm M1 대공포
박격포4.2인치 박격포, 리틀 데이비드

{{틀:화포 둘러보기}}

화포 둘러보기
2차 세계대전
연합군추축군
미국 나치 독일
영국 일본 제국
소련 이탈리아 왕국
프랑스-
냉전 미국 소련

600px

구경105mm
전장3.94m(견인상태)/포신장 1.88m
전폭1.70m
전고1.27m
전비중량1,130kg
포탄중량14.98kg(유탄)
발사속도최고 분당 4발, 지속 분당 2발
포구초속311m/s
최대사정7,586m
유효사정6,525m
부앙각-9〜30도
좌우사각45도

1 개요

105mm 곡사포 중 경량화된 모델로, 공수부대를 위해 만들어졌다. 때문에 아래에 소개된 M2/M101 계열의 일반적인 105mm 곡사포와 다르게 더 가볍고 길이가 짧지만, 사거리는 더 작고 분당 발사속도도 떨어진다. 제식번호가 M3인 이유는 개발 당시에는 기본형인 105mm 견인곡사포의 제식번호가 M2였기 때문이다.

2 상세

기본적으로 포신은 M2/M101 계열의 것을 짧게 만들어 사용했지만, 주퇴복좌기와 나머지 것들은 M1 75mm "Pack howitzer"의 것을 사용하여 프로토타입이 만들어졌다. 이렇게 기본이 된 미군의 M1 75mm 곡사포는 보병을 위한 산포(山砲·Mountain Gun)로 제작되었으며, 사거리나 파괴력보다는 직접 사람이 들고 옮길 것을 상정하여 분해가 가능하고 무게가 가벼웠다.[1] 중량이 겨우 653㎏밖에 안 나가며, 6부분으로 나눠 운반이 가능했다. 요컨대 장거리 사격능력보다는 운용편의성을 노리고 만들어진 물건이므로 그 후속작인 M3도 마찬가지 컨셉이었다. 다만 시간이 지나면서 M3 전용의 부품들이 개발되어 교체되었다.

1943년부터 미국에서 생산되기 시작했으며, 제2차 세계대전한국전쟁 때 쓰였다. 하지만 실제 사용한 미군의 평가가 그렇게 좋지는 않아서 미군의 화포치고는 수량이 적은 2,580대가 생산되었다. 평가가 좋지 않은 이유는 사거리가 짧은데다가 운용편의성이 M1 75mm 곡사포보다 떨어져서 이도저도 아니기 때문이었다.

이렇게 퇴물이 된 M3 105mm 곡사포는 미국의 우방국 가운데 중요성이 떨어지며 기술력이 없는 국가들 위주로 공여되었다. 따라서 한국도 한국군 창설당시 해당 대포를 받았으며, 특히 한국전쟁이 벌어질 때까지만 하더라도 국군 포병의 주력포였다. 한국전쟁 이전 시점에서 국군은 M2/M101 계열의 포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이렇게 공여된 M3 105mm 곡사포는 6.25 전쟁 개전당시 한국군 포병의 유일하게 T-34에게 유효판정을 띄울 수 있는 대전차 화포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짧은 사정거리 등 능력부족으로 인해 북한군 포병의 사거리 안에서 사격해야 하므로 상당한 피해를 입었으며, 북한군의 T-34/85 전차를 막기 위해 무리하게 대전차포로 사용되다가 격파되기도 했다.[2] 허나 이럴 수 밖에 없는 이유가, T-34-85에겐 37mm M6, 57mm M1으론 측후면을 제외하곤 전면에선 격파할 위력이 전혀 없다. 이런 이유로 인해 한국전쟁 도중 국군에게 M2/M101 계열의 곡사포가 긴급 도입되었으며, M3 105mm 곡사포는 원래부터 한국군에 배정된 수량이 91문으로 적었던 데다가 전쟁 초반의 손실이 극심했으며, 미국에서도 이미 퇴역무기라 부품이나 자재가 없다시피 했으므로 살아남은 M3 105mm 곡사포는 적에게 박살나지 않더라도 고장나면 M2/M101 계열의 곡사포로 즉시 교체되었다. 결국 한국전쟁 중반 이후에는 M3는 모두 사실상 퇴역한 것으로 보이며, 현재는 보유하고 있지 않다.

M3 견인곡사포는 M2/M101 계열의 포탄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었지만, 포신이 짧고 주퇴복좌기와 포가 역시 약했기 때문에 별도로 만들어진 빠르게 연소되며 좀 약한 장약을 사용하였다. 게다가 포신이 짧기 때문에 기존 장약을 사용하면 장약이 다 연소되기 전에 포탄이 튀어나가서 운동에너지의 손실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M3의 입장에서는 장약을 과잉하게 넣은 상황이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주퇴복좌기가 파손돼서 포가 폭발하거나 사용불능이 되기 십상이었다. 덕분에 사거리는 M2/M101 계열의 2/3수준 밖에 안된다. 그러니까 이 포를 가지고 10km 밖의 누군가를 암살하려고 했다는건 그냥 헛소리일 뿐이다.[3]
  1. 지금도 이 포는 주한 미군 등에서 예포(의식에 쓰이는 포)용으로 가지고 있는 모습이 보이긴 한다.
  2. 애시당초 견인식 대전차포가 대전차전에서 퇴역한게 이문제 때문이었다..
  3. 애초부터 화포로는 저격이 힘들다. 화포는 일단 방열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아무리 가벼운 105mm라고 해도 발톱자리를 굴토하고 수평 맞추는데만 20분 가까이 걸린다. 긴급방열하면 5분이내로 방열이 가능하긴 하지만 그건 말그대로 긴급방열이라 정밀 사격이 불가능하다. 요컨데 화포로 저격한다는 것 자체가 망상 중의 망상이다. 누군가는 "사거리 안으로 들어가서 쏘면 된다!"라고 주장하는데, 이건 자주포가 아니라 견인곡사포다. 이걸 군용차량으로 사거리 안으로 끌고 들어가서 방열하고 하다보면 주변 경찰, 군부대가 출동할 것이다. 사찰요람 항목에 세술된 문제점 중 사거리를 해결한다고 치더라도 곡사포는 특성상 관측과 FDC의 호흡이 잘맞고 실력이 좋다고 해도 오차가 발생한다. 괜히 포병들이 실탄 사격하러 갔을 때 중심포가 한발 쏴 본 다음 수정하는게 아니다. 저격을 하려면 은밀하게 행동해야 하는데 방열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화포를 이용해서 저격한다는 것에서부터 이미 아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