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대전기의 미군 화포 | |||||||||||||||||||||||||||||||||||||||||||||||||||||||||||||||||||||||||||||||||||||||||||||||||||
곡사포 | 75mm M1 곡사포, 105mm M2 / M101 곡사포, 105mm M3 곡사포, 155mm M1 곡사포, 8인치 M1/M2 곡사포, 240mm M1 곡사포 'Black dragon' | ||||||||||||||||||||||||||||||||||||||||||||||||||||||||||||||||||||||||||||||||||||||||||||||||||
평사포 | 155mm M1918 평사포 ,155mm M1/M2 평사포 'Long Tom', M1 8인치 평사포 | ||||||||||||||||||||||||||||||||||||||||||||||||||||||||||||||||||||||||||||||||||||||||||||||||||
대전차포 | M3 37mm 대전차포, M1 57mm 대전차포, M1897 75mm 야포, 3인치 M5 대전차포 90mm T8 대전차포 | ||||||||||||||||||||||||||||||||||||||||||||||||||||||||||||||||||||||||||||||||||||||||||||||||||
대공포 | 40mm M1 대공포, M1918 3인치 대공포, 90mm M1/M2/M3 대공포, 120mm M1 대공포 | ||||||||||||||||||||||||||||||||||||||||||||||||||||||||||||||||||||||||||||||||||||||||||||||||||
박격포 | 4.2인치 박격포, 리틀 데이비드 |
{{틀:화포 둘러보기}}
화포 둘러보기 | ||
2차 세계대전 | ||
연합군 | 추축군 | |
미국 | 나치 독일 | |
영국 | 일본 제국 | |
소련 | 이탈리아 왕국 | |
프랑스 | - | |
냉전 | 미국 | 소련 |
1 개요
M1/M2/M59 155mm Gun(또는 Cannon)
M1/M2/M59 155mm 평사포
미국에서 개발한 견인 평사포. '롱 톰(Long Tom)'이란 별명으로 유명하다.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기 이전 미 육군의 포병 전력은 답이 없을 정도로 한심한 수준이었다. 지금이야 세계 1위 군사력을 자랑하는 화력덕후들이지만 그 당시에는 유럽열강들에 비해 장비로나 전술로나 뭐하나 뛰어난것 없었던 오합지졸들이었던 것이다. 제1차 세계대전을 겪으면서 전력차를 뼈저리게 느꼈던 미 육군은 프랑스로부터 155mm GDF 중포를 도입, 운용하면서 상황을 타개할 수 있었고 제1차 세계대전 종전 후 이것을 교훈삼아 자국산 중포를 개발하기에 이른다.
1938년, 프로토타입인 'T4 155mm 평사포'와 'T2 포가(Carriage)'가 채택되어 'M1 155mm 평사포'가 탄생하게 된다. 이후 개량형으로 M1A1, M2가 등장하였고 최종적으로 M59로 명명된다.
2 특징
우수한 성능을 자랑하는 평사포로 제2차 세계대전과 6.25 전쟁에서 많은 활약을 한다. 특히 평사포 특유의 장사정을 백분 활용하여 대포병 사격에 발군이였고 고탄속에서 나오는 뛰어난 관통력으로 중장갑 표적[1] 제압에 주로 사용되었다.
M59 평사포의 포가는 'M1 203mm(8인치) 곡사포'와 공유하게 된다. 포가 대신 M4 셔먼 차대 위에 올린 것이 바로 'M40 155mm 자주포'.
3 운용
최초 실전데뷔는 횃불 작전으로 제 36야전포병대대 알파(A) 포대 소속.
제2차 세계대전 중 49개의 M59 평사포 대대가 운용됐으며 이중 40개 대대는 유럽 전선에, 7개 대대는 태평양 전선에 배치되고 나머지 2개 대대는 미 본토에 남아 있었다. 총 생산문 수는 588문 이상[2]. 이후 6.25 전쟁에도 참가하였고 전후 우방국들에게 지급되어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일본, 요르단, 대만, 터키, 파키스탄, 크로아티아, 남아공, 영국, 그리고 대한민국에서 운용되었다.
현재는 대부분 퇴역.
4 제원
4.1 M59 평사포
구경 | 155mm |
포신 구경장 | L/45 (6.98m) |
중량 | 13,880kg |
부양각 | −2°/+65° |
좌우 선회각 | 60° |
연사속도 | 40발/시간 |
포구탄속 | 853m/s |
최대 사거리 | 23,720m |
4.2 운용 탄약
APBC/HE | M112 |
HE | M101 |
WP | M104 |
FS | M104 |
H | M104 |
4.3 관통력
M112 (균질압연장갑, 입사각 30°) | 160mm (500야드) | 152mm (1,000야드) |
M101 (콘크리트, 입사각 0°) | 2,011mm (1,000야드) | 1,402mm (5,000야드) |
5 관련 항목
- ↑ 벙커라던지 토치카라던지...
- ↑ 이것은 2차대전중 포병대대에 배체된 포의 수량이 12문이라는 점을 이용하여 평사포 대대의 수에 맞추어 추측한 수량이다. 동시기 독일은 M59보다 사거리에서 약간 긴 15cm K18 및 K39 평사포를 1938년부터 운용했는데, 두 포의 생산량은 모두 합해도 162문에 불과했다. 일본 야전중포병 부대의 주력 평사포이던 89식 15cm 평사포는 1933년부터 생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총 생산량이 약 150문에 머물렀고, 성능적으로도 미국과 독일의 평사포들보다 6천 미터 가량 사거리가 부족했다. 동일 규격의 일본제 평사포 중에서 미국/독일제와 유일하게 동등한 성능을 가진 96식 15cm 평사포는 생산량이 31문인데다, 야전 중포로의 운용도 고려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으로 요새 진지에 거치하여 운용하는 포였으므로 이동시에는 3등분하여 이동, 방열해야만 했다.
- ↑ 당대 웬만한 대전차포보다 관통력이 뛰어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