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 펀드

(PEF에서 넘어옴)

私募 fund
Private Equity Fund (PEF)

1 개요

개인 회사 (Private Company)에 투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펀드, 또는 그런 투자 단체이다. 회사마다 투자 방법은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차입 매수 (Leveraged Buyout)을 통해서 회사를 사서 3년~5년 후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모 펀드가 처음으로 유명해진것은 1980년대로 (그때는 사모 펀드보다는 차입 매수회사라고 불렸다) 여러 회사를 구조조정 위기에 빠트리면서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차입 매수는 회사를 살때 은행에서 을 빌려서 회사를 사 최소의 금액을 투자해서 최대의 이익을 남기려는 투자 행태를 뜻한다. 예를 들어서 어떤 회사의 가격이 500억이라면 200억을 빌려서 산 다음에 그 회사에서 나오는 수익으로 빌렸던 을 갚은다음에 몇년 후에 회사를 더 높은 가격으로 더 팔면서 이익을 남기는 것이다. 단, 기간동안 회사의 수익으로 빌렸던 을 갚아야 하고 재무 건정성을 회복해야 하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많은 논란이 되기도 한다. 장기적으로 회사를 운영하기보다는 단기적인 수익을 추구하기 때문에 공격적인 구조조정을 하기도 한다. 밋 롬니가 2012년 미국 대통령 대선에 출마할때도 논란이 되었던 부분이 Bain Capital이라는 사모 펀드를 운영했다는 점이 었다. Bain Capital이 단기적인 수익 확보를 위해 많은 사람들을 해고하기도 하였던것.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대한민국에서는 부실화되거나 급매물로 나온 대기업을 한국산업은행이 인수했다가 정상화 후 되파는 일이 많은데, 이 때 산은은 금산분리를 우회하기 위해 피인수기업의 지분을 직접 인수하는 대신 과반 이상을 출자한 사모 펀드를 내세워 인수한다. 대표적인 사례가 대우조선해양대우건설이다.

2 직장생활

헤지펀드와 더불어 바이사이드 직장의 양대산맥 [1][2] [3]

미국에서는 엄청난 수익을 남기고 있기 때문에 월가 투자은행 애널리스트들이 가장 가고 싶어하는 곳이기도 하다. 억대 연봉 가까이 받는 투자은행 2년차 애널리스트들이 이쪽이나 헤지펀드로 많이 빠져나간다. 사실 2년차 애널리스트들과 갓 이직한 사모 펀드 애널리스트들은 연봉의 차이가 그다지 없지만, 의뢰인을 상대하지 않을 수 있어 갑질을 피할 수 있다는 점, 투자은행보다 더 적은 근무시간, 이 두 가지 때문에 사모 펀드에 많이 이직한다.

2014년 신문기사에 따르면, PEF는 주로 기관을 비롯한 대형 투자자들을 상대로 자금을 끌어모아 M&A를 거친 후 기업을 매각하면서 수익을 얻는다. 이 때문에 운용능력 뿐만 아니라 자금동원이나 투자처의 물색, 기업경영 등 여러 방면에서 정보와 인맥을 갖춘 유력인사, 가문의 ‘주니어’들이 많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한 PEF 관계자는 “정·관계나 재계 주요인물들의 자녀들은 상당수가 어린 시절부터 조기유학을 하거나 부촌에서 거주하면서 최고 학군에서 교육을 받아 자연스럽게 탄탄한 인맥을 쌓게 된다”며 “부친이나 가문의 후광에서 얻는 인맥까지 더해져 사업에서 도움을 받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인수 경쟁의 최종 승자가 되기 위해 정부나 금융당국 등과 효과적으로 접촉해 협상할 수 있는 ‘로비력’도 유력인사들의 자녀들이 참여하는 PEF들의 강점으로 꼽힌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자금력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을 경우 대부분 어떤 PEF들의 배경이 더 탁월한 지가 인수 경쟁에 많은 영향을 미치곤 한다”며 “규모가 큰 거래일수록 PEF 파트너의 ‘보이지 않는 힘’이 중요하게 작용할 때가 많다”고 말했다.

물론 금수저가 아니라도 사모펀드에 들어갈 수 있다.

2012083125521_2012083136001.jpg
(2012년 8월 현재)
한국경제신문은 10대 독립계 PEF의 운용역 130명을 조사했다. 그러자 이 중 63명이 투자은행에서 일하다 합류했고 8명이 삼성그룹 출신으로 알려졌다. 워낙 업계가 좁으니만큼 'PEF에 들어가는 정답'같은 것은 없으므로, 개개인의 커리어패스를 관찰할 수밖에 없다.

  • 이해준 IMM 전무(39) : 펜실베니아 로스쿨 JD, 뉴욕 대형 로펌, 모건스탠리 투자은행, 미국 사모펀드 '포트리스'
  • 허송필 IMM 이사(35) : 싱가포르 헤지펀드
  • 김수민 유니슨캐피탈 한국대표 : 컨설팅펌 '베인앤컴퍼니'에서 PEF와 M&A부문 한국대표, 골드만삭스 투자은행 홍콩지점과 뉴욕사무소
  • 한앤컴퍼니 조은철 애널리스트(28) : 미국 스탠퍼드대 생물학 학사, MIT 재료공학 석사, 삼성전자 연구원
  • MBK파트너스 정주용 상무 (36) : 서울대 국제경제학과, 하버드 MBA, 행정고시 최연소 (41회)

3 비판&반박

2000년대에 들어서 이런 사모 펀드들이 엄청난 이익을 남김으로써 이에 대한 비판도 많이 이어지고 있다.

1. 가장 큰 비판은 사모펀드가 경제에 기여하는것이 무엇이냐라는 본질적인 질문이다. 사모 펀드의 비판자들은 사모 펀드가 하는 일은 그저 회사의 운영권을 한 회사에서 다른 회사에서 옮기는 것 밖에 없다면서 아무런 가치를 만들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심지어 어떤 회사들은 사모 펀드에서 사모 펀드로 몇번씩 팔려나가다고 결국 구조조정을 당하고는 한다.

  • 하지만, 자금조달이 여의치 않은 상황에서 사모펀드는 재계의 전당포 혹은 재계의 재활원 같은 역할을 하기도 한다. KKR의 경우에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자금사정이 안 좋아진 AB인베브가 시장에 내놓은 OB맥주를 인수한 다음, 실사를 통해 영업본부장을 CEO로 선임하고는 전권을 위임했다. 그 결과, OB맥주는 공격적인 신제품 출시와 영업활동 덕분에 국내 맥주시장 1위를 달성했고, KKR은 5년만에 400% 더 높은 값을 받고 AB인베브에 재매각했다.
그렇게 대단한 대기업이 인수했는데도 달성하지 못한 1위를 사모펀드가 손대고 5년도 안 돼서 1위를 달성한 건 뭘로 설명할 수 있단 말인가?

2. 사모 펀드들은 그들이 산 회사의 장기적인 미래에는 신경쓰지 않는다는 것. 어차피 3년이나 5년후에 회사를 되파는게 목적이기 때문에 회사가 10년후에 잘될지는 그들에게 상관이 없다 (...) 또한 회사들을 살때 빚의 비중이 50%에서 80%에 해당하기 때문에 빚을 갚기 위해서 회사의 이익이 이용되고 있다. 향후 5년이나 10년을 바라보는 장기적인 투자를 하기가 힘들다는 것. 사모펀드에 팔린 회사는 또 엄청난 빚을 떠안아야 하기 때문에 구조조정을 신청하기도 한다.

  • 사모펀드도 장기투자를 한다. 물론, 우량회사에 한해서지만 10년이든 20년이든 사모펀드가 들고 있는 회사들이 영미권에서는 굉장히 많은 편이다. 우리나라는 재벌 대기업 중심의 경제구조 때문에 금산분리 회피에 악용될 것을 우려, 사모펀드 수명을 15년으로 제한해 가능성이 제로에 수렴하지만 영미권은 삼성이나 현대처럼 한 국가의 경제를 좌지우지하는 재벌이 없기 때문에 가능하다.

3. 사모 펀드가 정말로 회사들을 더 나아지게 하지 않는다는 주장도 있다. 사모 펀드들은 가격이 낮게 측정된 회사를 사 그 회사의 가치를 끌어올려 판다고 하고 있지만 실제로 사모 펀드가 그 회사의 장기적인 가치를 나아지게 하는지는 의문스럽다. 또한 사모 펀드는 자신들의 산 회사를 담보로 빚을 더 빌려서 펀드의 투자자들에게 배당금으로 나눠줄 수도 있다. 이게 합법이다 (...) 본격 회사 사서 ATM으로 만드는 꼴 [4]

  • 1번에 대한 반박에 나온 OB맥주가 가장 좋은 반례다. 회사들이 은행권에서 손쉽게 조달하기 힘든 거액의 자금을 사모펀드에게서는 손쉽게 조달할 수 있기 때문. 게다가, 사모펀드가 마냥 돈만 빼먹는다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다. 2010년대 들어서 OB맥주가 하이트를 제끼고 1위가 된 것은 사모펀드 KKR 산하에 있던 시절이었다.
  • 그리고 매년 배당금을 1,600억 원씩 받았다고 비판하는데, OB맥주 자체의 현금창출력이 좋았던 데다 이들은 OB 맥주 주식의 100%를 보유했다. 1년 매출에서 영업비나 인건비, 설비투자비, 연구개발비를 모두 제하고도 남은 걸 배당금으로 지급했다는 거다. 국내 최대의 나프타분해시설을 갖춘 여천 NCC도 자사 주식을 각각 50%씩 보유한 한화케미칼과 대림산업에 매년 각각 1,000억 원씩을 투하한다.
  • 사실, 사모펀드가 하는 행동은 재벌들도 많이 하는데, 금호그룹의 인수합병이 가장 안 좋은 사례다. 덩치를 불리려는 목적으로 그룹 내 유동성은 생각도 안 하고 차입매수를 한 다음, 피인수회사였던 대한통운의 현금을 빼내려고 기존 금호그룹 계열사들을 시세보다 비싸게 대한통운에 팔았다. 그러고는 그 돈으로 대우건설을 인수했는데, 부족한 자금을 메워준 재무적 투자자들에게 주가변동 손실을 보전해준다는 옵션을 걸었다. 하필이면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 직후에 터져서 망해버렸지만, 금호그룹의 현금창출능력이나 세계경제의 흐름을 고려해도 무리수였다는 게 중평이다. 오히려, 재벌들의 무책임한 행동을 욕먹어가면서 뒤처리해주는 게 사모펀드이기 때문에 필요악인 측면도 무시할 수 없다.

4. 개인 투자자들이 투자하기가 매우 힘들다. 사모 펀드는 헤지펀드와 같이 소수의 부유한 투자자들이 주요 투자자로 빈부격차를 더 크게 만든다는 데에 어느정도 책임이 있다. 주식회사와 달리 개인 회사에 투자하기는 매우 힘들기 때문에 사모 펀드에 직접 투자할 수도 없다.

  • 이 부분에 대해서는 반박할 수 없다. 다만, 최근에는 부유한 자산가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대형 연기금들이 사모펀드에 위탁운용을 의뢰하는 사례도 있다. 아무래도 자신들이 직접 투자하기 까다로운 부분들이 있기 때문에 그런 걸로 보인다.

4 유명 회사

  • 블랙스톤: 가장 유명한 사모 펀드로 힐튼 호텔을 사기도 하는듯 크고 아름다운 M&A를 많이 하고 있다. 사장인 스티브 슈워츠먼은 억만장자로 New King of Wall Street이라고 까지 불리고 있다.
  • 칼라일 그룹: 2013년 기준 운용 규모가 가장 큰 사모펀드. 2000년 한미은행 지분을 인수한 적이 있다.
  • KKR (Kohlberg Kravis Roberts): RJR Nabisco[5]을 LBO 방식으로 인수한 과정을 다룬 책 Barbarians at the Gate 로 유명한 사모펀드. 최근 국내에서 성사시킨 건수로는 OB맥주 재매각이 있다. 투자한 지 5년만에 400% 수익을 내고 되팔았다.[6]
  • 론스타: 국내에서는 외환은행 인수로 악명높은 미국 텍사스 주 소재의 사모펀드. 론스타 게이트 참조
  • 피닉스 컨소시엄: 영국 자동차산업의 마지막 보루였던 MG로버 그룹의 주인이였다. 2000년에 MG로버를 인수했을 때 환영받기도 했으나, 경영 관련 논란과 제정난으로 2005년 4월에 폐쇄되었다. 존 타워스(John Towers)전 로버 회장을 포함한 경영진 4인은 현재 기업 경영을 금지당한 상태이다.
  1. 패밀리 오피스 같은 경우도 있긴 하지만 여기는 인지도가 너무 낮아서...
  2. 세계최대의 사모펀드중 하나인 블랙스톤그룹은 평균연봉이 81만 달러다! 물론 ceo단위로 가면 수천억단위로 뛴다.(그래도 헤지펀드보단 낮은 감이 있다. 헤지펀드 CEO 중에는 일년에 단위로 버는 사람이 있으니....)
  3. 사실 바이사이드뿐만 아니라 모든직장에서 연봉이 가장높은 직장들이 상위권 사모/헤지펀드들이다. 의사, 변호사와는 말할 것도 없을 정도로 격차가 크고 어느정도 승진하면 대기업 최고경영자보다 더 많이 번다
  4. 영어로는 Dividend Recapitalization
  5. 세계적인 식품회사. 오레오도 이 회사 상품이다.
  6. CEO를 교체해 전권을 위임해서 회사체질 개선에 성공, 맥주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