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가나 오십음도
あ단い단う단え단お단
あ행
か행
さ행
た행
な행
は행
ま행
や행
ら행
わ행
기타
あ゙お゙
요음촉음

1 개요

  • 가타카나: セ (世의 약자)
  • 히라가나: せ (世의 초서)
  • 국립국어원 일본어 표기법: 세
  • 라틴 문자 표기: se
  • IPA: /se̞/ (치경 마찰음 + 전설 중모음)
  • 일본어 통화표: 世界のセ (세카이노 세)
  • 일본어 모스 부호: ・---・

さ행 え단 글자이다.

2 さ행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さ행의 탁음은 じ를 제외하고는 모두 유성 치경 마찰음 /z/로 한글로 표기할 수 없는 발음이지만 그나마 가까운 으로 표기한다. 경우에 따라서 유성 치경 파찰음 /d͡z/ 으로 읽는 사람들도 있다고 한다. 일본 내에서도 이를 구분해서 들을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한다.

3 え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え단의 모음은 전설 중모음. 한국어의 ㅐ(/ɛ/)와 ㅔ(/e/)의 중간 정도의 발음이지만 현재 한국어에서 ㅐ와 ㅔ가 합쳐지는 식으로 변하고 있기 때문에 거의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え단 모음의 장음은 히라가나에서는 え를 쓰기도 하지만 주로 를 써서 표현한다. 가타카나로는 다른 모음과 마찬가지로 장음 기호 ー를 쓴다.

자세한 설명은 일본어 장음 판별법의 '기본' 부분 참고

4 모양


둘 다 세상 세(世)의 음에서 따왔다. 지금도 せ라고 잘 읽지만 せい로 장음이 될 때도 있다 ex) 世紀(せいき). 훈으로 よ라고 읽을 때도 많으니 주의.

히라가나 せ는 주음부호 ㄝ(e)와 굉장히 닮았다. 복붙해놓고도 히라가나를 쓴 줄 알았다 하지만 이 글자는 也에서 왔다. 또한 카타카나 セ는 사팔뜨기 먀(乜)와 닮았다.

5 발음

한국어 '세'와 거의 같다.

portujape.png

'예'였던 와 유사하게 옛날에는 '셰'라고 발음되던 시기도 있었는지 발음이 'xe'라고 표기되어있다. 해당 서적은 1600년대에 나온 일본 대문전(日本大文典;Arte da lingoa de Iapam)이라는 책351쪽.

sasye.png

한편 간토 지방에서는 그 당시에 이미 '세'라고 발음했다고 적고 있다(340쪽). 과거에는 사투리 발음이었던 것이 표준으로 굳어진 셈이다. 일본 위키피디아 せ 항목에 따르면 간사이 지방이나 도호쿠 지방 방언에는 여전히 '셰'라고 하는 곳도 있다는 모양이다.

참고로 위 사진에서 Xi라고 적혀져있는 는 여전히 구개음화된 상태여서 저 당시와 발음이 변하지 않았다.

한국어에서도 현재에는 '세'로 읽는 걸 구한말에는 '셰'로 읽었고 적기도 그렇게 적었었다. 한국어에서는 뭐 '세' 뿐 아니라 '사', '소' 등도 다 '샤', '쇼'가 됐지만.

과거의 이 '셰', 혹은 '체' 등을 표기하기 위해서 반탁 せ゜을 쓰기도 했으나 현재에는 쓰지 않는다.

6 쓰임

6.1 する의 명령형

행 불규칙 동사(サ行変格動詞)인 する는 명령형일 때 어간이 せ로 바뀐다. 그냥 그 상태로도 명령형이 되고, よ를 붙이기도 한다. 구어에서는 다른 동사와 비교적 유사하게 꼴로 しろ를 쓰기도 한다.

6.2 사역형

일본어에서 사역형은 あ단 + せる(5단 동사), させる(상/하 1단 동사)로 せ가 들어간다. 한국어로 치자면 '이히리기우구추'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한국어에 비해서 일본어는 사역형을 꽤 폭넓게 쓰는 편이어서, 번역할 때 직역하려 치면 '시키다', '~하게 하다', '하게 만들다' 식으로 꾸역꾸역 말을 만들어야 하는 일이 가끔 있다.

자동사의 사역형이 타동사로 굳어진 사례도 있다. 会う(맞다) - 合わせる(맞추다) 등.

여담으로 같은 한자어여도 한국어/일본어에서 자동사/타동사가 갈리는 경우가 있어서 させる를 '시키다'로 직역할 수 없을 때가 있다. 예를 들어 壊滅(かいめつ;괴멸)의 경우 일본어 壊滅する는 자동사로 '전멸하다'와 유사하게 '東京が壊滅する日'라고 쓸 수 있다. 하지만 한국어 '괴멸하다'는 '~을 부순다'는 타동사라서 무언가'를 괴멸할' 수는 있지만 무언가'가 괴멸할' 수는 없다. 그러려면 ~'가 괴멸되다' 라고 써야 한다. 한자어의 자/타동사 구분은 한국에서나 일본에서나 굉장히 혼동되는 부분이긴 하지만.

5단 동사의 경우 あ단 + せる를 あ단 + 로 쓰기도 한다. ex) 動かせる → 動かす 형의 가능형 역시 せる가 되니까 약간 헷갈릴 수도 있다. 다른 형태의 동사는 그렇게 쓸 수 없다. ex) 見させる → 見さす(X)

반면 피동형은 주로 あ단 + れる(5단 동사), られる(상/하 1단 동사)로 가 들어가는 것으로 서로 쌍을 이룬다. 그래서 일본어에서는 이 둘을 동시에 쓴 '사역피동태(使役受動態)'가 있다. 'させられる' 꼴. '누가 시켜서 하게 됐다'라는 뜻이니만큼 보통 '억지로 ~했다' 식의 뉘앙스가 된다. 구글에 書かされた를 검색해보자 앞서 말한 대로 한국어엔 사역형이 그다지 쓰이지 않아서 문법 요소를 직역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에서 소개했듯이 일본어의 자/타동사가 る/す로 대립하는 것 역시 이 피동/사역이 れ/せ로 대립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6.3 음독

世 말고는 별로 없다. 施는 '보시(布施)'라는 단어에서만 せ라고 읽는다. 반면 せん, せい로 읽는 한자들은 아~주 많다. 한국 한자음으로는 주로 서/성/세/전/정/제/천/청... 등에 해당된다.

6.3.1 せい vs. しょう

せい로 읽는 한자들은 しょう로도 읽을 때가 있다. さ행 외에도 모든 행이 다 그렇다. 이 역시 한음 vs. 오음의 차이로, 한음이 えい, 오음이 ょう이다.

  • 正(せい・しょう): 正面(しょうめん) 正式(せいしき)
  • 性(せい・しょう): 相性(あいしょう)
  • 生(せい・しょう): 誕生(たんじょう) 再生(さいせい)
  • 省(せい・しょう): 省略(しょうりゃく)

6.4 훈독

등을 뜻하는 背를 せ라고 읽는다. せ라고만 쓰면 '키'라는 뜻도 되므로 '등'만 지칭하기 위해 背中(せなか)라고도 한다. 키가 크면 등이 넓긴 하겠지만

여울 뢰(瀨) 역시 せ로 읽는데, 이 글자가 들어가는 가장 유명한 지명은 아마도 세토내해(瀬戸内海)일 듯하다. '세'가 꽤 괜찮은 어감이라서 사람 이름에도 많이 쓰인다. 綾瀬(아야세)나, 아까 말한 瀬戸(세토) 등. 사실 せ로 읽는 글자 중 이름으로 쓸 글자는 世나 瀬뿐이라... 등 배(背)나 척추 척(脊)을 쓰면 이상하잖아(..). せ가 들어가는 이름엔 대체로 瀬가 많이 쓰인다.

6.5 기타

'세 리그(セ・リーグ)'라고만 하면 센트럴 리그를 뜻하는 말이 된다. 반댓말(?)은 퍼시픽 리그를 뜻하는 '파 리그(パ・リーグ).

일본 도도부현에서 せ가 들어가는 지명은 하나도 없다. 이 말을 들었을 때 퍼뜩 떠오르는 '센다이(仙台;せんだい)'는 미야기 현으로 현 이름으로는 쓰이지 않는다. 도도부현에 쓰이지 않는 글자로는 け, そ, ぬ, へ, む, ゆ, る, れ, を 등 총 10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