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가나 오십음도 | |||||||||||||||||||||||||||||||||||||||||||||||||||||||||||||||||||||||||||||||||||||||||||||||||||
\ | あ단 | い단 | う단 | え단 | お단 | ||||||||||||||||||||||||||||||||||||||||||||||||||||||||||||||||||||||||||||||||||||||||||||||
あ행 | あ | い | う | え | お | ||||||||||||||||||||||||||||||||||||||||||||||||||||||||||||||||||||||||||||||||||||||||||||||
か행 | か | き | く | け | こ | ||||||||||||||||||||||||||||||||||||||||||||||||||||||||||||||||||||||||||||||||||||||||||||||
さ행 | さ | し | す | せ | そ | ||||||||||||||||||||||||||||||||||||||||||||||||||||||||||||||||||||||||||||||||||||||||||||||
た행 | た | ち | つ | て | と | ||||||||||||||||||||||||||||||||||||||||||||||||||||||||||||||||||||||||||||||||||||||||||||||
な행 | な | に | ぬ | ね | の | ||||||||||||||||||||||||||||||||||||||||||||||||||||||||||||||||||||||||||||||||||||||||||||||
は행 | は | ひ | ふ | へ | ほ | ||||||||||||||||||||||||||||||||||||||||||||||||||||||||||||||||||||||||||||||||||||||||||||||
ま행 | ま | み | む | め | も | ||||||||||||||||||||||||||||||||||||||||||||||||||||||||||||||||||||||||||||||||||||||||||||||
や행 | や | ゆ | よ | ||||||||||||||||||||||||||||||||||||||||||||||||||||||||||||||||||||||||||||||||||||||||||||||||
ら행 | ら | り | る | れ | ろ | ||||||||||||||||||||||||||||||||||||||||||||||||||||||||||||||||||||||||||||||||||||||||||||||
わ행 | わ | ゐ | ゑ | を | |||||||||||||||||||||||||||||||||||||||||||||||||||||||||||||||||||||||||||||||||||||||||||||||
기타 | ん | 々 | ・ | ||||||||||||||||||||||||||||||||||||||||||||||||||||||||||||||||||||||||||||||||||||||||||||||||
あ゙ | ヴ | お゙ |
요음 | 촉음 | ||
ゃ | ゅ | ょ | っ |
1 개요
- 가타카나: ト (止의 약자)
- 히라가나: と (止의 초서)
- 국립국어원 일본어 표기법: 토/도(탁음, 어두)
- 라틴 문자 표기: to/do
- IPA: to̞ (무성 치경 파열음 + 후설 원순 중모음[1])
- 일본어 통화표: 東京のト (도쿄노 토)
- 일본어 모스 부호: ・・-・・
た행 お단 글자이다.
2 발음
자음은 상술한 대로 무성 치경 마찰음이며 모음은 후설 원순 중모음이다. 후설 원순 중고모음인 한국어의 ㅗ보다 조금 혀가 낮다.
3 모양
히라가나, 가타카나 모두 멈출 지(止)에서 유래했다. 아마도 훈으로 읽는 とまる에서 유래한 듯. 가타카나 ト는 점 복(卜) 자와 매우 닮았지만 별 상관 없다.
지금은 쓰이지 않지만 변체가나로 登의 초서체도 쓰였다고 한다.
4 쓰임
- ~와 함께: 花と夢 (꽃과 꿈)
- ~라고: なんだと(뭐라고)
- ~하면: 雪が解けると春が来る(눈이 녹으면 봄이 온다)
- 의성어/의태어에 붙어 ~~하니: にこにこと笑った (싱글벙글하니 웃었다)
- ~그 이상은 않겠다는 조사: 二度とやらない(두 번 다시 하지 않겠다)
함선에서는 드레드노트의 약자로 쓰이기도 한다. 이 때는 弩라는 한자를 쓰기도 한다. '굉장히'라는 뜻의 접두사로 쓰이는 ど 역시 드레드노트에서 왔다는 설이 있다. 한편으로는 오사카에서 쓰이던 방언의 일종이라는 설도 있다.
그밖에 일본 장기에서 보병(步)을 승급시키면 と라고 쓰여진 말로 승급된다. 한국 장기와 마찬가지로 말들 이름이 다 한자로 쓰여진 일본 장기에서 유일하게 히라가나가 써진 말이다. 하필 と를 쓰게 된 이유로는 '步의 유래인 止의 초서체라서', '金의 초서체' 등등의 설이 있다.
오십음도로는 20번째로 특별할 게 없는 글자지만 이로하 순으로는 7번째로 상당히 빨리 나온다. 첫 줄 イロハニホヘト에 바로 들어있다. 그래서 과거에는 7번째를 뜻하는 의미로 꽤 쓰였다. 치토 전차는 중(中;チュウ) 전차 중 7번째(ト)로 만들어져서 치토(チト)가 된 것이다.
또한 7음계를 베이스로 쓰는 음계에서도 딱 ト까지 쓰여서 ト는 서양식 음계로 치면 G, 한국식으로는 사에 해당한다. 그래서 ト長調라고 쓰여져 있으면 사장조가 된다. 음계로 쓰일 때에는 주로 가타카나로 쓰는 듯하다.
각본 지시문을 ト書き(토 문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지시문은 (~라고 행동했다, 라고 말했다) 식으로 ~라고(と)가 많이 들어가기 때문이라는 듯하다.
5 한글 표기
어두에서 도, 어중에서 토로 적는다.
6 외래어에서
일본어는 외래어에서 다른 자음이 모음이 없이 끝날 때는 う단으로 적는 편이지만(recycle - リサイクル / slim - スリム)[2] た행에서는 つ가 완전히 다른 발음이기 때문에 と를 쓴다. light(/laɪt/)를 ライト라고 쓰는 식.[3]이는 모음 없는 자음이 연달아 이어지는 단어 strike(/straɪk/)의 표기를 통해 알 수 있는데, ストライク라는 표기를 보면 /s/나 /k/는 ス/ク로 う단 글자를 쓰지만 /t/는 ト로 쓰는 것을 볼 수 있다.[4]
7 다른 가나와 조합
상술했듯이 모음 없이 쓰이는 무성 치경 마찰음에 대해서 일본어에서는 ト를 쓸 때가 많은데, 현대에 들어서 /to/가 아닌 /t/, 혹은 /tu/에 가까운 표기를 해야 할 필요성이 생기면서 이 발음을 표시하기 위해 と와 う를 조합해서 トゥ(알파벳 입력으로는 twu)라는 표기를 쓰기도 한다. 게임 투하트(トゥハート)가 그러한 사례. 주로 영어 to를 표기할 때 トゥ를 쓰는 듯한데 희한하게도 같은 발음인 two는 여전히 ツー로 쓸 때가 많다.
이는 아마도 유입된 시기나 일본어에 동화된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 듯하다. 일본 문부성 외래어 표기 고시에 따르면 トゥ라는 표기는 외래어 표기시 쓰이는 가나 중 2분류로, '아직 일본어에서 자주 쓰이지 않아서, 원어의 발음을 좀 더 확실히 적어야 하는 경우에 쓰는 글자'로 분류된다.[5] 만약 일본어에서 널리 통용되게 되면 トゥ가 아닌 ツ로도 적을 수 있게 된다. 한국어에서의 외래어 표기법 규정과는 달리 언제 トゥ를 쓰고 언제 ツ를 쓰는지에 대해서 각 단어마다 정해져 있지는 않다. 그렇게 치면 숫자 two는 확실히 근대 초부터 넌더리나도록 많이 썼을 것임에 비해 전치사 to는 그렇게 자주 쓸 리가 만무하므로, 영어로는 같은 발음이어도 일본어로는 다른 글자로 적는 걸 이해할 수 있을 법하다.
한편 오키나와어에서는 とぅら(호랑이), とぅんじー(동짓날)처럼 /tu/음가를 자주 들을 수 있으므로 とぅ가 많이 사용된다. 이건 /ti/ 음가를 표기하는 てぃ도 마찬가지. 다만 옛날에는 と를 /to/로 읽기도 하고 /tu/읽기도 했었다.
과거에는 아이누어나 중국어의 해당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 반탁점을 써서 ト゜를 쓰기도 했다는 모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