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가나 오십음도
あ단い단う단え단お단
あ행
か행
さ행
た행
な행
は행
ま행
や행
ら행
わ행
기타
あ゙お゙
요음촉음

1 개요

  • 가타카나: ス (須의 약자)
  • 히라가나: す (寸의 초서)
  • 국립국어원 일본어 표기법: 스/즈(탁음)
  • 라틴 문자 표기: su/zu
  • IPA: /sɯ̹̈/ (치경 마찰음 + 후설 평순 고모음 + 원순 + 중설[1])
  • 일본어 통화표: すずめのス (스즈메노 스)
  • 일본어 모스 부호: ---・-

さ행 う단 글자이다.

2 さ행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さ행의 탁음은 じ를 제외하고는 모두 유성 치경 마찰음 /z/로 한글로 표기할 수 없는 발음이지만 그나마 가까운 으로 표기한다. 경우에 따라서 유성 치경 파찰음 /d͡z/ 으로 읽는 사람들도 있다고 한다. 일본 내에서도 이를 구분해서 들을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한다.

3 う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모음은 후설 평순 고모음(/ɯ/)으로 ㅜ(/u/)와 ㅡ(/ɨ/)의 중간발음 정도라고 생각하면 된다.

4 발음

치경 마찰음 + 후설 평순 고모음인데, 다른 う단과 달리 중설화 기호(위의 점 2개)가 붙어있다. 참고로 아래의 쉼표 같은 기호는 원순화 기호인데, 이는 일본어 う행에 기본적으로 다 달려있다.

5 모양


유래가 된 글자는 각각 다르다. 두 글자 다 음에서 따왔으며, 지금도 음에 す가 들어간다.

가타카나 ス는 須의 어디를 따왔는지 언뜻 보기엔 잘 짐작이 안 되지만 아래의 오른쪽 아래의 ハ 부분과 위의 一자에서 따왔다고 한다.

가타카나 ス는 한글 과 모양이 비슷하다. ㅈ은 원래는 좌우 획이 한 점에서 뻗어나가는 식이지만 현재에는 ㄱ자를 쓴 후 오른획을 쓰는 자형도 생겼는데, ス는 처음 생겼을 때부터 저 형태였다는 게 차이점. 그래서 마찬가지로 한글 자모를 닮은 ト(ㅏ), ヲ(ㅋ), レ(ㄴ) 등과 같이 쓰인 글자들은 순간 한글로 조합되어 보이기도 한다(..). 항목을 보면 ストレス를 '잕'으로 보인다는 이야기가 있다.

히라가나 す는 손으로 쓸 때는 꼬리를 잘 내려서 쓰지 않으면 お하고 헷갈릴 수 있다.

6 쓰임

6.1 존경어의 종결 글자

です, ます 등 존경어의 끝부분이 す로 끝나기 때문에 문장에서 꽤 자주 볼 수 있다.

6.2 する의 어간

'하다'를 뜻하는 する의 어간으로 한국어에도 많이 있는 한자 단어 + 하다 꼴에 する가 들어간다. 이 형태는 과거 문어체에서는 ス만 쓰기도 했다. 그래서 특히나 한자를 많이 쓰던 태평양 전쟁 이전 문서에는 ス가 문장마다 거의 꼭 들어가있다. 이 する는 -し / -せよ 등 어간이 さ행에서 왔다갔다 변화하기 때문에 '행 변격 동사(サ行変格動詞)'라고 부른다.[2] 참고로 -じる 꼴도 이 する와 관련이 깊다. 문서 참조.

6.3 타동사의 종결형

일본어에서 많은 경우 -(れ)る/-す 꼴로 자/타동사가 짝을 짓는다.

타동사자동사
落とす(떨어뜨리다)落ちる(떨어지다)
直す(고치다)直る(고쳐지다)
起こす(일으키다)起きる(일어나다)
返す(돌려놓다)返る(돌아오다)
流す(흘리다)流れる(흘러가다)
渡す(건네다)渡る(건너다)
潰す(부수다)潰れる(부서지다)
外す(벗기다)外れる(벗겨지다)
通す(뚫다)通る(뚫리다)

한편 かける(걸다)/かかる(걸리다)처럼 둘 다 る로 끝나는 경우도 있고, 타동사만 있고 자동사는 수동형으로 쓰는 경우도 있다.

6.4 훈독

훈 읽기로 す는 酢, '식초'가 되기도 한다. 그래서 '요리의 사시스세소'의 す를 담당하기도 한다. 참고로 나머지는 とう(설탕), お(소금), うゆ(간장), み(된장)이다. 여기에서 '시다'라는 뜻의 형용사 酸っぱい(すっぱい)가 나왔다. 이 뜻의 す는 초밥을 뜻하는 すし(스시)의 어원이기도 하다. #

素 역시 す가 되는데 접사로도 쓰이고 형용사로도 여기저기 들어간다. 素敵だ, 素早い, 素直 등등.

巣(둥지) 역시 す로 읽는다.

6.5 음독

훈으로 す라고 읽는 한자는 꽤 많지만 음이 す인 한자는 비교적 별로 없다.

6.6 부사형 종조사 ず

탁음 ず는 '-하지 않고'라는 뜻이 있다. 변화형 동사에는 주로 あ단에 붙는 것이 -ない와 동일. 相変わらず(변함없이), 知らず(모르는), とりあえず(우선) 같은 단어는 아예 굳어져서 쓰이는 사례이다. 뒤에 가 잇따르기도 한다.

6.7 기타

과거에는 새를 뜻하는 단어이기도 했다. 그 흔적으로 새를 뜻하는 단어에 す가 들어가 있는 게 좀 있다. カラス(까마귀), ホトトギス(두견이), ウグイス(섬휘파람새) 등.

이로하 노래 순으로는 대망의 꼴찌다. 47번째. 버전에 따라서 ん이 뒤에 잇따르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해당 노래가 만들어졌을 헤이안 시대에는 ん이 쓰이지 않아서 보통은 す로 끝난다. 참고로 이 가사에서의 쓰임은 바로 윗줄에 쓰여진 '-하지 않고'라는 뜻의 ず이다. 당시에는 탁음점을 쓰지 않았기 때문에 해당 용도로서 쓰일 때 발음이 す였는지 ず였는지는 표기로는 구분할 수 없다.

일본 도도부현 지명에서는 시즈오카(静岡;しずおか) 현에만 들어간다. 해당 현의 다른 글자들 し, お, か는 다른 현 지명에도 꽤 자주 쓰인다.

7 한글 표기

'스'. 다른 う행과 달리 ㅜ가 아닌 ㅡ로 적는다. 원순성에는 다른 う단과 그다지 차이가 없으나 중설화되었다는 점이 영향을 줬을지도?

ジ를 제외한 다른 さ행 탁음과 마찬가지로 ズ는 유성 치경 마찰음(/z/)으로 한글로 표기할 수 없는 발음이다. 그나마 가까운 치경구개 파찰음 로 대신 적고 있다. 아예 다른 자음이다 보니 일본에서 정말 '즈'로 발음하면 ジュ로 알아들을 가능성이 더 높다. 그래서 ありがとうございました를 처음 배우는 사람들은 ごじゃいます라고 한다더라, 하는 이야기도 있고. 뭐, 그래도 한글에 없으니 한국어에서의 표기는 ㅈ 말고 달리 방법은 없다. ㅿ를 되살린다면 모를까(...)

8 다른 가나와의 조합

シ의 초성이 치경구개 마찰음으로 구개음화되어있기 때문에, 치경 마찰음 + /i/를 표현하기 위해 スィ(swi)라는 표기가 쓰이기도 한다. 문부성에서 '이런 표기도 자유롭게 쓸 수는 있다' 정도로 언급한 걸로 봐서# 그렇게까지 자주 쓰이는 표기는 아닌 듯하다. 일본어 언중이 シ와 スィ를 어느 정도로 구분하는지에 대한 글이 올라와있기도 하다. #

구개음화되지 않은 발음을 위해 い행이 아닌 う행 + ィ로 표기하는 것은 ィ의 경우와 유사하다. 다만 ス의 경우 シ 외의 다른 さ행 글자들은 す와 발음이 같으니 スァ - スェ - スォ 같은 글자는 구태여 쓰지 않는다. 써봤자 サ - セ - ソ와 같은 발음일 테니까. 여담으로 한국어에서도 이 파괴적인(..) /i/ 발음으로 인한 변형을 막기 위해 ㅣ앞에 ㅡ을 첨가하기도 했었다. '빌딍'이라든지, 구개음화는 아니지만 '늬우스', 등등.
  1. 놀랍게도 문서가 생성되지 않았다.
  2. 또 하나의 유명한 불규칙 동사 くる는 か행에서 어간이 변하므로 カ행 변격 동사라고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