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가나 오십음도
あ단い단う단え단お단
あ행
か행
さ행
た행
な행
は행
ま행
や행
ら행
わ행
기타
あ゙お゙
요음촉음

1 개요

  • 가타카나: サ (散의 약자)
  • 히라가나: さ (左의 초서)
  • 국립국어원 일본어 표기법: 사
  • 라틴 문자 표기: sa
  • IPA: /sä/ 치경 마찰음 + 중설 평순 저모음
  • 일본어 통화표: 桜のサ (사쿠라노 사)
  • 일본어 모스 부호: -・-・- 은근히 귀엽다

さ행 あ단 글자이다.

2 さ행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さ행의 탁음은 じ를 제외하고는 모두 유성 치경 마찰음 /z/로 한글로 표기할 수 없는 발음이지만 그나마 가까운 으로 표기한다. 경우에 따라서 유성 치경 파찰음 /d͡z/ 으로 읽는 사람들도 있다고 한다. 일본 내에서도 이를 구분해서 들을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한다.

3 あ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모음은 중설 평순 저모음(/ä/)으로 중설 평순 근저모음인 한국어 ㅏ(/ɐ/)보다 약간 혀가 더 내려간다. 다만 NHK에서 펴낸 한국어 교재에는 'ㅏ'의 발음이 'あ'와 같은 발음이라고 표기됐다. 사실상 구분하지 않아도 될 정도의 차이라는 것.

일본어에는 '어' 계열 발음이 없기 때문에 외래어에서 '어'와 유사한 발음이 나는 발음들은 일본어에 들어올 때 주로 あ단으로 적는다. 그리고 영어의 er, or, ar을 모두 あ단으로 적는다. ex) peanut[|pi:t] → ピーッツ. 다만 한국인 이름의 일본어 표기에서는 어째서인지 お단으로 쓸 때가 많다. ex) 선 → ソン

4 모양


두 글자 모두 음에서 가져왔다. 과거에는 변체가나의 일종으로 히라가나 역시 散을 변형한 꼴을 쓰기도 했다.
히라가나 さ는 와 비슷하게 보이기도 한다. き와 마찬가지로, 아랫부분을 떼어서 쓸 때도 있고 붙여서 쓸 때도 있다. 사이타마시에서는 시 공식 표기로 이어서 쓰는 걸로 통일했다고 한다. 사이타마는 지명을 가나로만 적는 지역이라서 굳이 이런 것도 정해놓은 것.

히라가나 さ는 주음부호 ㄜ(e)와 닮았다. 대칭형 ㄘ(c)도 주음부호에 있다. 같은 행의 せ와 닮은 ㄝ(ye/e)도 있다.
에도 적혀있지만 ち와 거의 거울대칭형이라 처음 히라가나를 접했을때 굉장히 헷갈릴 수 있다. 네이버에 さ를 쳐보면 소설 <토지> 용어 사전에서 '토리우치(鳥打ち)'라는 단어가 '토리우사(鳥打さ)'로 나온다. 일본어 입력기로 이렇게 입력하기도 쉽지 않은데(...).
가타카나 サ는 굳이 비슷한 모양을 찾자면 취소선을 그은 와 닮아보일 수 있다.
左에서 따온 글자이긴 하지만 左는 뜻이 많은 탓인지, 근래에는 음차의 용도로는 佐를 쓸 때가 많다. 우사미(宇佐美) 등. 사사키(佐々木) 역시 음차일 가능성이 좀 있다. # 아, 물론 보좌(補佐) 같은 단어는 원래의 뜻대로 쓰이는 게 맞다.

시가 현 쿠사츠(草津) 시의 마크는 가타카나 サ를 모티프로 한 것이다.

5 한글 표기

무난하게 '사'로 적는다.

6 쓰임

6.1 형용사의 명사형 접미사

い형용사, な형용사의 어간에 さ를 붙이면 명사형으로 쓰인다. 美しさ(아름다움), 厳粛さ(엄숙함) 등. 한국어로 치면 - 명사형 접미사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6.2 말 끝에 붙는 말

주로 대화체에서 많이 쓰인다. ex) あのさ 어조를 나타내는 종조사가 다 그렇듯이 기계적으로 번역하기는 조금 곤란할 때가 많다. 경우에 따라 번역시엔 생략되기도 한다.

6.3 기타

'그러하다'라는 뜻의 そう는 역사적 가나 표기법에서는 さう였었다. 그 외에 '~인 것 같다', '~라고 하다'의 そうだ 역시 동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