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가나 오십음도
あ단い단う단え단お단
あ행
か행
さ행
た행
な행
は행
ま행
や행
ら행
わ행
기타
あ゙お゙
요음촉음

1 개요

  • 가타카나: コ (己의 약자)
  • 히라가나: こ (己의 초서)
  • 국립국어원 일본어 표기법: 코/고(탁음,어두)
  • 라틴 문자 표기: ko/go
  • IPA: /ko̞/ (연구개 파열음 + 후설 원순 중모음[1])
  • 일본어 통화표: 子供のコ (코도모노 코)
  • 일본어 모스 부호: ----

か행 お단 글자이다.

2 か행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か행 글자들은 탁음일 때 /ŋ/ 소리로 발음할 수도 있다. 이를 비탁음이라고 부른다. 한글로 치면 받침 과 같은 소리이다. 그래서 ありがとう와 같은 단어는 '아링아토'로도 들린다.

た행이나 さ행, は행, な행과는 달리 か행의 다섯 글자들은 자음 부분의 소리가 연구개 파열음(/k/)으로 모두 동일하다. ま행(/m/), や행(/j/), ら행(/ ɺ/) 역시 각 행의 자음이 모두 동일한 행들. 주로 치경음 계열이 い단에서 치경구개음으로 가기 때문에 자음이 동일한 행이 의외로 반반이다.

3 お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모음은 후설 원순 중고모음(/o/)으로 ㅗ(/o/)와 비슷하다.

4 모양


己에서 왔다. 己는 아직도 こ라고 읽지만, 한자음인 き라고도 읽는다.

히라가나 こ는 사람 눈썹을 닮아서 한때 인터넷 이모티콘으로 こ.,こ 같은 것을 쓰기도 했다.

5 쓰임

5.1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코(동음이의어) 문서의 12판, [[코(동음이의어)#s-paragraph|paragraph]]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子(し)를 훈으로 こ라고 읽는다. '아이', '작다' 등의 뜻으로 小(しょう)나 児(じ)로 쓰기도 한다.(성에 쓰인 예: 고이즈미(泉)) 아즈키쨩에서는 다마(だま;)라고 읽는 성씨의 한자(玉)를 다마(だま)라고 잘못 읽어서 그게 별명이 된 아이가 있다.(こ는 훈독, じ는 음독이다.) 사실 주인공 이름 아즈키(あずき)도 아즈사(あずさ)를 잘못 읽은 거다.

과거 일본에서 "작고 귀엽다", "사랑스럽다", "아이를 낳는다"와 같은 의미로 여성의 이름 뒤에 자주 쓰였다. '유코', '하나코' 등등. 이 밖에 다른 설로는 중국에는 '공자', '맹자' 등 성현의 존칭으로 아들 자(子)를 붙였는데, 일본에서 "중국에서 성인에게나 붙이는 글자를 우리는 미천한 여자에게도 쓴다(당시는 당연히 남존여비)!! 그러니 우린 중궈보다 우월ㅋ" 같은 느낌으로 사용했다는 썰이 있다. 당연히 신빙성은 떨어지는 편.

원래 ~子로 끝나는 여자 이름은 천황가의 작명습관이었다. 그러던 것이 메이지(明治) 시기 들어서는 이런 작명습관이 평민들에게도 확산된 것이다.

우연인지는 모르겠으나, 일본 황실황후를 비롯한 황태자비들과 왕자비들은 어째 모두 이름 뒤에 다 이 글자가 들어간다. 황실로 시집온 데이메이 황후(사다코) - 고준황후(나가코) - 미치코 황후 - 마사코 황태자비, 키코 비 등을 보면 알 수 있다. 데이메이 황후와 고준황후야 원래 화족, 황족 출신이었으니 그랬겠지만, 평민 출신인 미치코 황후, 마사코 황태자비, 키코 비까지도 돌림자마냥 '코'가 붙는다는 것이 재미있다.[2] 물론 본래 황실에서 태어난 공주들의 이름은 모두 '코(子)' 돌림이며,[3] 현대에 들어서까지도 이는 여전하다. 마코 공주, 카코 공주, 아이코 공주 등등.

일제강점기 시절에 일본의 영향을 받아서 한국에도 여성의 이름 뒤에 이 글자를 붙이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러한 모습은 국내 근현대소설을 읽다보면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다. 실제로 1950년대생의 여성 이름에서 가장 많이 쓰인 글자로 집계되기도 했다. 영자(英子), 미자(美子), 숙자(淑子), 말자(末子), 순자(順子), 혜자(惠子) 등 바리에이션은 무궁무진하다. 다만, 60~70년대를 지나면서는 거의 잘 쓰이지 않게 됐으며, 1990년대 이후에는 촌스럽다는 이유로 거의 쓰이지 않는 추세. 2010년대인 요즘에는 조금 지난 세대의 이름으로 여겨지는 모양이다. 북한에서는 70년대에 일본 이름이라고 이 이름이 들어간 걸 고치게 하여 어른들도 '자'를 '순'이나 '희', '숙'으로 많이 바꾼 바 있다.

이는 일본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우리는 흔히 이 글자를 일본 여자 이름의 대명사로 알고 있지만, 실제로 요즘에는 좀 촌티난다는 이유로 딸에게 이런 이름을 지어 주는 사람들은 과거에 비해 적다. 그러나 이 쪽 바닥으로 칭해지는 오타쿠 계열 영역에선 과 더불어 여전히 심심찮게 볼 수 있는 명칭으로, 흔히 어떤 대상을 모에화(+여성화)하여 탄생한 캐릭터(…)에 이런 이름이 붙는다. 모에선을 쬔 대상의 이름 뒤에 "~코"만 붙이면 순식간에 여자아이의 이름처럼 만들 수 있기에 실로 간편하다. 한국으로 치면 "~순이"같은 느낌.[4] 여자 이름이라는 인식이 있어서 만화에서 남자 캐릭터를 TS 시킬 때 원래 이름에 ~코를 붙여서 여성화(?)를 시키기도 한다.

유의할 점으로, 역시 일본인의 이름에 붙는 彦(げん)은 "ひこ"라고 읽으며, 한글(히코)로 적으면 ~코로 끝나기 때문에 얼핏 봤을 때에는 여자 이름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남자 이름에 들어가는 글자이다. 아라키 히로히코, 아즈마 키요히코, 세키 토시히코, 타치키 후미히코, 카케가와 히로히코, 야스이 쿠니히코, 키코 비의 친정아버지 가와시마 타츠히코(川嶋辰彦)[5] 등이 그 예이다.

5.2

주로 한자어 단어 앞에 ご(御)를 붙여서 공손한 표현을 만든다.(ex: ご苦労様, 御座) 순 일본어 단어에 주로 를 붙이는 것과 대비된다.(ex: お疲れ様) 이례적으로 '밥'이라는 뜻의 ごはん(ご飯)은 존칭을 쓸 때가 아니어도 꽤 자주 쓰인다. 일단 めし(飯)보다 공손한 말이긴 하다. 물론 예외도 있다.(ex: お宅, ご割引)

5.3 '이것'이라는 뜻의 어간

これ(이것), この(이-), こなた(이분) 등 その/あの에 비해서 제일 가까운 것을 지칭하는 표현으로 쓰인다. 한자로는 是(ぜ)나 此(し)를 써써 是の/此の라고 쓸 때도 있지만 최근에는 그렇게 잘 쓰지 않는다. 다만, その/あの와 비슷한 말인 かの, かれ는 거의 한자(彼)로 적는다.

6 한글 표기

어두나 탁음이면 '고', 그 밖에는 '코'로 적는다.

추가 바람
  1. 정확히는 ɤ̞와 o̞의 중간이다.
  2. 사실 쇼와 초기(1937~41년)에 들어서는 전체 일본 여성의 73%가 子로 끝나는 이름을 썼을 정도이고, 마사코 황태자비키코 비 세대인 1960년대생까지도 子로 끝나는 이름이 대세였으니 놀라운 일은 아니다.
  3. 왕자들의 이름은 '히토(仁)' 돌림이다.
  4. 지금은 약간 촌스러운 느낌이 든다는 것까지 비슷하다.
  5. 가쿠슈인 대학 경제학부 교수를 지낸 저명한 경제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