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가나 오십음도
あ단い단う단え단お단
あ행
か행
さ행
た행
な행
は행
ま행
や행
ら행
わ행
기타
あ゙お゙
요음촉음

1 개요

死 와는 관련없다

  • 가타카나: シ (之의 약자)
  • 히라가나: し (之의 초서)
  • 국립국어원 일본어 표기법: 시/지(탁음)
  • 라틴 문자 표기: si/zi(ji) (훈령식) shi/ji (헵번식)
  • IPA: /ɕʲi/ 치경구개 마찰음 + 전설 평순 고모음
  • 일본어 통화표: 新聞のシ (심분노 시)
  • 일본어 모스 부호: --・-・

さ행 い단 글자이다.

2 さ행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さ행의 탁음은 じ를 제외하고는 모두 유성 치경 마찰음 /z/로 한글로 표기할 수 없는 발음이지만 그나마 가까운 으로 표기한다. 경우에 따라서 유성 치경 파찰음 /d͡z/ 으로 읽는 사람들도 있다고 한다. 일본 내에서도 이를 구분해서 들을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한다.

3 い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い단의 모음은 한국어의 와 정확히 동일하다. 나머지 네 모음은 약간 다르다.

4 발음

/i/의 영향으로 구개음화되어 さ행에서 혼자 치경구개 마찰음(/ɕ/)이다. 구개음화되지 않은 /si/를 위해 ィ라는 표기가 있기도 한데 아주 자주 쓰이진 않는다.

탁음 ジ는 유성 치경구개 파찰음(/d͡ʑ/)으로 한국어 ㅈ/ㅊ와 같은 발음이다. 정확히는 유성이니까 어중에 오는 ㅈ/ㅊ과 같다. 어두에 오는 ㅈ/ㅊ(/t͡ɕ/)는 와 동일. 주로 가나에서는 탁음을 붙이면 무성 - 유성으로 바뀐다는 걸 생각하면(は행처럼 아예 조음 위치가 바뀌는 경우도 있지만) 사실 유성 치경구개 파찰음으로는 ヂ를 쓰는 게 더 언어적으로 합당할 수 있다. シ는 위에 썼듯이 치경구개음이긴 해도 마찰음이니까. 실제로도 ヂ는 ジ랑 같은 유성 치성구개 파찰음이지만 1946년에 같은 음을 가리키는 두 글자 중 하나만 쓰기로 하면서 ヂ를 버렸다. 아마 ジ가 더 많이 쓰여서 그랬던 것 같다.

초성으로 /z/를 갖고 있지 않지만 다른 さ행 탁음과의 일관성을 위해서인지 알파벳으로 'zi'라고 표기하기도 하며(훈령식) 알파벳 입력으로도 해당 입력을 지원한다. 발음상으로는 ji가 더 적합하고 이쪽으로도 입력 가능.

지역에 따라서는 ヅ - ズ - ジ - ヂ의 발음이 다르기도 하다. 현대 가나 표기법에선 ヅ = ズ ≠ ジ = ヂ으로 보고 있지만 네 개가 다 같은 음가인 동네도 있고 네 개가 다 다른 동네도 있다. 이는 요츠가나를 참고하자.

5 모양


전혀 다르게 생겼지만 둘 다 之에서 왔다. 음에서 따온 것으로 之라는 한자 자체는 에서 훈으로 변환하는 게 더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음이 し인 한자가 워낙에 많기 때문에.

가타카나 シ는 와 매우 닮았다. 그래서 2채널에서는 야민정음마냥 ツ를 쓸 자리에 シ를 쓰고 반대로도 하는 놀이(?)를 하기도 한다나 보다. 점을 찍을 때 シ는 상하로, ツ는 좌우로 배치하여 찍는데, し가 상하로 길고 つ가 좌우로 길다는 걸로 외우면 좋다. 이거까지 반대였으면 진짜 헷갈렸겠다

6 한글 표기

シ는 무난하게 '시'이다. 두 글자는 알파벳 표기가 si / shi로 엇갈린다는 점까지 비슷하다(...). シ는 훈령식/헵번식에서 si와 shi로 갈리고, '시'는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선 si, 1984년 로마자 표기법으론 shi, 2000년대 현행 로마자 표기법으로는 si이다.

さ행의 탁음은 대체로 유성 치경 마찰음(/z/)이라 한글로 적기 곤란할 때가 많지만 ジ는 상술한 대로 어중의 ㅈ/ㅊ과 같은 발음이라 '지'로 적어도 발음의 차이 없이 적을 수 있다. さ-사, ざ-자의 관계를 보고 ジャ-쟈, ジュ-쥬, ジョ-죠 이렇게 옮기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ジャ-자, ジュ-주, ジョ-조로 옮기는 게 옳다. ザ, ズ, ゼ, ゾ의 발음이 현행 한국어의 표준어에 없기 때문에 그나마 비슷한 자, 즈, 제, 조로 옮기고 있는 것일 뿐.

숫자 7과 함께 야민정음으로 많이 쓰인다, ㄴ과 모양이 비슷하다

7 쓰임

7.1 (한자어)하다 じる

일본어 동사 중에서는 (한자음) + じる 꼴 동사들이 꽤 많다. 쉬운 단어 중에서도 感じる, 信じる, 禁じる, 論じる, 存じる 등등. 이들은 어원적으로 (한자) + する에서 온 것으로 보고 있다.# 해당 글자들 중에는 유난히 ん으로 끝나는 한자들이 많은데 이게 탁음화를 일으키면서 ずる가 되고, 이게 다시 じる로 변한 것. 실제로 感ずる라는 동사도 있는데 感じる보다 더 예스러운 느낌이 든다고 한다.#

7.2 -す 동사의 명사형(연용형)

す로 끝나는 단어들의 명사형으로도 자주 쓰인다. やり直し(다시 하기), 売り出し(매출), 梅干し(우메보시) 冷やし(히야시) 등. する의 경우 し가 되는데 이 때는 仕로 음차하기도 한다. お仕置き(벌칙), 仕業(행위), 仕度(준비), 仕事(일), 仕上げ(마무리), 仕掛け(장치) 등. 이러한 동사 명사형은 일본 문법 용어로는 연용형(連用形)라고 한다. 정확히는 좀 다르지만 동사에서는 거의 유사.

7.3 い형용사의 종지형(문어)

옛 일본어에서 い형용사는 문장 끝에 쓰일 때 い를 떼고 し를 붙였다(ク活用). しい꼴 형용사의 경우 い를 뗀 상태로 그대로 썼다(シク活用). 현대 구어에서는 다들 익숙한 대로 그냥 い꼴을 그대로 쓴다. 일본어 위키피디아에서 해당 형태를 문서명으로 쓴 사례는 少年老いやすく学なりがたし가 있다. 끝의 がたい가 がたし로 쓰인 예이다. '좋았어!' 등의 감동사로 쓰이는 よし 역시 よい(좋다)의 종지형에서 온 것이다. 요시 그란도 시즌

(여기 し 문서완 별 상관 없지만) ある와 ない의 종지형인 あり와 なし가 명사로도 쓰일 수 있기 때문에[1] 종지형 = 명사형이 아닌가 생각할 수도 있는데, 조금은 다르다. 다른 동사들은 종지형이 동사 원형과 동일하다(명사형은 る 탈락 or り꼴). 명사형과 종지형이 유사하다는 점은 한국어의 - 꼴과 유사하기도 하다. -ㅁ 꼴 역시 명사형이지만 음슴체, 개조식 등에서 끝맺음형으로 자주 쓰이고 독립신문 등을 보면 과거에는 끝맺음으로 폭넓게 쓰였기 때문.

그 외에 い형용사와 무관하게 수식형에서 き인 형태가 종지형에서 し가 되기도 한다. (べき↔べし) (ごとき↔ごとし) 등.

7.4 과거형 조동사 き의 수식형(문어)

현재는 과거형으로 만 쓰지만, 과거에는 き도 썼던 모양이다. 주로 ます꼴에 붙었다나. 그 형태의 수식형이 し으로, 위의 い형용사와는 정반대이다. 여기까지 말하면 거의 안 쓰일 거 같지만 가끔 쓰인다. 선택받은 아이들(選ばれし子供達)에서 選ばれし가 그 형태. 구어로는 가 수식도 하고 끝맺음도 하므로 選ばれた라고 쓸 수 있다.

7.5 음독

シ를 음으로 하는 한자는 무지하게 많다. 일본어 사전에 쳐봐도 5페이지가 넘을 정도. 한국 한자음으로는 '사', '시', '자', '지'의 음을 갖는 한자들이 주로 해당된다. 한국 한자음에도 '사' 음의 한자는 굉장히 많으니까 그 양을 짐작할 수 있다.

하필 죽을 사(死)가 し로 읽히는 바람에 불길하게 여겨진다고 한다. 숫자 4 역시 し로 읽히기에 불길한 숫자. 이는 4=死인 한국도 동일하다. 하지만 일본은 더 심해서 일본 자동차 번호판에는 し라는 글자를 쓰지 않는다. 그 외에도 , , 은 쓰지 않는다고. 지역에 따라 조금 차이는 있다.

7.6 기타

~하고, ~하고라는 표현으로 し가 쓰이기도 한다.

이로하 순으로는 42위로 꽤나 뒤에 있다. 맨 끝 줄 네 번째 가사. 앞서 死 때문에 し 자체를 꺼린다는 얘기를 했었는데, 42 역시 死に(죽음)이 되기 때문에 일본에서 꺼리는 숫자 중 하나이다. 안 그래도 미움 받는 글자가 순서도 불길한 순서(..).

8 외래어에서의 조합

일본 가나 중에 /ɕ/가 들어가는 유일한 글자이므로 /ɕ/가 들어가는 발음들은 모두 し+や행으로 표시한다. (シャ - シュ - ショ) 한국어에서 원래는 /sja/, /sju/, /sjo/여야 할 '샤/슈/쇼'가 /ɕ/ 표기에 쓰이는 것과 마찬가지. 어차피 일본어에서나 한국어에서나 /s/ + /i/(/j/)는 /s/가 버티지 못해 /ɕ/가 되어버리기 때문에 '/sja/는 어떻게 적지?' 고민할 필요가 없는 것.

や행엔 /je/가 없으므로 /ɕe/는 를 써서 シェ로 적는다. 이 동네에서는 로 잘못 적는 일은 없는 듯하다.

후치경 파찰음 /ʃ/을 표현하는 데 쓰이기도 한다. 사실 외래어에서는 이 쪽 발음을 표기할 일이 더 많은 듯. 이것도 한글 '시' 역시 마찬가지이다. 다만 혼자 있는 /ʃ/를 표기할 때는 한글/가나의 표기가 갈린다. 가나로는 대체로 シュ(슈)로 적지만 한글로는 언어마다 조금 다르긴 하나 자음 앞에서만 '슈'로 적고 그 외에는 '시'로 적을 때가 많다.
  1. ない는 い형용사 규칙에 따른 명사형은 な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