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가나 오십음도
あ단い단う단え단お단
あ행
か행
さ행
た행
な행
は행
ま행
や행
ら행
わ행
기타
あ゙お゙
요음촉음

1 개요

は행 え단 글자이다.

2 え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え단의 모음은 전설 중모음. 한국어의 ㅐ(/ɛ/)와 ㅔ(/e/)의 중간 정도의 발음이지만 현재 한국어에서 ㅐ와 ㅔ가 합쳐지는 식으로 변하고 있기 때문에 거의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え단 모음의 장음은 히라가나에서는 え를 쓰기도 하지만 주로 를 써서 표현한다. 가타카나로는 다른 모음과 마찬가지로 장음 기호 ー를 쓴다.

자세한 설명은 일본어 장음 판별법의 '기본' 부분 참고

3 발음

와 마찬가지로 무성 성문 마찰접근음(/h/)이다. 모음은 다른 え단과 마찬가지로 전설 중모음이고 미리 문서가 만들어진 에도 썼듯이 한국어의 ㅔ와 ㅐ가 흔들리고 있는 상황이라 현 한국어의 ㅔ와 거의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행을 전부 스치고 지나간 순음퇴화에 へ 역시 영향을 받았지만 へ 자체가 は행의 다른 글자보다는 덜 쓰이기 때문에 변화한 예를 찾기는 조금 더 어렵다. 조사 へ를 /e/로 읽는 것이 그 흔적이다.

4 모양


둘 다 部에서 왔다. 히라가나와 가타카나의 모습이 거의 동일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 モ, - カ처럼 조금 비슷한 것들은 꽤 있지만 아예 똑같이 생긴 것은 へ가 유일하다. 다만 이 글자도 약~간은 다르다. へ히라가나와 ヘ가타카나. 가타카나 쪽이 조금 더 뾰족하다. へヘへヘヘヘヘヘへ 이 중 뭐가 히라가나일지 찾아보자[3] 모양이 조금 다르니만큼 문자 코드도 다르다. 손글씨로는 거의 차이를 두는 게 불가능.

눈썹 모양을 닮아서 헤노헤노모헤지에서는 눈썹 역할을 하기도 한다.

5 쓰임

조사로 쓰인다. 상술했듯이 이 때는 발음이 '에'. 한국어 '(으)로'와 용법이 유사하다. 다만, 완전히 그렇다는 것은 아니며, 상황에 따라 의역이 필요하다. 일례로 '未来の遺産', 未来の逆転'은 주로 미래로의 유산, 미래로의 역전이 아닌 미래를 위한 유산, 미래를 향한 역전 등으로 번역된다.

'(에)게'와 용법이 겹칠 때도 있다.

한자 훈 읽기로는 辺(가장자리 변, 정자로는 邊)를 へ로 읽을 때가 많다. 이 글자가 들어가는 일본 이름 중에서 아마 제일 유명한 건 渡辺(와타나베)일 듯하다. 유래가 된 部 역시 훈 읽기로 여전히 へ라고 읽는다. 部屋(へや;방)가 대표적인 예. 방귀를 屁로 쓰고 へ라고 읽기도 한다.

병사 병(兵)은 일본어로 보통 ヘイ나 ヒョウ로 읽지만 뒤에 衛가 붙으면 ベエ라고 읽을 때가 있다. 타케나카 한베에야규 쥬베 등이 그 예. 이 때는 ベ와 エ를 가리키는 兵과 衛가 각각 다른 글자이기 때문에 장음처럼 보여도 한글로는 '베에'라고 따로 적는 게 맞다.

이로하 노래에서는 イロハニホヘ로 6번째이다. 음악에서는 바(F).

모스 부호로는 점 하나로 일본 가나 중에서 제일 간단하다.

감탄사로 'へえ' 라는 표현이 쓰이기도 한다. 무언가 이야기를 듣고서 '아~ 그렇구나' 싶을 때 쓰는 감탄사. 한국어에선 쓰이지 않기 때문에 번역체 문장에서 그냥 '헤에'라고 써버리기 쉽다.

へ, べ 합쳐서 둘 다 별로 안 쓰이는 가나 중에 하나이다. 누군가가 약 11만 7433 글자의 일본어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전체 글자 중에서 へ는 고작 270자 가량 쓰인다(..). 0.2%밖에 차지하지 않는 것. べ를 합쳐도 0.4%... # 한자로 표기된 것도 가나로 치환했을 때의 결과이다. 참고로 제일 많이 쓰이는 것은 い로, 5.6% 가량이다.

6 관련 문서

  1. へ べ ぺ 순이다. 이하 공통
  2. へ 한정
  3. 1, 3, 9번째가 히라가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