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항목 : 한국 요리
이런거
파일:Attachment/가래떡/구이.jpg
구운 가래떡
목차
1 개요
멥쌀가루를 찐 다음 안반에 놓고 친 후, 둥글려서 길고 가늘게 만든 흰 떡. 길고 가늘게 만드는 걸 가래를 뽑는다고 해서 가래떡이다. 또는 한갈래 이렇게 끊어먹는다고 하여 갈래떡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긴 하다. 경상도 일부 지역에서는 '골미떡'이라고도 한다. '가래떡'이라고 하면 가래를 먹느냐며 이상해 하기도 한다.
2 상세
한국의 대표적인 계절음식이었으며, 다른 전통식품들이 대부분 그렇듯 그 기원은 알려진 바 없다.
떡 중에서도 가장 흔한 떡으로 흔히 '떡' 하면 이 녀석을 연상시킬 정도로 유명하고 또 대중적이다. 특히 명절의 필수요소로서 덕분에 설날이 다가오면 동네 떡방앗간에서 미친 듯이 가래를 뽑는 걸 볼 수 있다. 송편만큼은 아니지만, 명절 때 떡집 자식들에게는 세상에서 둘도 없을 원수. 손은 많이 안 가지만 나르고 자르고 담는 게 일이다.(...)
보통 며칠 두어 굳힌 후, 동전 모양으로 잘라서 떡국용 떡으로 냉장 보관하는데, 이는 말랑말랑할 때 자르면 떡이 칼에 달라붙어서 자르기 어렵고 모양도 안 나오니, 하룻밤 정도 두었다가 겉이 적당히 차졌을 때 써는 것이다. 그렇다고 너무 오래 놓아두면 떡이 말라비틀어져서 흉기 비스무름하게 된다. 며칠 말려 놓은 가래떡은 그만큼 매우 단단하다. 맞아본 사람은 알겠지만 이거로 맞으면 아주 아프다. 아예 썰지도 못할 수 있게 되니 주의.
맛은 그냥 약간의 짭쪼름함과 고소함, 그리고 쫄깃한 식감 뿐이다. 이렇게 단순한 맛이지만 그 덕에 다양한 요리용으로 응용될 수 있다. 아니면 그냥 먹어도 되고. 특히 몇몇 떡과는 달리 쌀 말고 딱히 들어간게 없어서 향취도 단순하니 취향을 가장 덜 타는 떡이기도 하다.
이 떡은 주로 떡볶이를 만들때 많이 사용된다. 사실 이게 아니면 절편정도로 밖에 떡볶이를 만들 수 없다.
가래떡도 떡이니만큼 다양하게 응용이 가능할 것 같은데 생각보다 바리에이션은 잘 없다. 사실 떡이 다 거기서 거기이니 가래떡도 콩을 넣거나 쑥을 넣는 식으로 응용할 법도 한데, 가래떡 하면 그냥 쌀만 넣은 하얗고 순결한 떡만 취급한다. 그래도 바리에이션이 없는건 아니라서 아래처럼 밀가루를 넣는 식으로 변형하는 사례는 좀 있긴 있다. 그리고 떡볶이 등장 이후 얇은 녀석으로 많이 뽑히는 것도 있다. 요즘은 현미로 만들거나, 쑥가루 등을 넣어 알록달록한 색상으로 만드는 경우도 많다.
일반 가정집에서 가끔 쌀을 들고 방앗간에 가서 가래떡을 해달라고 하기도 한다. 대개는 명절에 많이 하지만, 명절이 아니라면 그 이유는 쌀벌레가 주체할수 없을만큼 많아서라는 원인 뿐. 우선 쌀을 바가지 에 놓고 물을 부어 떠오르는 쌀벌레 등을 대강 골라낸뒤 근데 귀찮으면 좋은 단백질 공급원이죠 쌀을 들고 방앗간에 간 뒤에 사정을 설명하면 가래떡이 되어 나온다. 다만 쌀벌레가 주체할수 없을 정도로 많아졌다는건 그만큼 쌀이 많이 오래되었다는 이야기이니 맛은 기대하지 않는게 좋다. 물론 갓 뽑은 상태에서 먹으면 따끈함 + 쫄깃함 + 쌀벌레의고소함의 시너지가 극대화되어 그 정도 맛의 차이는 어느정도 상쇄되는 편이다.
6.25 이후 흔해진 밀가루로 뽑는 가래떡도 있는데 보통은 쌀로만 만든 가래떡을 높게 친다. 가격도 쌀쪽이 비싸기도 하고... 다만 요리에 들어가는 가는 가래떡의 경우 밀가루가 가지는 식감이나 특성에서 이점도 있기 때문에[1] 전문적인 떡볶이 가게등에 납품하는 가래떡의 경우 일정비율 밀가루가 포함된 가래떡을 맞춰 쓰기도 하고, 그 가래떡의 쌀:밀가루 비율이 해당 점포의 영업비밀인 경우도 있다.
현재에는 기계로 뽑아내기 때문에 굵기가 일정했지만, 기계가 발명되기 전에는 밥알을 뭉쳐서 돌돌 말아서 만들었다고 한다.
3 맛있게 먹는 법
떡 중에서도 가장 단순한 형태의 떡 중 하나이므로 쌀의 질이 맛 전부를 좌우하며, 쫄깃쫄깃하고 단맛이 난다. 아깐 짜다며
떡에서 가장 기본인 만큼 식사용이든 간식용이든 다양하게 쓰이며, 떡 자체를 먹기보다는 요리용 중간재료로 만드는 떡이기 때문에 응용법이 다양하다. 위 사진처럼 길게 잘라 구워먹기도 하며, 떡꼬치처럼 튀겨먹거나, 떡볶이나 떡국, 떡갈비등을 만들 때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그 중에서 가장 맛있는 것은, 갓 뽑은 놈을 그대로 먹는 것이다. 갓 뽑고나서 한 시간 정도 후에,[2] 따뜻할 때 씹어먹는 그 맛은 웬만한 떡과 비교가 되지 않는다. 딱딱하게 굳은 가래떡을 전자레인지에 돌리거나 찜통에 쪄먹으면 이와 비슷한 맛이 나지만, 후자는 몰라도 전자는 수분이 빠져서 약간 퍽퍽하다. 이에 대한 대응법으로 물을 그냥 바르거나 물속에 살짝 담갔다가 꺼내서 전자레인지에 돌리면 그나마 좀 낫긴 하다만.
설날이나 추석 시즌에 선물 받아 굴러다니는 꿀을 찍어 먹으면 단맛이 시너지 효과를 낸다. 꿀이 없다면 설탕도 좋다. 조청은 더 좋다. 바삭바삭한 김도 가래떡과 만만치 않은 궁합을 자랑하며, 김에 싸서 간장이나 참기름등 각종 소스류에 찍어 먹어도 맛있다. 고추장과의 궁합은 환상적이다. 심지어 치즈도 잘 섞으면 맛있다. 그냥 안 어울리는 게 없다. 요리에도 활용되니 만큼 국물이나 소스가 맛있는 요리에 부재료로 그냥 넣기만 해도 웬만하면 다 잘 어울린다. 여기에 그 떡이 위에서 말한대로 갓 뽑은 녀석이라면 올레!
꿀에다 후추와 소금을 적당히 섞어 먹어도 맛있다 카더라
길거리 노점에서 간혹 연탄불에 구운 가래떡을 팔곤 하는데, 살짝 탄 겉은 바삭바삭하고 안쪽은 말랑말랑한 독특한 맛이다. 한국판 마시멜로라고 보면 될 듯. (생긴것도 비슷하고)
대구광역시, 부산광역시 등지의 노점 및 포장마차에서는 어묵과 같이 꼬치에 꽂아, 어묵 국물에 데워서 팔기도 한다. 일명 '물떡꼬지'. 어묵의 양념간장에 찍어 먹으면 맛있다.
...물론 어떻게 먹든 떡 자체의 고유한 약점인 칼로리 걱정은 해야 한다. 특히 상기한대로 설탕이나 꿀 같은걸 곁들이면 더더욱 안드로메다로...
참고로 만약 딱딱하게 굳은 떡이 있다면 절대로 그냥 버리지 말자. 딱딱한 떡을 그대로 오븐이나 팬 등에 강한 열로 구우면 쌀뻥튀기가 되서 바삭바삭하게 즐길 수 있다. 다만 팬에 조리할 때 화상을 입을 수도 있으므로 주의하자.
4 여담
관련 기념일(?)로는 11월 11일 '가래떡 데이'가 있다. 원래 이 날은 농업인의 날인데 모 유명한 막대과자의 기념일에 묻히는 바람에 안티테제로 농업인의 날을 알리기 위해 만든 데이 마케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