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국

2013020600899_2.jpg

1 소개

떡을 넣고 끓여 내는 계절 음식이자 설날의 대표음식.

떡국 국물은 기본적으로 고기로 하는 것이 원조. "꿩대신 닭"이라는 속담도 떡국을 만들 때 쓰는 꿩이 없으면 닭으로 했던 것에서 나왔다. 요즘은 쇠고기국물이 베이스이지만 지역에 따라 육수나 멸치육수, 북어육수 또는 사골국물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해안지방의 경우에는 , 매생이 떡국 같은 바리에이션도 존재한다.

빨갛고 맵다는 인식을 찾아볼 수 없는 음식 중 하나. 만두를 넣어서 떡만둣국을 만들 수도 있다. 처음부터 끓일때 떡을 넣는 특성상 녹말성분이 배어나와 일반적인 국요리와 달리 스프처럼 국물이 걸쭉해지는 것도 특징.

사용하는 떡으로는 조롱이떡 등의 배리에이션이 있지만 가장 대중적인 형태는 얇게 썰어넣은 가래떡을 사용한 떡국이다.

떡국 자체가 본래 긴 "가래떡"으로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국수처럼 장수의 의미로 설날에 먹는 풍습이 있다. 덧붙여 동그랗게(요즘은 사선으로 잘라 타원형인 떡국이 많지만 옛날엔 직선으로 잘라 동그란 형태가 많았다) 자른 떡은 엽전과 닮아 돈을 의미하기도 하는데, 그래서 새해의 첫날에 먹는 떡국은 장수를 누림과 더불어 새해의 재물복을 바라는 의미를 담은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주로 새해가 시작하는 음력 1월 1일 설날에 먹으며, 요즘은 양력 1월 1일에 먹기도 한다. 물론 꼭 그 날만 먹으라는 법은 없기 때문에 먹고 싶으면 아무 때나 먹어도 되고, 식당에서도 1년 내내 판다. 요새는 컵라면처럼 인스턴트로 나온 떡국도 시중에 많이 있다. 떡국을 먹으면 한 살을 더 먹게 된다는 말이 있는데, 그래서 개그 프로그램에서 난 떡국 10그릇 먹었으니 내가 너보다 나이가 많다는 유머를 써먹기도 한다.오래된 개그라 함부로 써먹으면 맞을 수 있으니 주의. 백괴사전에서는 떡국을 먹으면 1년 미래로 가는 타임머신인 양 서술해놨다.

일본에도 흔히 일컫는 모찌떡으로 국을 한 오조니라는 음식이 있다. 국물은 간장을 기본으로 하는 맑은 장국이며, 떡을 같이 넣고 끓이기보다는 네모난 흰떡을 구워 장국에 넣어 먹는다. 새해 맞이용으로 먹는 건 비슷비슷한 듯. 이쪽은 떡이 커서 먹다가 목이 막힐 수 있기 때문에 설날 질식 사고의 주범이기도 하다.

사실 한국이나 일본이나 지방에 따라 떡국은 천차만별이다. 당연히 그럴 것이, 각자 다른 지방에서 구할 수 있는 다른 재료로 만든 음식이 이름과 기본은 같아도 다른 음식이 되는 건 당연하기 때문. 극단적으로 말하자면 떡이 들어간 국이면 떡국이다. 이렇기 때문에 지방과 재료와 요리사에 따라 천차만별로 형태가 변하는 것이 떡국의 매력. 그러니까 얇게 썬 가래떡이 떡국떡의 기본이란 것만 알아두고 다른 지방 가서 조롱이 떡국 등이 나온다고 이상하게 생각하지 말자.

조선시대에 지어진 야사집인 청성잡기에 따르면 조선 후기인 18세기 무렵에 한 세도가가 사치스러운 떡국을 만들어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 떡국에 들어가는 떡은 얼굴이며 팔다리까지 정교하게 빚은 어린아이의 형상으로, 눈으로 보기에 사랑스럽고 소리가 먹음직스러우며 냄새가 향기롭고 떡이 부드럽게 씹히며 맛이 좋아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미각을 모두 만족시키는 것이었다고 전해진다.

그런데 보통 사치스러운 음식이 아니었던지 그 가문이 오래지 않아 망해버렸다고 한다. 이는 영조 때 권력자 구선복과 관련된 일화로 그와 내외종간인 이주국이 구선복의 집에 방문했을 때, 그가 떡으로 만든 아이 인형을 먹으며 거드름을 피우는 것을 보고 의절, 임금에게 이 행태를 꼬지르면서 '구선복이 나중에 죄를 짓더라도 저는 연좌하지 마셈'이라는 상소문을 올렸다. 구선복은 사도세자가 죽을 때 뒤주를 지키며 내관들이 가져온 미음과 물까지 내치는 바람에 정조의 원한을 샀고, 결국 정조 등극 이후 집안이 풍비박산이 났다. 물론 이주국만 빼고... 이주국은 의절은 했지만, 친척으로 도리를 다해야 한다며 구선복이 죽었을 때 장례를 잘 치러주었다고 한다.

이 일화에 대해서는 다른 의견도 있는데 어린아이 형상으로 떡을 빚었다는 것이 사실 인육을 먹었다고 보기도 한다. 어린아이 간 빼먹기에서 볼 수 있듯이 실제로 조선 후기에 수많은 세도가들이 직접적으로 얽힌 역사적 사실이다.

가래떡은 긴 생명과 건강, 엽전처럼 썬 떡국떡은 재물운, 조랭이떡은 액막이, 오색고명은 우리 고유의 전통색을 상징한다고 한다.[1]

분명히 명절 음식이지만 정작 어디서나 쉽게 파는 곳을 찾을 수 있는 대중적인 음식이기도 하다. 김치찌개, 된장찌개, 순두부찌개, 부대찌개와 함께 대중식당의 주요 메뉴다. 심지어 분식집이나 중국집에서 팔기도 할 정도.

재료만 미리 준비해 놓으면 조리에 걸리는 시간이 그리 길지 않고, 한 끼 식사로 충분한 칼로리와 포만감을 줄 수 있기 때문. 보통 떡국과 떡만둣국을 따로 메뉴에 올려두거나, 그럴 여유가 없는 곳에서는 떡만둣국이라는 메뉴만 두고 요청하면 만두를 빼주는 형태로 메뉴를 운영한다.

대부분의 재료는 주변에서 쉽게 살 수 있고, 대충 만들어 먹자면 재료의 손질에 그리 공을 들일 필요가 없어 남자의 요리로도 손색이 없다. 제대로 만들자면 고기를 다듬고 육수를 우려내는 것 부터 시작해야 하지만 대충 만들 때는 멸치다시마로도 육수를 낼 수 있고, 그 조차 귀찮을 때는 시중에서 파는 국수장국이나 인스턴트 곰탕, 다시다를 메인으로 국물을 만들 수 있다. 여기에 떡과 만두를 넣고 간장과 소금간만 해주면 끝. 간을 엉망으로 하지 않는 이상 실패 가능성도 그리 높지 않다. 밥은 하기 싫고 라면은 질렸다면 한 번 도전해보자.

육수를 라면스프로 대체할 수도 있다. 그냥 물에 라면스프 한 봉 털어 넣고 떡, 만두와 함께 끓이기만 하면 된다. 따로 간을 할 필요도 없다. 사실상 라면 끓이는 것과 다를 게 없을 정도로 요리 과정이 간단해진다.

2 재료

  • 어떤때는 만두를 추가로 넣어도 된다.

3 조리법


1. 양푼에 떡을 붓고 물에 불린다.
1. 냄비에 물을 550cc정도 넣고 끓인다. 물이 끓으면 중간불로 낮추고 멸치 한웅큼과 다시마를 손바닥 반 크기로 한장 넣고 한시간 정도 끓인다.(조미료로 대체해도 무방)
1. 멸치와 다시마를 건져내고 팔팔 끓인 뒤 불려놓은 떡을 넣는다. 떡을 불리기 싫으면 이때 끓이기 전에 떡을 넣는다.
1. 거품이 일어나면 찬물을 한컵 붓고, 간장으로 간을 본다. 간장이 너무 많으면 국물이 탁해지므로 간장으로 색만 내고 나머지 간은 소금으로 한다.
1. 떡이 익으면 그릇에 담고 참기름 반수저, 깨소금 약간을 넣는다.

떡국에 넣을 계란은 지단을 부쳐도 되고, 라면 끓일 때처럼 바로 풀 수도 있다. 다만 계란을 풀 때는 노른자를 부숴 섞어놓은 뒤에 넣자. 그렇지 않으면 계란이 뭉친다.

그리고 소고기 떡국. 위 조리법보다 더 고소하고 느끼하다. 맛으로는 재료가 좀 넉넉하다면 이 방법을 추천. 그런다고 더 어려운것도 아니니, 난이도는 거의 라면 수준. 보다시피 단계도 4개밖에 없는데다가 따로 또 육수를 우릴 필요마저 없다.


1. 달구어진 냄비에 참기름을 두르고 다진 소고기를 넣고 볶는다.
1. 조선간장을 넣고 끓으면 물을 붓고 두부를 넣는다.
1. 물이 끓으면 미리 불려둔 떡을 넣고 말랑쫄깃해질 때까지 또 끓인다. 이때 소금간도 하자.
1. 다 끓이면 그릇에 담고 김과 계란지단을 얹는다.
참 쉽죠?

단, 경상도 일부지역 한정[5]으로 꾸미(끼미)를 넣어먹는 경우도 있다. 이경우의 조리법은


1. 냄비에 물과 떡을 붓고 끓인다.
1. 기호에 맞춰 적당량의 꾸미를 넣어 먹는다. 어때요. 참 쉽죠?

이때 꾸미는 두부와 소고기(또는 돼지고기)를 잘게 다져 간장와 함께 조린것이다. 비빔밥에 올라가는 소고기볶음과 유사. 밥반찬으로 먹으면 의외로가 아니라 진짜 맛있다. 떡국은 안먹고 꾸미만 떠먹기도 먹으라는 떡국은 안먹고!

비슷하게 닭살을 찢어서 장조림을 한 뒤에[6] 떡국에 넣는 '닭장떡국'이란 것도 있다. 주로 전라남도 일대에서 이렇게 해서 먹는다고.

4

고기국물을 육수로 사용해도 좋다. 아니, 오리지널 떡국은 고기국물이었다. 멸치나 다시마를 넣어 국물을 내는 것은 일제 시대에 도입된 것. 지금도 지방 혹은 집안에 따라서는 고기국물이 정석인 곳이 있다. 꿩 대신 닭이란 속담은 본디 고기로 내던 떡국 육수를 꿩이 귀해지고 비싸진 탓에 육수로 대체한 데서 온 말이다.

한번에 다 먹을 수 있을 만큼만 만들자. 일반적인 국처럼 만약 남겼다가 나중에 다시 끓여 먹으려 했다간 떡이 퉁퉁 불어터져 먹기 괴로워진다. 만약 한꺼번에 만들어야 할 사정이 있다면 국물만 만들어놓고 떡은 먹기 전에 넣어 끓이면 된다.

5 신기한 떡국

  • 2010년 2월 14일 렌타인 데이를 맞아 초콜릿 떡국이 생겨났다.
  • 역전! 야매요리용용이 떡국
  • 덕국
  •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에서 설연휴 첫날인 2015년 2월 18일 알림음 설정을 '카톡'으로 해놓으면 카톡이 계속 떡국으로 들리는 괴이한 현상이 있었다.(...) 아마 이스터 에그인 듯하다. 2016년 2월 8일 역시 마찬가지 일이 일어났다. 다만 15년과는 알림음이 다르다. 떡국 떡국 떡떡국 떡국 아→하↗
  1. 다만 조랭이떡의 또 다른 전해지는 이야기로 고려대 국문과 유영대 교수가 집필한 '이성계 설화'에서는 이성계에게 원한이 가득한 개성 지역에서 이성계에 대한 악감정을 담아 만든 것이 조랭이떡이라는 내용도 있다. 개성 지역은 원래 고려의 수도였고, 이성계는 고려를 멸망시킨 주도자에 왕씨 몰살을 벌인 적이 있어서 이성계를 지금도 증오하여 삶은 돼지고기를 성계육이라 부르고, 돼지고기 탕을 성계탕이라고 칭한다. 한마디로 개성 지역 전체가 안티 이성계.
  2. 슈퍼에서 떡국용 가래떡이라고 잘려 있는 것이 있다. 떡집에서 구입할 시에는 꼭 떡국떡주세요라고 말을 할 것. 그렇지 않으면 우리가 잘 아는 긴 가래떡을 준다. 이거 잘라 넣어 먹어도 맛있긴 한데 자르기 귀찮으니 웬만하면 떡국떡을 주문하자.
  3. 지역에 따라서는 어슷썰기한 가래떡이 아니라 원형 가래떡도 존재한다. 지역별로 다른 건지 아니면 원래는 떡국의 떡이 원형이었는지 확실하지는 않다. #
  4. 어떤 육수든 OK라고 봐도 된다. 멸치북어, 황태등에서 부터 사골이나 닭, 꿩등의 고기로도 가능. 심지어는 육개장 국물이나 가쓰오부시도 쓸 수 있다. 가쓰오부시를 활용한 떡국 레시피 자취생은 그냥 다X다
  5. 경북 서부 지역 등
  6. 때로는 닭뼈가 붙어있는 채 칼로 썰어서 만들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