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비능

軻比能
(? ~ 234)

1 개요

후한 말과 삼국시대선비족의 대인.

용맹하고 굳세면서 옳고 그름을 판결하는 것에 공평하면서도 재물을 탐하지 않았기 때문에 추대를 받아 대인이 되었다고 하며, 부중을 통솔해 중국의 양식을 본따서 출입하거나 사냥할 때 깃발을 세우면서 북을 울려 진격하거나 퇴각했다고 한다.

2 정사

2.1 조조 시절

건안 연간에 조조가 유주를 평정하자 보도근 등과 함께 오환교위 염유를 통해 공물을 바쳤으며, 조조가 관중을 정벌할 때 전은이 하간에서 반란을 일으키자 염유와 함께 3천여 기병으로 전은을 격파하거나 대군에서 오환이 반란을 일으킬 때 이를 격파했다.

218년에 오환의 능신저가 한나라에 반기를 들어 부라한 부에 복속하려고 했지만 부라한이 대업을 이루지 못할 것이라 보아 가비능을 부르자 만여명의 기병을 이끌고 도착하여 능신저와 맹세했으며, 부라한을 죽여 부라한의 아들인 설귀니와 그 부중을 복속시키면서 설귀니의 부친을 죽였기 때문에 설귀니를 특별히 대우했다. (최훈의 삼국전투기에서는 무신저 라는 호칭을 썼다)

2.2 조비 시절

220년에 오환의 보도근과 서로 싸우다가 보도근이 설귀니를 설득하여 귀부시키자 추격했지만 잡지 못했으며, 보도근의 공격으로 동생인 저라후, 오환의 귀의후, 왕동, 왕기 등이 죽자 원수가 되었다. 운중의 옛 군에서 견초에게 격파당했으며, 같은 해에 조비에게 사자를 보내 말을 바치면서 부의왕에 봉해졌다.

221년에 선비에 있던 위나라 사람 5백여 집을 보내 대군으로 돌아가 거주하게 했다. 222년에 가비능이 오환족의 수무로와 부락의 대인, 소자, 대군 등 3천여 기병을 이끌어 소와 말 7만여 구를 몰고 와서 교역했으며, 동부 선비 대인 소리와 보도근 등과 서로 싸웠다가 호오환교위 전예의 중재로 화해했다.

동부 선비 대인 미가, 소리 등과 영지를 분할해 지배하면서 그 경계를 나눠 공동으로 서약을 하면서 말을 중원에 저자에 주지 않도록 했으며, 소리가 이를 위반하자 공격했다가 224년에 전예가 그 배후에서 견제하자 소수 쇄노에게 지시해 전예를 막게 했다가 격파하자 이로 인해 위나라를 배반하려고 했으며, 보국장군 선우보에게 보도근이 여러 차례 침략해 자신의 동생을 죽이면서 보도근이 자신을 무고했다는 내용이 담긴 서신을 보냈다.

위나라에서 전예를 보내 위로하자 이후 궁병 10만여 기에 이를 정도로 강성해졌으며, 매번 위나라를 약탈하면서 재물을 얻을 때마다 고르게 나눠주면서 눈 앞에서 바로 결정하여 사사로이 하는 바가 없었다고 하며, 무리들이 따르거나 다른 부의 대인들이 경애했다고 하지만 단석괴에게는 미치지 못했다고 한다. 225년에는 병주자사 양습에게 격파되었다.

2.3 조예 시절

228년에 사위인 울축건이 위나라에서 보낸 역관 하사를 죽인 사건으로 전예가 울축건을 격파하자 마성에서 3만 기병을 이끌어 전예를 7일간 포위했으며, 상곡태수 염지가 타이르자 포위를 풀고 물러났다고 한다.

기병을 대대적으로 모아 옛날 평주 관소 북쪽에 이르렀지만 격파되었으며, 위나라에서 가비능이 교활해 견초가 제갈량과 연합할 것이라는 상주문을 올렸다. 그 말대로 231년에 제갈량이 기산을 포위할 때 부르자 옛 북지 석성에 이르러 제갈량에게 호응했으며, 조예가 견초에게 알맞은 시기에 가비능을 토벌하라고 했을 때는 이미 사막의 남쪽으로 돌아갔다고 한다.

유주자사 왕웅이 여러 차례 위로하자 이에 여러 차례로 찾아와 교류하면서 유주에 공물을 바쳤다고 하며, 233년에 막북에 자리잡을 때 나라에 항복해서 장성을 지키는 역할을 하고 있는 보도근을 회유해 화친을 하면서 병주에서 반란을 일으키도록 사주했으며, 병주자사 필궤가 음관에 주둔하자 만 명의 기병을 이끌면서 보도근과 연합을 시도해 필궤가 장군인 소상, 동필 등을 누번에 보내자 아들을 보내 이를 격파하여 전멸시켰다.

같은 해에 효기장군 진랑의 공격으로 전투에서 패해 설귀니가 위나라에 항복하자 보도근을 죽였으며, 진랑과의 정면 대결을 피하기 위해 막북으로 달아난다. 234년에 왕웅이 용사 한룡을 보내 한룡에게 암살당했다.

가비능은 단석괴가 선비 제국을 세운 이래 선비족을 재통합하는 구심점의 역할을 담당했지만 단석괴만큼 충분한 역량이 없었고, 시대의 흐름 또한 그에게 유리하지 않아서, 이후 모용선비, 탁발선비우문선비에게 그 역할을 넘겨주어야만 했다.

3 연의

정사에서는 제갈량의 북벌에 호응했고 위나라에 적대적인 인물이었지만 삼국지연의에서는 조비사마의의 계책에 따라 다섯 방면에 걸쳐서 촉한을 공격할 때 협력하여 다섯 방면의 한 축을 담당했으며[1], 10만을 이끌어 서평관을 공격했지만 양평관에서 마초가 이끄는 촉군이 출진하자 싸우지도 않고 도망치는 등 역할이 완전히 뒤바뀌었다.[2]

4 미디어 믹스

삼국지 공명전에서도 연의를 반영하여 강족병들을 이끌고 강족병 클래스로 등장하며 이 전투에서 마초가 서쪽성채근처로 접근하면 본인과 부하들의 공격력이 2단계 저하된다. 초반에 클래스업을 못한 상황에서 강족병은 꽤나 강하기 때문에 알아두면 유용. 단 방어력은 보병계열이라 꽤 단단한 관계로 그래도 잡기가 쉽지 않다.

삼국지 12,13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77/69/52/59/68로 통솔을 제외하면 평범하며 특기 6개 중 돌격, 기습을 제외하면 3개가 일기토에 지력이 50대인데 기술특기를 받는등 대접이 좋은 편은 아니지만, 사기 병과인 돌기병을 사병으로 들고 재야로 나오기 때문에 일단 등용할 가치는 충분하다.

삼국지 12에서는 중후반부에 오환족의 군주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물론 가비능은 오환족이 아닌 선비족이고, 가비능이 군주가 되었을 때에는 오환족 장수는 모두 사망한 상태. 부하로 보도근이 있는데, 서로 혐오무장으로 설정되어 있다. 능력치는 B급 장수 수준이지만, 병과가 오환이라 매우 쓸만하다. 전법은 전의고양.

12 PK에서는 구력거가 오환군주로 되어있어. 포획의 책을 발동시킨 상황에서 본진에 못 들어가게 막기만 하면 포로로 만들 수 있다. 답돈이나 올돌골 보다는 통솔력이 낮지만. 정치력 만큼은 2위이다. 정치 1위는 철리길 이민족이면서 정치력이 높은 무장이 좀처럼 없다. (하지만 누반에게 밀리는 건 매차 부정 할 수 없는 사실이지)

사족이지만. 오로침공전의 개막에서 촉나라로 공격한다는 내용이 있지만. 정작 가비능은 오환 군주이라서 촉을 공격하려면 촉이 하북을 차지해야 공격하는 모습을 볼수가 있다.(...)

삼국전투기에서는 울프 호크필드로 나온다.
  1. 그런데 여기서 설정이 심하게 오락가락한다. 사마의가 계책을 내놓을 때에는 요서 선비국의 국왕 가비능서강병 10만을 이끌도록 했는데, 제갈량의 서술에서는 강왕 가비능, 서번왕 가비능으로 오락가락한다. 아마도 여기서 말하는 강인은 강족이라는 특정된 민족을 지칭하는것이 아닌, 북서쪽 유목민족들을 싸잡아 지칭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실제 이렇게 쓰이던 단어로 강호(羌胡)가 있다.
  2. 이때 마초가 가비능을 맡게 했던 이유는 강인들이 마초를 신위천장군이라고 부를 만큼 존경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