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가성(假聲)이란 일반적으로 낼 수 있는 음역(진성)을 벗어나 소리를 꾸며서 내는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서 가성이란 말은 팔세토(Falsetto) 발성에 그치지 않고 꾸며내는 모든 음을 말한다. 참고로 한자로 歌聲(노래 가, 소리 성)이 아니라 假聲(거짓 가, 소리 성)으로 쓰니 주의할 것.
2 가성의 분류
2.1 가성(Falsetto)
영어로 'falsetto'라고 부르는게 이 발성이며 어원 그대로 남성이 일반적으로 낼 수 없는 음역대의 가짜 목소리를 내는 것을 통칭한다. 그러나 여성도 낼 수 있는데 보통 허밍이나 속삭임, 그리고 비명이 이 범주에 속한다.[1] 남자 가수들이 가창을 할때 주로 사용하며 일부 여가수들은 가삿말을 읊을때 사용하기도 하고 가벼운 소리를 내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물론 일반적인 케이스의 경우고 조관우나 카운터 테너가 쓰는 가성처럼 충분히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그렇게 숙련되서 사용해도 진성과 가성의 음역대사이의 통과음역대가 비어버리면 성대에 무리가 가게 되기때문에 주의를 요구한다. 또한 순수하게 힘을 푼 가성은 소리가 너무 약해 성대내전을 통한 믹스보이스 방식으로 파사지오 음역대를 무리없이 통과해 가성으로 쭉 연결하는 사용하는 느낌으로 가는 것이 실용음악에서 말하는 좋은 발성. 소리를 증폭시키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가성을 쓸 때 벌어지는 성대를 어느정도 붙여서 소리를 강하게 해야하기 때문에 호흡이 상당히 많이 필요하며, 흔히들 말하는 반가성이 이렇게 가성에서 힘이 강화된 소리를 말한다. 하지만 독학으로 익히는 것은 그리 추천하지 않는데, 성대의 접촉이 거의 무시되는 소리이기 때문에 성대가 빨리 상할 수도 있다. 또한 호흡을 못 쓰면서 팔세토를 하면 목에 무리가 가는데다가 가성 자체가 목에 무리가 가기 때문에 잘못 연습할 경우 목소리가 나갈 수 있다. 그러니 자신한테 재능이 없다고 생각되면 보컬트레이너에게 배워라. 흔히들 말하는 두성과의 차이점은 사실 성대의 내전률에 따라서 구분된다.
가성과 두성을 구분시켜주는 동영상
(위 설명과는 다른 설명.)
음성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가성은 성대가 접촉되지 않은 성구의 한 종류이다.
파사지오이니 내전률이니 설득력 있는 방식으로 설명하셨지만 좀 자세히 공부하셔야 할거같다.
파사지오는 통과음역대 즉 성구전환을 뜻하는것이 아니라 성구전환을 한뒤
성구전환으로 얇아진 소리를 흉성처럼 들리게 만드는 '발성기법' 인것이다.
또한 두성과의 차이점은 성대의 접촉률의 차이가 아니라 성대가 접촉됐냐 안접촉됐냐의 차이인것이다.
성대의 접촉률은 성대의 진동사이클에서 성대가 접촉돼있는 비율을 이야기 하는것이다.
믹스보이스는 워낙 말이많아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겠지만 음성학에서의 믹스보이스는 성구와 성구사이의 소리이다.
흉성과 두성의 믹스보이스는 중성인것이고 중성과 가성의 믹스보이스는 두성인것이다.(아니..여기서 이러지 마시고..)
2.2 휘슬 레지스터(Whistle Register)
보통 G5 이상의 고음을 낼 때 사용하는 발성이다. 성구의 한 종류 이기도 하다.성대의 진동수를 어마어마하게 높이기 때문에 막대한 공기가 성대를 드나들면서 빠르게 진동하며 나오는 소리이기에 당연히 성대의 내구가 손상될 수도 있다. 휘슬 레지스터로 유명한 외국 가수는 머라이어 캐리와 미니 리퍼튼이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차수경과 조유진이 유명하다. 휘슬 레지스터를 구음이라고 부르는 사람이 있는데 전혀 다른 말이니 주의할 것. 가끔 휘슬 레지스터를 흉내낸다며 높은 음역대를 가성으로 지르는 사람이 있는데 이건 자칫하면 결절난다. 휘슬 레지스터의 이해
2.3 샤우팅
샤우팅은 발성의 개념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우리 성대는 가성대와 진성대가 있는데 당연히 가성대는 가성을 낼 때 사용하고, 진성대는 진성을 낼 때 사용한다. 말할 때 사용하는 것도 진성대. 가성대는 가성을 낼 때만 사용하게 되는데, 가성대에서 진성대를 함께 울려줌으로써 두성 을 가지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 혀를 내리고 성대를 붙혀서 소리를 내는데, 터득이 꽤나 힘들다. 샤우팅 창법을 구사할 줄 알게 되면 두성은 저절로 터득하게 된다. 샤우팅도 두성이기 때문. 보통 일반적으로 김경호 같은 가수들은 샤우팅 창법+ 스크레치를 넣게 되는데 이 경우 비강으로 소리를 모아 스크레치를 긁어 더욱 더 강력한 샤우팅을 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 초보들은 후두로 긁는 경우가 많다. 후두로 긁게될 경우 성대가 상해 몇 번 하면 목 나간다.
그러나 샤우팅 창법 자체는 바르게 해도 성대에 꽤나 무리를 주게 된다. 스크레치 때문인데, 아무리 비강으로 스크레치를 정석으로 긁는다고 한 들, 긁는 것은 긁는 것이니 만큼 성대에 리스크는 오게 된다. 샤우팅을 남용하면 성대결절이 오게 될 수 있는데, 대표적인 케이스로 김경호가 있다. 김경호는 전성기 시절 말도 안 되게 높은 난이도의 앨범(특히 5집) 수록곡으로 활동하며[2] 과도하게 샤우팅을 남용하면서 2000년대에 들어서며[3] 묵직한 고음이 얇아졌고, 휴식을 취해야 했지만 오히려 이 얆은 고음을 감추기 위해 스크레치를 더욱 더 남용하며 여러 스케줄을 다니며 혹사한 결과, 결국 샤우팅을 잃어버리게 되었고 가성도 제대로 낼 수 없게 되었다. 그 후 현재 샤우팅을 회복하기 전까지 약 10여년간을 예전 모습을 잃고 힘든 가수 생활을 해야 했다. 당연히 음역대도 뚝 떨어졌다.
3 가성의 활용
노래를 할 수 있지만 처음부터 끝까지 가성으로 노래를 부르는 것은 힘들다. 연습이 필요하지만 가성을 이용하여 남자가 여자 목소리를 내는 것도 가능하다. 헤비메탈의 경우는 성대를 쥐어 짜서 내는 찢어지는 고음 역시 가성의 일종이다. [4]
카운터 테너들은 체계적인 훈련을 통해 알토~메조 소프라노의 음역대를 구사할 수 있으며, 몇몇 소프라니스트의 경우 이러한 특징을 사용해 완벽한 소프라노의 목소리를 낼 수 있다. [5] 조관우의 경우 스스로 개발한 가성 창법으로 대중에게 어필한 대한민국 최초의 가수가 되었다.
단적으로 말하자면, 노래에 순수한 가성을 사용하든 그렇지 않든. 보컬리스트의 성향과는 상관없이 고음역을 내기 위해서는 가성을 사용하는 트레이닝을 충분히 받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당신이 벨팅을 수련하지 않는 이상 낼 수 있는 고음은 철저히 가성을 베이스로 한다. 믹스보이스도 마찬가지다. 참고로 요들송이나 우리나라의 창에서 사용하는 발성의 주축이 되는 것도 팔세토이다 [6]
진성으로는 소화 불가능한 음역대에서는 가성을 단단하게 만들어 노래를 부르는 방법도 있다. 이 경우 진성으로 쮜어짜는 것 보다 목도 덜 쉬고 가성도 힘있게 들린다. 태연이 대표적으로 이런 방법을 쓴다. 태연 노래가 쉬어보이게 들려도 막상 불러보면 어려운 것이 바로 이 이유.
4 가성을 위주로 쓰는 가수가 되려면
가성으로 노래를 하고 싶다면 2가지 길 중 하나를 골라야 한다. 성악을 배우면서 정석적인 카운터테너의 발성을 체계적으로 익히던지 아니면 스스로 음색과 성대 내구도에 자신이 있다면 조관우, 정엽처럽 개인만의 창법을 개발해내는 것이다. 첫번째를 선택할 경우, 장점은 안전하게 가성창법을 배울 수 있다는 것과 1~2년 정도 연습을 한다면 개인 역량에 따라 괜찮은 성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사실 1~2년의 시간을 돈들여 노래연습하고도 노래 못한다는 소리 들으면 그것도 안습이지만.
그러나 두번째 방법을 선택할 경우는 위험요소가 많다. 첫번째로 성대의 내구도가 약할 경우 잘못된 가성의 사용에 목소리가 가버리는 경우가 많다. 실제 가성을 독학으로 연습한 사람들에 따르면 "노래를 부르다 보면 어느 순간 목이 피곤하다는 느낌이 들고 더 부르고 싶지 않다. 그 상태에서 더 부르면 잡음이 많이 낀다"라는 증언을 들을수가 있는데 가성이 성대의 피로도를 축적시키고 연습이 길어질수록 긴장을 야기하기 때문에 잘못하면 목소리를 잃을수도 있다. 두번째 문제점은 성량 등에 따라서 음이 불안정해진다는 것이다. 노래방에서 어마어마하게 큰 반주로 노래를 하다보면 진성을 쓸때는 어느정도 자신의 음감으로 음을 잡을 수 있지만 가성을 쓸경우 소리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도 있어서 음이 자꾸 플렛되는 경향이 보인다. 마지막 위험성은 아무리 좋은 발성이라도 지속적 교정이 없다면 장기적으로 성대를 상하게 한다는 것이다. 머라이어 캐리의 경우는 완전히 목이 가버린 적도 있고, 대부분의 메탈 보컬리스트들은 아무리 발성이 좋다 하더라도 나이가 들면 성대의 내구도가 점차 줄고 때론 결절까지 포함해서 노래를 아예 못할수도 있다. 그렇다면 조관우나 정엽, 혹은 다른 흑인 보컬리스트들이 쓰는 가성은 왜 일정하게 유지가 되느냐고 물어볼 수도 있는데, 이는 장르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블랙뮤직에서 흔히들 쓰이는 샤우팅은 대부분 진성을 베이스로 하거나, 고음역대에서는 믹스보이스류의 가성을 사용하기에 성대의 마모가 덜 일어나고, 록/메탈 에서 쓰이는 악기의 출력은 흑인음악에서 쓰이는 악기의 출력에 비할 바가 아니다. 따라서 굳이 목소리를 악기뚫고 나올정도로 크게 낼 필요가 덜하기에 어느정도 내구도가 유지되는 것. 흑인음악의 경우는 후압을 높이는 정도에서 변화가 그치지만, 메탈의 경우, 특히 익스트림 메탈의 경우는 싱잉과 하쉬/그로울링/스크리밍/그런팅을 섞어서 소화하는 경우가 많기에 일반적인 팝 보컬의 정론에서 상당히 벗어난 경우가 많다. [7] [8]
5 카운터테너
남성 음역 | 여성 음역 | ||||||
베이스 | 바리톤 | 테너 | 카운터테너 | 콘트랄토 | 메조 소프라노 | 소프라노 |
남성이지만 여성처럼 높은 음역을 내는 가수로서, 변성기를 거친 후에도 훈련된 가성(假聲)으로 높은 음역을 구사한다. 카운터 테너는 카스트라토가 윤리적인 문제로 인해 금지되면서 인기를 끌게 된다. 쉽게 설명하자면, 이들도 호흡으로 소리를 받쳐서 올리는 두성을 사용한다고 보면
자신의 진짜 목소리인 진성보다 높은 음을 낸다는 점이 가장 큰 이점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자유자재로 사용하게 될 시 배의 힘이나 호흡을 깊게 들이실 필요가 없는 것이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노래를 정말 잘하는 사람은 몸에 힘을 주지 않고 노래할 수 있다. 물론, 노래를 할 때 자연스럽게 몸에 힘이 들어갈 수는 있지만, 목소리를 낼 때 배나 목 같은 특정 부위에 힘을 과하게 주는 것은 절대로 올바른 발성법이 아니다. 실제로 보컬트레이너들이 트레이닝에 앞서 가장 강조하는 것이 몸에 힘을 빼고 노래하는 소위 '릴렉스'다.
가성만으로 노래를 한다면 분명히 힘을 들이지 않고[* 힘을 들이는 순간 소리에 잡음이 낀다. 물론 몇몇 보컬중에서는 이러한 특이한 효과를 일부러 편하다. 위에 적혀있듯, 남성이 여성의 고음역대를 내는 것이 매우 힘드므로, 그 수가 매우 적다.
본래 카운터 테너라는 용어는 14세기 다성음악에서 나왔다. 그전까지 단선율이던 음악이 2성부로 발전하면서 '테너'라고 불리던 아래 음역에 비해 위 음역을 부르던 라틴어 콘트라 테노르 (Contratenor)에서 유래하였다. 가성을 사용한다는 것에서 팔세티스트(이탈리아어: Falsettist, 영어: Falsettist)라고도 한다. 카운터 테너라는 명칭 자체가 애매한 개념이기 때문에, 메일 소프라노(영어: Male soprano)라고 하거나 메일 알토(영어: Male alto) 라고도 한다.
대한민국 출신의 카운터 테너 문지훈. 시각장애를 극복한 팝페라 가수다. 한국의 안드레아 보첼리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클래식 카운터 테너와 다르게 팝페라 가수다. SBS 놀라운 대회 스타킹에 출연도 했었다.
아르헨티나 출신의 카운터 테너 프랑코 파지올리 (Franco Fagioli). 곡은 조지 프레드릭 헨델의 오페라 '리날도' 에 있는 아리아 '울게 하소서' (Lascia ch'io pianga) 이다. 영화 '파리넬리'의 삽입곡으로 유명하다.
영상은 최고의 카운터 테너중 한 명인 이동규. 카운터 테너는 고음역만 담당하는 것이 아니기에, 이와 같은 선율을 만들어 낼 수도 있다.. 원맨쇼
물론 모든 카운터 테너들이 가성만을 이용하는것은 아니다. 정말 드물게 진성으로 여성의 음역을 소화해 내는 카운터 테너들이 있다. 바로 한국의 정세훈 씨와, 일본의 토모타카 오카모토 씨 등, 일반적인 가성을 이용해서 부르는 카운터 테너들과 달리, 저음과 고음을 넘나들 때에도, 음색이 고우면서 쉽게 변하지 않을뿐더러, 목소리에 실리는 힘 또한 상당히 파괴력이 있는 편.
토모타카 오카모토의 내한정보.
특히나 정세훈씨는,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자신은 일반적인 가성을 사용하는 카운터 테너가 아니라, 전혀 다른 진성발성의 카운터 테너라고 밝힌바 있다. 기자앞에서 일반적인 카운터 테너와는 다르다는걸 강조하기위해, 발성을 여러번 인증하는바람에 조금 난처했었다는 후문.- ↑ 그러나 비명을 휘슬로 내는 여자들도 있긴 하다
- ↑ 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은 최고음이 진성으로 3옥타브 솔#이고, 금지된 사랑은 3옥타브 레#(물론 반음 낮춰 부르기는 했다.), Shout는 진성 3옥타브 라, 비정 역시 3옥타브 레#, Blood는 3옥타브 미.
- ↑ 2000년대에 들어오자마자 성대결절이 온 건 아니었지만 5집 활동 이후 성대결졀이 왔고 6집, 7집을 무리하게 활동하다 가수 인생을 접을 뻔 했다.
- ↑ 임재범의 창법이 가성을 많이 사용한다고 하는데, 그의 고음에서 쥐어짜는듯한 목소리가 이쪽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임재범의 경우 특유의 창법으로 승화시켰지만 영국 활동 당시엔 과도한 쇳소리로 골치가 아팠다고 한다.
- ↑ 물론 남자가 내는 것이기에 배음이 여성보다 높아 음질에 차이가 날 수도 있다. 밑은 카운터테너와 소프라노가 부른 Lascia Ch'io Pianga.
[1] - 카운터테너 필립 자로스키의 Lascia Ch'io Pianga (울게하소서)
[2] - 우리나라 소프라노 신영옥의 Lascia Ch'io Pianga - ↑ 단, 수리성은 예외다. 수리성은 벨팅의 개념에 가깝다
- ↑ 믹스보이스는 애초에 백인들이 흑인의 보컬을 안정적으로 모방하기 위해서 발전된 이론이다. 다만 세스릭스 같은 트레이너처럼 성악 발성에서 기인한 성구전환을 베이스로 삼는 강사들 역시 아직까지 많다
- ↑ 예외적으로 마이클 잭슨처럼 성대를 틈틈히 쥐어짜면서 전 음역대에 소리를 일정하게 때려박는 보컬리스트의 경우는 상황이 다르다. 마이클 역시 성대결절 때문에 안정적인 고음역대를 유지하기 버거워했고, 이는 립싱크의 과도한 남용으로 후에 이어졌다는 것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보통 흑인 보컬들의 경우는 이렇게 전 음역을 벨팅으로 때려박는 경우가 드문데, 제임스 브라운이나 프린스처럼 나이가 들어서도 성대마모를 최소화하는 케이스도 있는만큼 순전히 개인차라고 볼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