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마법 카드.
- 상위항목 : 유희왕/OCG
1 강제전이
한글판 명칭 | 강제전이 | |||
일어판 명칭 | 強制転移(きょうせいてんい) | |||
영어판 명칭 | Creature Swap | |||
일반 마법 | ||||
서로는 각각 자신 필드의 몬스터 1장을 고르고, 그 몬스터의 컨트롤을 맞바꾼다. 그 몬스터는 이 턴, 표시형식을 변경할 수 없다. |
한때 성능이 강력하다는 이유로 준제한까지 갔던 카드. 업어오는 몬스터는 상대가 선택하게 되며, 점점 경향이 전개가 빠르고 필드 소유가 좋으며 특수소환이 잦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결국 무제한까지 풀렸다. 그렇기 때문에 잘 안쓰이는 것 같지만, 의외로 사용해보면 여전히 쓸만하다.
가장 무난한 콤보는 자신의 리크루트 몬스터나 크리터같은 서치 능력을 가진 몬스터, 황천 개구리, 토큰, 레벨 스틸러 등 상대에게 넘겨도 상관없는 몬스터를 상대에게 주는걸로 거의 공짜나 다름없는 가격으로 뺏어오는 것. 스피릿이나 요선수 몬스터, 디스트럭터같은 몬스터도 같이 쓰기 좋다.
리크루트 몬스터나 스피릿 몬스터같은 카드가 필드를 벗어나면 원래 주인에게 돌아오는 것이 같이 쓰기 좋은 이유다. 예를 들어 거대 쥐를 넘겨주고 전투로 파괴시키면 자기 묘지로 오면서 효과가 발동해 자기 필드 위에 거대 쥐를 하나 더 불러올 수 있고, 스타더스트 드래곤을 넘겨줬을 경우엔 만약 상대가 파괴 효과를 막겠다고 스타더스트의 효과로 묘지로 보내면 내 묘지로 돌아오기 때문에 당장 파괴는 막아도 내 필드에서 부활해버린다. 그래서 이 카드를 가장 유용하게 쓸수 있는 카드군은 바로 가스타덱. 덱의 하급 몬스터 대다수가 리쿠르트나 서치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스피릿 몬스터나 요선수의 경우에는 엔드 페이즈시 주인의 패로 되돌아오는데 원래 주인인 자신의 패로 돌아오기 때문에 결국 상대에게 아무것도 안 준 셈이 되어 같이 쓰기 좋다. 디스트럭터처럼 쉽게 파괴되는 몬스터의 경우에도 앞의 카드들보다는 이득이 적지만 적어도 상대에게 아무것도 안 준 것이 된다.
더 작정하고 쓰려거든 컨트롤이 상대에게 넘어가면 효과가 발동되는 아메바#s-2나 그리글같은 카드도 있지만 다소 경직된 콤보라 잘 보긴 힘들다.
혹은 토치 골렘, 용암 마신 라바 골렘, 볼캐닉 퀸, 사탄클로스 등으로 상대 몬스터를 잡아먹어버린다음 도로 가져와버리거나 영혼을 깎는 사령처럼 공격력이 낮은 파괴내성 몬스터를 넘겨주고[1] 두들겨 패는 방식도 있다. 아니면 싱크로 몬스터를 주고 싱크로 캔슬로 분해해버리자.
아무튼 이런 온갖 다양한 방법으로 사실상 노코스트로 상대 몬스터를 업어올 수 있다. 다만 선택은 상대가 하기 때문에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다수 존재할 경우 당연히 가장 약한 몬스터를 넘겨주는 데다가 상대가 체인해서 희생양, 종언의 화염같은 카드라도 쓰면 0/0 토큰 따위를 받아야 한다는 단점은 있다.
아르카나 포스 덱을 운영한다면 뒷면이 나온 아르카나들을 상대한테 보내버릴수 있다. 또한 오파츠 카오스 아틀란탈의 효과 발동을 위해 자신의 넘버즈와 상대 몬스터를 교환할 수도 있다.[2]
세뇌 해제나 소유자의 각인같은 카드를 쓰는 경우에도 좋다. 다만 이 때 자신이 가져온 상대의 몬스터도 되돌아가버리니 미리 처리해둬야 한다. 혹은 고요우 가디언이나 기황제 그란엘 인피니티같은 걸로 상대에게 보내버린 자신의 몬스터를 다시 회수할 수도 있다.
상대가 강한 몬스터를 소환한 직후에는 대개 그 몬스터 한체밖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도 편리하고 간단하다. 그런 이유로 순식간에 전황을 역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거기다가 이 효과는 대상을 지정하는 효과가 아니라서[3] 신의 카드같은 카드도 짤없이 끌려오며, 바꿔먹는 몬스터도 앞면 뒷면 표시를 전혀 가리지 않는다.
덤으로 자신 필드 위에 몬스터가 한장만 있을 경우 이 카드의 발동 시에 체인으로 성창같은게 그 자신 필드 위의 몬스터에 걸리면 다른 몬스터가 효과 처리 전까지 나오지 않는 이상 불발로 끝난다. 혹은 체인해서 신비의 중화냄비같은 걸로 필드에서 없앴을 때도 불발된다. 즉 상대 몬스터만 가져오는 행동은 불가능하다는 뜻.
효과가 유사한 카드로 죽음의 매직 박스와 왕좌의 침략자[4]가 있으며, 거의 하위호환쯤 되는 카드로 노획장치가 있다.
본래 OCG 발매 이전에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II에서 선행 등장한 오리지널 카드이기도 하다.
수록 팩 일람
2 노획장치
한글판 명칭 | 노획장치 | |||
일어판 명칭 | 鹵獲装置(ろかくそうち) | |||
영어판 명칭 | Creature Swap | |||
일반 마법 | ||||
서로가 자신 필드 위 몬스터를 1장씩 선택하고, 그 몬스터의 컨트롤을 맞바꾼다. 단, 이 카드의 컨트롤러는 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일반 몬스터를 선택해야 한다. |
상대가 일렉테일 드래곤한테 이걸 써서 빼앗으면 야유해주자
일반 몬스터 전용 강제전이. 그러나 강제전이도 제한이 풀린 마당에 바닐라 덱이라도 채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나마 차별점이라면 강제전이와는 달리 이 턴에 표시형식 변경이 가능하다는 소소한 차이 정도다. 거기에 일반 몬스터 자체에도 여러 서포트 카드가 많아 쓰려면 못 쓸 것은 없다. 다만 앞서 설명한 것처럼 강제전이의 경우 자신의 리쿠르트 몬스터 등을 넘겨줘 그 자체로 더 이득을 보는 게 가능한 반면 일반 몬스터는 그런 건 힘들어서 결국 밀린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전술의 발전 | TAEV-KR058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TACTICAL EVOLUTION | TAEV-JP058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Tactical Evolution | TAEV-EN058 | 노말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