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숄티

(게오르그 솔티 경에서 넘어옴)

Solti-Georg-32.jpg

Georg Solti
shorty salty

1 개요

1912년 10월 21일~1997년 9월 5일

헝가리 출신의 지휘자. 나중에 영국으로 귀화했다. 물론 작위도 영국에서 받았다.

이름은 헝가리식으로는 숄티 죄르지(Solti György)이며 본명은 슈테른 죄르지(Stern György)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게오르그 솔티라고 표기하고 있다. 영국으로 귀화했지만 영국식인 George로 바꾸지 않고, 독일식인 Georg를 계속 사용했기 때문이다.

2 생애

헝가리의 부다페스트에서 태어나 버르토크(Béla Bartók), 베이네르(Weiner Leó), 도흐나니(Ernő Dohnányi) 등과 동문수학했다. 1930년대에 헝가리 국립가극장(Hungarian State Opera)에서 조수(répétiteur)로 일했고,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에서 아르투로 토스카니니의 조수로 일하기도 했다.

제2차 세계대전 때는 유대인이었기 때문에 독일에서 활동에 어려움을 겪었다. 런던으로 건너가 로열 오페라 하우스에서 일하기도 했지만 한 시즌 만에 그만두고 스위스로 건너가서 종전 때까지 벼텼다. 지휘자로는 일자리를 찾지 못해 피아니스트로 돈벌이를 했다.

하지만 종전 후에는 완전히 팔자가 뒤바뀌었는데 독일의 거장지휘자들이 대거 연주 금지된 덕분에 1946년 일거에 유서깊은 바이에른 국립가극장의 음악 감독이 되었다. 하지만 연주금지가 풀린 한스 크나퍼츠부슈가 시민들의 열렬한 환호를 받으며 귀환하자 숄티는 그 자리가 자신의 자리가 아니라 다시 크나퍼츠부슈에게 돌아갈 자리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한편 1951년에는 처음으로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에 초빙되어 모차르트의 이도메네오를 지휘했다.

1952년에 결국 뮌헨 국립가극장을 떠나 프랑크푸르트 시립 가극장(Frankfurt City Opera)으로 옮겨갔다. 여기서 숄티는 9시즌 동안 일했다. 이어 1961년부터 1971년까지 영국의 로열 코벤트 가든 오페라(Royal Opera House, Covent Garden)의 음악감독으로 재직했다. 재직기간 동안 코벤트 가든 오페라의 명성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높인 공로를 인정받아 1972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으로부터 기사 작위를 받았다. 숄티는 작위를 받기 몇 개월 전에 영국으로 귀화했다. 숄티는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상임 지휘자를 맡은 기간 동안에도 시카고로 이사하지 않고 런던에 살았으며 시카고에서는 호텔에만 머물렀다.[1] 1971년에 코벤트 가든 오페라 음악감독직에서 물러났지만 이후에도 극장측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면서 정기적으로 지휘했다.

1969년에는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상임지휘자로 임명되어 22년간 장기재직했다. 시카고 심포니 상임지휘자 시절은 솔티에게나 시카고 심포니에게나 리즈 시절이라 할 수 있는데, 숄티는 나중에 상임지휘자에서 스스로 물러날 즈음에 이르러 시카고 심포니는 내 자식과도 같은 존재라고 말할 정도로 깊은 애정을 표했다. 다만 시카고 심포니 재임 초기에는 코벤트가든 등 기존에 예약되어 있던 스케줄 때문에 숄티가 많은 시간을 시카고에 할애할 수 없었는데 이 때문에 수석객원지휘자직을 신설하여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를 영입하였다. 솔티는 일부러 자신과 다른 스타일의 지휘자인 줄리니를 선택하여 오랜 설득 끝에 그를 수석객원지휘자로 영입하는데 성공했는데, 줄리니는 숄티와는 대조적인 스타일의 지휘자였기 때문에 이 영입은 시카고 심포니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된다. 숄티는 줄리니의 후임으로도 자신과 대조적인 성향의 지휘자인 클라우디오 아바도를 수석객원지휘자로 영입했다. 숄티는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방대한 양의 음반녹음을 남겼다. 숄티는 시카고에서 재임기간 동안 파리 오케스트라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상임지휘자직을 맡기도 했지만 교향악, 관현악 음반 녹음은 거의 전부 시카고 심포니와 함께 이루어졌다. 오페라는 오페라에 익숙한 빈 필 등 오페라 전문 오케스트라와 녹음했지만 1976년 바그너의 방황하는 네덜란드인 녹음에 시카고 심포니를 처음 기용했다. 이후에도 솔티는 바그너베토벤 피델리오, 베르디 오텔로 등 관현악의 비중이 큰 오페라 녹음에서 시카고 심포니를 기용했다. 1991년 숄티는 자신이 지나치게 오래 집권하는 것이 오케스트라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스스로 상임지휘자직을 다니엘 바렌보임에게 넘기고 물러났다.

1972년에는 카라얀의 뒤를 이어 파리 오케스트라의 상임지휘자가 되었으나 악단 경영진측과 갈등 끝에 1975년에 사임했다. 나중에 파리 바스티유 오페라의 음악감독을 맡았던 바렌보임과 정명훈이 잇달아 곤욕을 치루고 물러났을 때 솔티는 파리는 원래 그런 곳이라며 바렌보임과 정명훈을 두둔하기도 했다. 특히 숄티의 후임으로 파리 오케스트라에 취임하여 장기간 재임했던 바렌보임의 융화력을 높이 사서 나중에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후임에 앉히기도 했다.

1979년부터 1983년까지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상임지휘자 겸 예술감독을 맡았다. 런던 필 재임기간 동안에는 에드워드 엘가의 작품을 레퍼토리에 추가하였다.

1983년에는 바이로이트 페스티벌에 초빙되어 니벨룽의 반지 4부작을 지휘하여 큰 화제를 모았다. 1976년 야심차게 준비했던 100주년 반지 프로덕션에 대한 논란에 휩싸이자[2] 차기 프로덕션의 지휘자로 숄티를 섭외했다. 숄티는 바이로이트측에 여러가지 까다로운 요구를 했는데, 특히 연출 측면에서 과감하게 숄티의 요구를 수용하여 자연주의 연출로 제작하기까지 했다. 또 숄티는 오케스트라의 호른 파트를 시카고 심포니 단원들로 대체하려다 바이로이트 페스티벌의 호른수석인 베를린 필의 게르트 자이페르트 등이 반발하여 역풍을 맞기도 했다. 또 타이틀 롤인 지크프리트역의 라이너 골트베르크(Reiner Goldberg) 등과도 갈등을 일으켰는데, 결국 골트베르크가 건강상의 이유로 하차하고 급히 만트레트 융(Manfred Jung)으로 교체되기도 했다. 이처럼 준비과정부터 순탄치 않았던 1983년 링은 프리미어 이후에 역시 논란에 휩싸였는데, 특히 피터 홀의 보수적인 연출은 보수적인 관객들에게는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진보적인 평론가들에게는 혹평을 받았다.[3] 또 교체된 타이틀롤인 만트레트 융에 대해서도 혹평이 있었다. 솔티의 지휘 자체는 직전 프로덕션의 피에르 불레즈가 워낙 말아먹은 바람에 긍정적으로 평가받았지만 기대했던 만큼 대단하지는 않아다는 평이었다. 결국 1983년이 그의 처음이자 마지막 바이로이트 출연이 되었다.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에서 물러난 이후에는 객원지휘자로 활발하게 활동했다. 1994년에는 카네기홀에서 미국의 젊은 음악도들을 위한 "Solti Orchestral Project"를 진행했고 이는 동영상과 음반으로 출시되기도 했다.

루트비히 판 베토벤을 소재로 하는 영화 불멸의 연인의 음악을 맡기도 했다.

3 데카와의 파트너쉽

영국 클래식 레이블 데카와 평생에 걸친 파트너쉽을 지속햇다. 데카와 계약을 맺은 것은 여러가지로 숄티에게는 큰 행운이었다. 데카가 처음에 그와 계약을 맺은 것은 유명 연주자나 성악가의 반주자로 기용하기 위해서였다. 당시 피아노 반주자는 음반 표지에 이름이 실리지 않는 경우가 많을 정도로 형편없는 대우를 받았다. 솔티는 데카에서 피아노 반주자로 일하면서 솔티는 컬쇼 등의 프로듀서에게 자신의 지휘 열망을 열심히 피력했다. 실제로 솔티는 현업으로 지휘자로 데뷔하였고 나쁘지 않은 커리어를 쌓기 시작했다. 당시 데카는 거액을 들여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독점 계약을 맺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빈 필의 주요 지휘자들은 대부분 DG 소속이었다. DG 소속이었던 칼 뵘은 빈 필에서도 가장 영향력 있는 지휘자였고 빈 필과 무척 녹음하고 싶어했지만 데카와 빈 필의 독점 계약 때문에 1970년 이전에는 녹음을 할 수 없었다. 숄티는 뉴비 시절 아직 빈 필의 정기연주회 지휘자로 초빙받은 적 조차도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빈 필과 가장 많은 녹음 세션을 갖는 행운을 누릴 수 있었다.[4] 하지만 초기 녹음 세션에서 빈 필을 통솔하는데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5] 숄티의 공격적인 해석과 비전통적인 지휘법에 대해 특히 노장 단원들의 반발이 있었고 일부 단원들은 녹음 세션을 박차고 나가기도 했다. 때문에 한동안 숄티의 빈 필 녹음세션은 비정예 멤버로 꾸려졌다.

1958년부터 1965년에 걸쳐 진행된 숄티와 빈 필의 니벨룽의 반지 전곡 녹음은 세계최초로 스테레오로 녹음된 니벨룽의 반지 전곡 음반사에 남을 대규모 프로젝트였고, 64년의 신들의 황혼 세션은 BBC에서 다큐멘터리로 만들기도 했다. 당시 데카의 놀라운 녹음기술과 화려한 성악진 등으로 엄청난 화제와 성공을 거둔 녹음 프로젝트였다. 58년에 라인의 황금 녹음을 완료했으나 데카 프로듀서진은 아직 스테레오 녹음기술이 성숙하지 못했다고 판단하여 후속 녹음세션은 63년에야 재개되었다. 65년 발퀴레의 녹음을 끝으로 전곡 녹음 세션이 완료되었지만 제작진들은 58년에 녹음된 라인의 황금의 음향에 아쉬움을 가지고 있던 차였다. 이에 빈 필 단원들은 마지막 녹음 세션날 예정대로 발퀴레 녹음을 마치고 저녁에 오페라 공연을 마친 후 밤 11시가 넘은 시간에 악기를 들고 자발적으로 다시 소피엔잘에 모였다. 라인의 황금의 몇몇 장면이 다시 녹음되었다. 마지막 녹음 컷은 니벨룽의 반지 전곡을 시작하는 부분이었는데 이미 새벽 두시를 넘긴 시간이었기 때문에 호른 주자들이 컨디션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그렇게 세계최초의 스테레오 니벨룽의 반지 전곡 녹음이 모두 끝났다.

이 녹음은 원래 한스 크나퍼츠부슈를 기용하려 했으나 크나퍼츠부슈가 워낙 녹음에 비협조적인 지휘자였기 때문에 결국 이 녹음 세션은 숄티에게 돌아왔다[6]. 하지만 아직 뉴비였던 숄티가 이런 대작 녹음에 기용되는 것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도 상당수 존재했는데, 경쟁사인 EMI의 프로듀서 월터 레그는 이 녹음이 50장도 팔리기 힘들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모차르트, 베르디, 리하르트 바그너,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버르토크 녹음이 유명하다.
  1. 카라얀이 34년간 베를린 필하모니커의 상임지휘자로 있으면서도 베를린에서는 호텔에서만 머물렀던 것과 비슷하다.
  2. 파트리스 셰로가 연출하고, 피에르 불레즈가 지휘한 100주년 반지 프로덕션은 엄청난 논란과 비판에 휩싸였는데 토마스 만 등의 해석을 근거로 근대시대로 설정한 셰로의 연출은 모순점으로 논란이 일었다. 때문에 이 프로덕션은 프리미어 이후 연출에 대대적인 수정이 가해졌다. 이 작품을 처음 지휘해봤던 불레즈의 지휘에 대해서도 논란이 많았다. 불레즈의 지휘 역시 프리미어 이후 템포 등에서 많은 변화가 있었다. 이 프로덕션은 마지막해인 1981년에 녹음, 녹화되어 음반 및 영상물로 출시되었다. 많은 수정이 있었기 때문에 오늘날 평가는 다소 나아진 편이다.
  3. http://www.wagneropera.net/RW-Performers/Georg-Solti.htm.바이로이트 역사상 최악의 실패작 중 하나로 기록됨., The disastrous Peter Hall-Georg Solti 1983 Bayreuth Ring is an exception. But it was so badly thought out, mishandled, and mismanaged on every front that it were better had it never been attempted.. 피터 홀과 조지 숄티의 재앙과도 같은 반지. 다시는 이런 시도가 일어나지 않아야 함. http://www.nytimes.com/1983/08/01/arts/opera-premiere-of-solti-hall-gotterdammerung.html 숄티의 프로덕션은 성공적이지 못해..가까스로 막을 내림
  4. 비슷한 케이스로 한국의 지휘자 정명훈이 있다. 정명훈 역시 정식으로 빈 필의 정기연주회에 초빙된 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DG가 아시아시장을 위해 그를 밀고 있었기 때문에 빈 필과 녹음 세션을 가질 수 있었다.
  5. 실제로 빈필과 숄티의 녹음중 명연이라 할 것은 별로 없다...
  6. 평론가 노먼 레브레히트의 인터뷰에 따르면 크나퍼츠부슈는 녹음 취지와 맞지 않는다고 생각한 프로듀서 존 컬쇼가 결사반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