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원고등학교(부산)

이 문서는 개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또는 특수학교 및 유사한 교육 기관 관련 내용을 다룹니다.

다음에 해당되는 서술은 금지되어 있으며 이에 위배되는 내용을 작성할 시 문서 훼손으로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학교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내의 교사 및 학생 등 비공인에 관한 서술
  • 기타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불필요한 서술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고등학교
KAIST 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1가야고등학교개금고등학교개성고등학교경남공업고등학교
경원고등학교동의공업고등학교부산국제고등학교부산동고등학교부산동성고등학교
부산마케팅고등학교부산정보고등학교부산진고등학교부산진여자고등학교부산진여자상업고등학교
성모여자고등학교세정상업고등학교양정고등학교부산미용고등학교
윗첨자1 : 엄밀히 말하면 영재학교는 고등학교가 아니지면 편의상 기재한다.


파일:경원고전경.jpg
경원고등학교
Kyungwon High School
景園高等學校
파일:경원고 로고.jpg

교훈창의 근면 성실
개교1986년 3월 11일
유형일반계 고등학교
성별공학
운영형태사립
교장9대 박태우
교감박호정
학생 수776명
(2016년 4월 1일)
교직원 수57명
(2016년 4월 1일)
상징교목: 은행나무
교화: 동백
관할교육청부산광역시 교육청
소재지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백양관문로 40(당감1동)
홈페이지

학교알리미

1 개요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1동에 위치한 고등학교. 개교 당시에는 대한민국 최초이자 최후의 이슬람교 미션스쿨인 알리고등학교 라는 교명으로 개교 했으나 이슬람교 논란 및 재단 문제로 인하여 1987년에 재단이 변경되어 1988년 부터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다.

2 역사

2.1 학교 연혁

1900's
1986년 3월 - 개교및 입학식(6학급) / 초대교장 최상용 취임(11일)
1987년 10월 - 학교법인 경영학원으로 재단 이전 / 김기주 초대 이사장 취임(23일)
1988년 3월 - 제 2대 박홍기 교장 취임(2일)
1989년 2월 - 제 1회 졸업식(15일)

11월 - 교사증축(15개 교실) 및 운동장 확장(30일)

1990년11월 - 학급 증설 인가(8개학급 400명)(28일)
1991년 6월 - 충효석 건립1일()
1993년 3월 - 씨름부 창단(2일)현재 사라진 것으로 추정
1995년 9월 - 컴퓨터실 개관(40평)(22일)
1996년 5월 - 어학실 개관(52석)(5일)
1998년6월 - 학급증설 및 남녀공학 전환(남4, 여5학급)(1일)암흑기의 시작?(...)
1999년 2월 - 무용실(40평),생활실(40평)개관 및 식당 (300석)증축 ()28일
2000's
2002년 2월 - 별관 준공(5개 교실 신축)(23일)

10월 - 본관 이중창문 공사 준공(14일)

2003년 9월 - 별관3층 증축(다목적실)(26일)
2004년 3월 - 모둠실 개관(신관 2층 교실1개)(4일)

8월 - 디지털 도서관 '글마루' 개관(리모델링)(26일)

2005년 6월 - 제 6대 조석제 교장 취임(1일)
2008년 9월 - 제 7대 변강섭 교장 취임(1일)
2011년 3월 - 제 8대 최양섭 교장선생님 취임(1일)

12월 - 장애인 편의 시설 증축 공사(엘리베이터 설치)(24일)

2012년 3월 - 교과교실제(과목 중점형 - 수학,영어)운영(1일)
2013년3월 - 학력신장 프로젝트 운영(1일)
2016년 2월 - 제 28회 졸업식(9학급-남4,여5 총 296명) 총 졸업생 9,520명(남6,599명, 여2,921명)(12일)

3월 - 제 9대 박태우 교장 취임(1일) / 제 31회 입학식(남 4학ㄱ브 101명, 여 5학급 160명, 총 261명)(2일)

3 교훈 및 상징

3.1 교육목표 및 교훈

학교설립이념
國家와 民族 그리고 人類 에게 빛과 흙과 물이 되는 人才 양성

(빛)
빛은 善과 希望을 뜻하고, 모든 生命의 根源이다.
세상의 어두운곳을 밝히고 希望을 주는 人間, 그러므로 빛은 開拓情神을 뜻한다.
(흙)
人間은 흙에서 태어나 평생동안 땀흘려 일하고 마침내 영원한 故鄕 흙으로 돌아간다.
그러므로 흙은 人情神을 뜻한다.
(물)
물의 屬性은 모든 것을 깨끗하게 한다, 모든 生命은 물이 없으면 生存할 수 없다.
목마른 靈魂의 渴症을 풀어준다. 그러므로 물은 犧牲情神을 뜻한다.

3.2 학교 상징

3.2.1 교표

파일:경원고 로고.jpg
사각모를 정면으로 본 모양과 펜촉으로 학구적, 탐구적 정신을 상징한다.

3.2.2 심볼마크

경원고의 머리 글자만 가지고 현대감각에 맞게 심볼 마크를 정하였다.

3.2.3 교화

동백꽃과 같이 불굴의 정신으로 학업에 정진하여 국가와 사회에 봉사하며, 맡은바 책무는 정의에 입각하여 끈기 있게 수행할 것을 바라는 뜻이다.

3.2.4 교목

width=100%
은행나무

은행나무와같이 튼튼한 몸과 깨끗한 심성으로 인류 사회에 공헌하는 사람이 되기를 바라는 뜻이다.

3.2.5 교가

박홍기 작사, 이동슬 작곡
1절 - 백-양산 정기 받아 웅지기르며 빛나는 동산에서 학문을 익혀 희망찬 내일을 우리것으로 아- 길이 빛나리 경원고교
2절 - 성-실과 근면으로 다져진 우리 창의로운 탐구는 더욱더 빛나 다가올 세계를 우리것으로 아- 길이 빛나리 경원고교
3절 - 오륙도 푸른 파도 남아의 기상 배달의 길을 잇는 지덕을 길러 웅비의 나래를 우리것으로 아- 길이빛나리 경원고교

4 학교 특징

점점 여 교사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과 다르게 남자 교사의 비율이 꽤나높다.

남녀공학이지만 분반형식이기에 정문에서 학교를 봤을때 주로 왼쪽은 남자반, 오른쪽은 여자반이며
주로 1,2반은 남자(문과), 3,4반은 남자(이과), 5,6,7반은 여자(문과), 8,9반은 여자(이과)와 같은 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준별수업(수학, 영어)을 할때 3반정도를 묶어서 하기에 4반 남학생들은 자주 여자반과 합동수업을 한다.
3학년의 경우 탐구과목시간에 남녀 합반을 한다.
등교할때 운동장을 지난후 갈라져 주로 좌문은 남학생용, 우문은 여학생용으로 사용된다. [좌,우문을 들어간 후 학생증을 찍는데 기본적으로는 7시52분에 맞춰져있지만 하도 왔다갔다해서 53분이 될때도 있고 50분일때도 있어 그냥 50분까지 오는게 좋다.]

밥은 남,녀 급식실이 따로 있으며 주로 여학생의 학생, 학급이 많기에 3학년 여학생 중 1반 정도는 남자급식실에서 함께 식사 한다.
밥은 3,2,1학년 순서로 다같이 별관(남자)과 본관 1층(여자)의 급식실에서 먹으며 이 때 새치기가 자주 일어나지만 관리는 매우 소홀하여 불만을 갖는 학생이 좀 있다.
급식을 먹을때는 학생증을 이용한다.

주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공부를 잘하는 경향이 있는지 정독실의 자리는 대부분이 여학생들의 자리이다.
솔직히 남학생이 공부하기 드럽게 힘든 학교라카더라(...)남자애들은 공부안해서 분위기 휩쓸려, 여자애들은 공부 열심히해서 내신도 그렇게 쉬운거 아니고(...) 공부하고자하는 남학생에는 여로모로 안습한 상황
여담으로 상위 100%도 가끔씩 들어가는 학교라카더라(...), 커트라인이 중학교 내신 상위 8,90%정도라 카더라(...), 특성화고 떨어진 애들이 오는 학교라카더라(...)

기본적으로 시험에대한 오답노트등을 제외하고는 숙제 자체는 거의 없지만 거의 매년 매학년에게 국어과제가 있는데 이때 처음으로 학교 홈페이지를 쓰는 사람이 많다. 학교홈페이지에 조별 과제나 개별 과제를 올리기때문. 가끔 선생님 본인의 이메일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국어 과제의 내용은 주로 5분 자유주제 말하기, 자기소개서 쓰기, 독후감 쓰기, 문학관 탐방기 작성(조별 과제), 연극 감상문(조별 과제) 작성 등등이 있다.

사회탐구 선생님들의 경우 3학년때 다른 과목에 비해 자습을 매우 많이 안 시킨다. 대신 그만큼 열성적으로 가르치신다.

1,2학년때 수준별 수업중 대다수는 별관의 영어실과 수학실에서 스마트 칠판 or 책상 등을 이용해 수업을 한다.

체육 수업은 선생님이 누군지 남자반인지 여자반인지에따라 달라지는데 크게 그냥 일반적인 수업인 경우와 1년내내 아나공 수업[1]인 경우로 나뉜다.

교무실에서 매주 중고등학생용 경제 신문인 생글생글을 볼 수 있다.

선생님들과 학생들의 관계가 매우 친한편이다. 학생들끼리 돈을 모아 담임선생님의 생일케잌을 사드린다거나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아이스크림을 사주는등의 일이 매우 자연스럽다.다른 학교도 많이 그러는거 같은데아닌 학교도 많지않나?

5 학교 시설

본관, 별관, 운동장(테니스?배구?장,삼각 농구장),주차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운동장은 매우 넓지만 잔디구장이아닌 그냥 모래 운동장이다.
별도의 체육관은 없다.

6 학교 생활

6.1 학생회

학생회장 선거는 3학년 교실 또는 맨 위층에 올라가서 진행된다.

반장등의 간부와 학생회 멤버들은 뱃지?브로치?단추? 비스무리한걸 달고 다닌다.

6.2 주요 행사

"운동회 : 개최시기(날 뜨실때)" - 운동회
"학예제 : 개최시기(겨울쯤?)" - 인근의 동서대학교 건물을 빌려서 한다.곧 폐지 될 조짐이 보인다카더라

6.3 동아리

크게 예체능 동아리, 심화 (공부) 동아리, 공부 동아리, 운동 동아리, 일반 동아리 가 있는데
예체능 동아리에는 난타부, 밴드부(?) 등이 있으며,
심화 동아리에는 경원ECO[2], 국,수,사,과 등등의 심화공부 동아리가 있고,
공부동아리도 마찬가지로 국,수,사,과 등등의 동아리가 있고,
운동 동아리는 축구부, 농구부 등이 있고,
일반 동아리에는 환경부, 도서부, 컴퓨터부컴퓨터 게임부, 영화감상부동아리 계의 진주인공 등이 있다.

동아리 시간이 일주일에 한번씩 있는데 행사 등으로 빠지는 경우도 많고 이러저러한 이유로 제대로 운영되기 어려워 심화동아리의 경우에는 활동을 하긴 하지만 실제 활동기간은 약 3분의 1정도이며, 운동부를 제외한 동아리들은 영화감상부가 된다카더라

6.4 학과

문, 이과가 있으며 예체능은 문과에 포함시킨다.

6.5 운동부

씨름부가 있었으나 현재는 폐부 된 것으로 보인다.

7 출신인물

김영춘, 예정화, 최홍만

8 교사

김재홍(김요아킴)

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9.1 도보

경원고 한정 진리다. 옆동네 개금고도 비슷하다
학교자체가 아파트 단지로 둘러 쌓인곳에 있어 도보로 오는 학생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다. 근처살면 여기로 차 몰고 가는게 얼마나 헛고생인지 알거다

9.2 버스

9.2.1 윗쪽방향

백양로 교회앞124, 179, 마을 버스 사상구6

9.2.2 아랫쪽 방향

개금주공아파트[3]급행 1004
개금주공아파트[4]129-1, 138-1, 160, 167, 169, 169-1
당감3동우체국[5][6]129-1, 138-1, 160, 167, 169, 169-1

9.3 철도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동의대역에서 하차후 6번출구로 나와 다리를 건너 위로 쭉 올라오다보면 보인다.[7]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동의대역에서 내려서 6번출구로 나온 후 횡단보도 짧은거 하나 건너고 그대로 다리건너고 횡단보도 앞쪽으로 한번 오른쪽으로 한번 건너고 위로쭉가면서 3번째 블록 위족 경원서점 가기전에 우회전하면 보인다.

10 사건·사고

[8]

11 기타

  • 매점은 별관에 있으며 여름철 한정메뉴는 팥빙수, 겨울철 한정메뉴는 핫쵸코.
  • 교내의 모든 구역은 금연구역이지만 주차장 옆의 컨테이너 박스가 유일한 흡연구역이기에 흡연가이신 선생님들은 여기에서 담배를 피우신다.
  • 심심하면 비둘기나 참새 등의 새가 교내로 날아 들어온다.
  • 여담으로 4,5층쯤에서 석식시간에 석양을 보면 매우 예쁘다카더라.
  • 도전 골든벨에 나간적이 있다.[9]
  • 동문회에서 매년 후배들에게 수능떡을 돌리고 있다. 2015년까지 동문회 회비 비스무리한 회비를 1년에 한번씩[10] 걷었는데 학생들의 불만 폭주로 인해 폐지되었다카더라[11]3년동안 판치기 한 돈정도로 낼수 있는 수준? 후배들(1,2학년)의 경우에는 카네이션?등의 꽃값을 1년에 1회정도 걷었다.1,2천원정도
  • 해병대 출신 학교폴리스가 있다.인사를 하면 사탕을 주신다!!
  • 제 2 외국어로 일본어를 배우며, 예전에는 독일어였지만 일본이 흥하던 시절에 바꿨다카더라. 독일어 교사들이 일본어를 배워 그대로 일본어 교사를 하고 있다카더라. 개교 초기에는 국내 최초로 아랍어가 제2외국어였다.아랍어 의문의 1패
  • 많은 고등학교에서 한 것처럼 세월호 참사로 인해 2014년도의 고2 학생들은 수학여행을 가지 못했으며, 운동회도 규모를 매우 축소하여 남자-축구 결승전, 여자-배구?피구? 결승전만 하였다.
  • 1층은 주로 급식실, 보건실, 음악실, 토론실 등으로 이용되며, 2층은 주로 교무실,컴퓨터실, 소수의 여학생반이기에 대부분의 학생들의 교실은 3층이상이다.
  • 학교의 위치가 위치인지라 버스를 타고 등교하는 학생들은 교실까지 가기가 꽤 힘들다.[12] [13] 인근의 주공 3단지 아파트에서는 차를 타고 이동하는것보다 걸어가는게 빠르다. 3단지에서 걸어서 가면 금방 가는데 차를 타고가면 도로가 일방통행인데다 사고가 잦은지역이라 차도 자주막혀 몸이 안좋다거나 하는 등의 이유가 아니라면 걸어가는게 낫다. 특히 몇몇 동의 경우 학교에서 차로 하교하면 걸어가는게 훨씬 효율적인데 왜 그런 고생을 하나싶어한다카더라. 대문까지 7시 50분에 간다면 지각 확정이다 대문에서 수위실까지만해도 상당한 오르막이여서 체력이 빠지는데다 거기서 또 운동장은 가로 질러 가면 안되기에 돌아가고 거기서 7시45분쯤부터는 전쟁의 시작 매우 줄이 길기에 좀 일찍 가야된다. 거기다 3층까지 계단으로 올라가면 엄청시리 힘들다.
  • 2015년 메르스 사태 때에는 수위실에서 대문까지의 긴 오르막에서 계단식으로 서서 발열체크를 했다.[14]
  • 대문 바로 옆에 경원서점이 있어 대부분의 학생들이 거기서 참고서를 산다.[15]
  • 인근에 운전면허 학원이 있어 수능 끝난 고3들은 수업은 안듣고 운전면허 땄냐는 얘기만 하기도한다카더라.
  • 교복은 검정계열로 촌스러운건아니나 그닥 멋지거나 예쁘다고 말하기도 어려운 참으로 평범하고도 평범한 교복교과서에서 그대로 가져온 것 같다
  • 체육복은 형태는 매년 같고 색깔만 바뀌는데 1학년을 기준으로 2011년 남색, 2012년 푸른옥색, 2013년 파랑색스머프,2014년 남색과 같은식으로 매년 3가지색이 로테이션 했지만 2015년의 1학년들은 어두운계열의 색에 빨간색 줄무늬가 눈에 띄는 체육복을 입었다. 이후는 수정바람. 아주 가끔 인근 독서실이나 마트에서 주말, 공휴일 등에 이 체육복을 볼 수 있다카더라 동복은 좀 얇은 지퍼형으로 되어있으며 점심시간쯤되면 상의에 체육복을 입고 있는학생을 매우 많이 발견 할수 있다.
  • 명찰은 2종류가 있는데 천명찰의 경우 교복 마이에다가 오바로크하여 달고 댕겨야하고, 나머지 와이셔츠(동,하복)에는 플라스틱 명찰을 달고 댕긴다.
  • 2016학년도 졸업생의 경우 2013학년도부터 2014년도 1학기까지는 9시까지 야자가 강제였다가 2014학년도 2학기때에는 자유로 바뀌고 2015년도에는 고3이되어 다시 10시까지 야자가 반강제로 하게되는 괴랄한 경험을 하였다. 현재는 고3을 제외하고는 자유라 카더라.
  • 주변에 여중이 2개나 있어 그대로 경원고로 오는 학생도 많다. 중식시간의 경우 개금여중의 학생들이 남학생들을 보며 그냥 막 소리를 질러댄다.남학생들 입장에서 겁내 시끄럽다. 그렇다고 거기에 반응해서 대응 할 경우 혼날 수도 있고 말을해도 말이 안통한다. 그러니 그냥 인내심을 갖고 무시하자(...).[16]
  • 본관과 별관 건물 사이에는 플라스틱 지붕이 있어 비오는 날에도 남학생들은 급식실로 비 안 맞고 갈 수 있다.그냥 좀 맞고 가는 애들도 많다 카더라
  • 밥은 상당히 맛있는 편이다. 같은 메뉴가 하도 로테이션 해대서 점심, 저녁 다 학교에서 먹으니 체감상 더 심하게 자주 나오는 느낌이 든다. 양도 적당히 주는 편이지만 봉사활동하는 학생들의 재량에 달렸다.[17] 맛있는건 돼지국밥, 치킨마요덮밥,나가사끼 짬뽕[18], 메밀소바,떡+닭꼬지 등이 있고 밀가루 음식이 좀 맛없는 경향이 있다.
  • 우유급식을 하는데 주로 각반의 주번이 자기반의 우유박스를 중앙현관에서 가져오는 식이며 흰우유,초코우유,과일주스등이 번갈아 나오는데 간간히 딸기 & 바나나 우유, 요구르트도 나온다.
  • 중앙현관에서 건물을 봤을때 본관 건물 우측의 1층과 지하실은 주로 예체능위주의 동아리실로 쓰이는데 여기서 건물 오른편에 좁은 문이 하나 있으며 예전에는 열려 있었으나 몇몇 일들변태가 개금여중갔다가 이 문으로 탈출해서 그랬댔나? 이 비스무리한 이유였던거 같은데 어쨌든 그닥 좋은 이유는 아니다카더라.로 인해 지긤은 폐쇄된 상태.

도서관의 컴퓨터는 고학년의 전유물이 되었다카더라

멋진건 그닥 모르겠고 예쁜 여자애들은 상당히 많다. 그냥 여자애들이 많아서 예쁜애들의 비율이 많아 보이는 것일지도 모른다.

12 트리비아

  • 개요에도 적혀 있는 대로 원래는 알리고등학교[19]라는 국내의 전후무후한 이슬람교 미션스쿨로 개교한 학교였고# 학교법인 육영학원 (현재는 영도 남도여중만을 운영하고 있음)과 사우디 아라비아 쪽의 자본 합작으로 만들려고 했던 학교였다. 그 덕분에 개교 이전에 사우디 아라비아 자본이 합작으로 투자한다는것이 석유재벌이 투자한다는 말로 와전되어 일대 중학생들 사이에서 환상의 학교로 통하기도 했다.# 초기에는 이슬람교 수업도 있었다고 하고 국내 최초로 제2외국어로 아랍어를 가르쳤다. 하지만 육영학원 재단 측의 문제로 2층 까지만 만들어진 미완성 상태에서 개교하여# 완공 기한이 다 되어가도 건물 완공이 안되어서 학교 운영이 목적 달성이 불가능할 정도로 차질이 생겼고, 이슬람교 종교색 논란까지도 생기면서[20] 1987년에 관선이사가 파송되어 사실상 강제적으로 현재의 재단으로 넘겨주었고 사우디 아라비아 쪽에서 투자하려던 자본은 모두 회수해갔으며 이슬람교 종교색도 완전히 사라졌다. 1988년에 지금의 경원고등학교로 교명이 바뀌면서 사실상 2년도 채 되지 않았던 알리고등학교 시절은 흑역사화 되었고, 새 재단에 의하여 건물이 완공되면서(당초 조감도와는 다른 모양으로 완공되었다) 그 이후 평준화 고등학교에 편입되었으며, 이후에 육영학원 측에서 운동장 및 교사 부지 이전에 관해 소송을 걸었으나 패소 하였다. # # #
  1. 축구공을 하나 던져준채 할 애들만 축구하고 나머지는 오두막이나 벤치에가서 수다를 떤다.
  2. 경제 동아리 이다.
  3. 백양관문로에 위치
  4. 백양대로에 위치
  5. 한쪽방향만 운행
  6. 아래방향에서 버스를 타고 오는 대부분의 학생들은 개금주공아파트 정류장에서 내리지만 실제 걸리는 시간은 비슷하며 직선거리로는 이쪽이 학교에 가깝기에 이쪽도 서술함.
  7. 가야고가교 아래의 도보로 갈 수 있는 다리가 있지만 네이버 지도 등의 지도에서는 가야고가교때문인지 인식이 안된다.
  8.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하시기 바랍니다.
  9. 단 최종까지 남은 사람은 없었다.
  10. 3학년 한정
  11. 단, 정확한것은 아니며 2015년도에 특히 더욱 그런 경향이 심해져 회비를 낸 이후 원하지 않았는데 회비를 낸 학생들에게는 돌려 주었다.
  12. 버스는 크게 위와 아래구역이 있는데 여기서 말하는건 아래 구역
  13. 버스 정류장에서 학교 대문까지 쭉 오르만을간후에 운동장 & 수위실까지 오르막이 이어진 후 다시 계단으로 최소한 3층을 올라가야하기때문.
  14. 일이 밀리면 도보까지 줄을 서기도 했다.
  15. 빨리 사야하기에 인터넷 서점이나 대형 서점에서는 실제로 사기 어렵기때문.
  16. 호칭은 주로 오퐈아아ㅏ아!!!!와 아저씨로 나뉜다.
  17. 물론 이모님들도 같이 배식 하신다.
  18. 국물만 나오기도하고 라면형식으로 나오기도 한다.
  19. 이슬람의 제4대 정통 칼리파인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에서 따왔다.
  20. 개교 당초에는 아직 특수지 고등학교이기는 했으나 추후에 높은 확률로 평준화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인들 사이에서 논란이 될 수 밖에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