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역사

1 개관

원래 광주지역 일대는 백제통일신라, 후삼국시대까지 무진군(武珍郡), 무진주(武珍州), 무주(武州)[1]로 불렸다. 이두에서 珍의 새김(훈)은 돌,들로서 우리말로 무돌, 또는 무들이란 뜻이 며 물(水)+들(野)으로 보인다. 광주에서 가까운 나주 영산포에도 이두로 水入伊(무들이)라고 읽는 지명이 남아 있다. 광주의 유명한 산인 무등(無等)산 역시 우리말 무들을 한자로 옮겨적은 여러 다른 표기 가운데 하나이며, 무주는 그 약칭인 셈이다. 오늘날 쓰이는 광주(光州)란 이름은 고려 태조 23년인 940년에 그 이름이 처음 생긴 것이다. 왜 광주라 바꾼 것인지는 명확하게 알 수 없지만 고려말의 대학자 목은 이색이 '석서정기'라는 책에서 광주를 가리켜 "光之州"라 언급한 것으로 미뤄볼 때 빛의 고을이란 의미인 것은 분명해 보인다. 그래서 이를 다시 우리말로 푼 빛고을이란 이름도 많이 쓴다.

드라마 태조 왕건을 보면 견훤이 처음에 이곳을 도읍으로 정하기도 했다. 그러나 완산주(지금의 전주)를 얻자마자 도읍을 옮긴 것으로 보면 1,100년 전쯤에는 전주가 광주보다 번화했었을 것이라 추측된다. 그런걸 떠나 백제시대때는 사비성(지금의 부여)이 도읍이었다. 혹은 익산이나

2 선사시대

광주에 언제부터 사람들이 살기 시작했는지는 정확하게는 알 수 없으나 영산강 유역을 따라 구석기 유물들이 출토되는데 광주의 도시개발 과정에서 상무지구의 치평동, 첨단지구 산월동, 철도이설 구간인 매월동 등의 구릉상에서 뗀석기가 발견되어서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들이 살았을 것이라 본다. 또한 매월동과 풍암지구 등에선 고인돌의 존재가 확인되어 청동기시대에도 사람들이 계속 살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3 삼한시대

삼한시대에는 마한에 속했는데, 위지동이부한숙에 의하면 마한의 지역중 광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구사조단국(구사오단국이라고도 한다)과 불이지국(불미국이라고도 한다)을 들 수 있다. 구사조단국은 장성군 진원면 일대로, 불이지국은 나주 일대로 본다. 광산구 첨단지구에는 일본전방후원분이 있어 논란거리가 되고 있다.
파일:Attachment/wkdrhqns.jpg
문제의 일본식 전방후원분, 장고분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4 삼국시대 ~ 후삼국시대

이후 백제가 마한을 복속해 나가면서 광주 역시 백제의 영토에 속하게 되었는데 이 시기에 백제 3주의 하나인 무진주라 불렸다. 무진주는 그 직할에 미동부리현(남평), 복룡현(나주일대), 굴지현(창평)을 통치하였다. 통일신라 역시 서남해 일대의 중요 거점으로 무진주를 인식하여 무진주를 무주로 이름을 개칭하고, 도독부를 설치하여 오늘날 전남 일대인 15군 34현을 관할하게 했다.

신라의 혼란한 말기에 서남해 일대의 해적을 소탕하는 임무를 맡고 온 견훤은 서남해 일대 해적과 해상호족들을 장악한 뒤 진성여왕 6년에 무진주를 점거한 뒤 완산주(오늘날의 전주)로 도읍을 옮길 때까지 무진주를 기반으로 후백제의 기틀을 다졌다.

5 고려시대

고려후삼국을 통일한 뒤, 고려 태조는 940년, 통일된 영토의 행정체제를 개편하면서 무진주의 이름을 광주로 고치고 그곳에 도독부를 설치했다. 그후 고려 성종 14년에 관제개혁으로 전국을 3경 4도호부 10도로 나누는 동시에 12주목을 12주절도사로 변경하였다. 이 개혁으로 전라남도를 해양도라 했으며 도호부를 안남(현재 영암)에 설치하였고 광주에는 자사를 두었다. 이때 광주의 이름을 해양현이라 개칭했다. 고려 고종 때에는 기주라 칭하다가 충렬왕때 다시 무주로 개칭하는가 하면 충선왕 때에 화평부, 공민왕 때에 무진부, 다시 공민왕 22년인 1373년에는 광주목 등으로 지명과 행정 지위가 자꾸 바뀌었다.

6 조선시대

조선시대에 들어오면서 전라도를 좌도와 우도로 나누었는데 광주는 좌도에 속했다. 그런데 세종 12년 노홍즌이라는 자가 광주목사 신보안을 구타했다는 이유로 광주목에서 무진군으로 강등시켜 버렸다. 문종 1년에 광주목으로 다시 회복되었지만 비슷한 사건 등으로 성종 20년 다시 광산현으로 강등되었고 연산군 1년에 다시 광주목으로 회복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인조대와 숙종대에도 비슷한 일들이 있었다.

고종 32년인 1895년 전국을 23부로 나누면서 나주부에 속한 광주군이 되었다가, 1896년 13도제로 개편함에 따라 전라남도청을 나주가 아닌 광주에 둠으로서 호남지역의 중심지로 성장하게 되었다.[2]

500px
구한말 광주 일대의 행정구역 상황. 위쪽의 담양군 대전면 일대는 원래 광주 땅이었다가(대치면, 갈전면), 1906년 담양군으로 넘어갔다.

7 일제강점기

일제시대 전까지는 그래도 조용한 동네였으나 1896년 나주[3]를 대신해 전라남도청이 들어서게 되고, 이때부터 성벽을 부수고 확장을 하면서 코슈혼마치광주본정(光州本町, 현재의 금남로)이 들어서고 발전을 시작하게 되었다. 구한말 의병 또한 많았는데 남한 대토벌 작전으로 거진 다 쓸려가게 되었다.

일제는 1910년 9월 30일 조선총독부의 새로운 지방제도를 발표하고 이에따라 광주에 읍장을 두고 성벽안의 성내면(충장로,금남로 일대)과 성밖의 기례방(오늘날의 대인동 일대)·공수방(오늘날의 순기동 일대)·부동방(오늘날의 삼성동 일대)의 3방이 있었는데 이 1면 3방을 합병하여 광주면이라 칭하였다.

500px
1914년 조선총독부의 행정구역 개편 당시 광주군의 행정구역 상황.

이후 1914년 4월 1일 전국 행정구역 개편을 단행하여 15개 면으로 재편하였다.

이후 1923년 서방면[4], 효천면, 지한면의 각 일부를 광주면에 편입하여 시가지를 확장한 후, 1931년 읍(邑)제 실시에 따라 광주면은 광주읍으로 승격되었다. 1929년 11월 3일 광주학생항일운동의 중심지가 되었고 이 운동의 여파로 전국의 거의 모든 학교가 동맹휴학을 하는 등의 일이 있었다. 1931년 우치면과 본촌면이 지산면으로 통합되었다.

1935년 서방면, 효촌면, 지한면, 극락면의 일부를 편입하여 광주읍이 광주부로 승격되었으며, 효천면과 지한면이 효지면으로 통합되고, 광주군의 잔여지역은 광산군으로 개칭되었다. 1937년 광산군 송정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8 8.15 광복 이후

500px
1945년 8.15 광복 당시 광주부와 광산군의 행정구역 상황.

해방과 정부수립 이후 1949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광주부는 광주시로 개칭되었고, 나주군 본량면, 삼도면, 평동면이 광산군에 편입되고 광산군청을 광주 시내(현 동구 대의동)에서 송정읍으로 이전하였다.

500px
1955년 7월 광산군 극락면, 서방면, 석곡면[5], 효지면이, 1957년 11월 지산면, 서창면, 대촌면이 광주시에 편입되어 시역(市域)이 대폭 확장되었다. 이는 자유당 이승만 정권의 게리맨더링이라 한다. 그러나 1963년 서창면과 대촌면은 다시 광산군으로 환원되었다.

500px
1963년 서창면, 대촌면이 광산군으로 환원된 이후의 행정구역 상황.

1973년 구(區)제가 실시되어 동구서구의 2개 구가 설치되고, 1980년에는 동구와 서구의 각각 일부를 떼어 북구를 신설했다.

500px
1986년 광주직할시 및 송정시 승격 당시 행정구역 상황.

1986년 광주시가 광주직할시로 승격되었으며, 광산군 송정읍 역시 송정시로 승격되었다. 그러나 2년 후인 1988년 광산군과 송정시 전역을 광주직할시에 편입하고 광산구를 설치함으로서 송정시는 2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1995년 직할시광역시로 이름이 변경되면서 광주직할시가 광주광역시로 개칭되고, 서구에서 남구를 분리하였으며, 광산구 서창출장소(구 광산군 서창면)를 서구에, 대촌출장소(구 광산군 대촌면)를 남구에 편입하였다. 2011년 10월 북구 동림동과 운암동 중 하남대로 이남 지역이 서구에 편입되어 동천동이 되었다.

2016년 현재 5개구 90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주의 역사 중 현대사 부분은 5.18 민주화운동을 빼놓고 이야기할 수 없을 것이다.

그리고 여담으로 전설에 의하면 한국전쟁때 무등산에 둘러싸인 분지다 보니 광주산성에서 광주민들의 저항으로 북한군이 끝내 점령하지 못했다고 한다(…). 물론 식량은 넘쳐났는데 당장 임진왜란때도 왜군이 전라도가 조선 최대의 곡창지대라서 계속 공세를 이어 왔던 것을 생각하면… 진정한 공성전 실현

  1. 무주군과는 한자가 다르다. 여기는 한자가 茂朱로 무주(武州)가 이미 광주로 바뀐 후에 무풍현(茂豊縣)과 주계현(朱溪縣)의 무와 주를 따서 만들었다.
  2. 정확한 과정을 설명하자면, 단발령으로 인해 의병이 봉기하고 나주군수를 살해하면서 관찰사가 광주로 피신갔으며 차후 의병이 없어져도 나주로 안 돌아갔기에 광주에 도청이 생긴 것이다.
  3. 나주는 고려 혜종의 외가라는 특수성 때문에 고려시대부터 대읍이었고 양반이 많아 일제에 잘 순응하지 않았다.
  4. 여담으로 김태촌으로 유명한 조직폭력배 이름인 '서방파'는 이 면의 이름을 딴 것이다. 김태촌이 이 곳 출신이기 때문.
  5. 덕의리, 충효리, 금곡리는 담양군 남면 소재지와 가깝다는 이유로 따로 그쪽에 편입되었다가, 2년 후인 1957년 11월 다시 광주시에 편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