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토/역사

< 교토

1 일본의 수도

교토는 관서 지방에 위치한 일본의 정신적인 수도이다. 헤이안쿄(平安京)를 건설하여 794년 천도한 이래, 대정봉환(大政奉還)이 이뤄진 후 1869년 도쿄로 천도할 때까지 약 1천년 간 일본의 실질상, 혹은 명목상 수도였다. 막부 시대에도 실질적인 수도는 가마쿠라, 에도 등 쇼군이 머무는 곳이었지만, 교토는 덴노가 거주하면서 명목상 수도의 역할을 맡고 있었다. 지금도 정신적 수도는 교토라는 의견이 대세. 무로마치 막부의 경우는 실제로 무로마치가 교토 안에 있어 명실상부한 수도였다.

굳이 따지자면 1180년 당시 정권을 장악하고 있던 다이라노 기요모리(平清盛)에 의해 현재의 고베 일대에 위치한 후쿠하라쿄(福原京)에 약 반년간 천도한 적이 있었고, 그 외에 일본의 남북조시대 당시 남조의 수도가 되었던 여러 도읍지들이 있기는 하다. 하지만 전자는 극히 짧은 기간이었고, 후자의 경우 일본 전체의 수도가 아니었던 데다가 교토에 위치한 북조 정권의 실권을 쥔 아시카가(足利) 가문의 힘이 시종일관 남조 정권을 압도했었기 때문에 천년 도읍의 위치를 허물 정도는 아니다. 교토가 도읍으로 정착되기 전 고대 일본에서는 매우 잦은 천도가 행해졌는데, 교토 이전의 도읍이자 교토가 도읍이 되기 이전에 가장 오랜 기간 도읍이었던 나라의 헤이조쿄(平城京, 710년 ~ 784년)만 해도 쇼무 덴노(재위 : 724년 ~ 749년) 시기에 재앙을 피한다는 이유로 구니쿄(恭仁京, 740년 ~ 743년), 시가라키노미야(紫香楽宮, 743년 ~ 744년), 나니와쿄(難波京, 744년 ~ 745년)등에 천도했던 기간이 있을 정도였다. 교토는 오랜 기간 안정적으로 일본의 도읍이 된 최초의 도시라고 할 수 있다.

일부 일본의 학자들이나, 교토에 대한 애향심이 강한 지역 주민들의 경우 덴노의 정식 천도령이 내려지지 않았다는 이유로 아직까지 수도가 교토라는 주장을 하는 경우도 있다. 실제로 일본에서 수도를 옮길 때는 덴노의 천도령이 있어야 했는데, 메이지 시대 도쿄로 이궁할 때는 공식적으로 천도령을 내리지 않았다. 오히려 교토 주민들의 반발이 무서워서 도망치듯 도쿄로 가서 눌러 앉았다(...). 그래서 명목상으로는 교토가 여전히 수도라는 주장.

이런 논리에서 보면 지금 도쿄의 고쿄(황거)는 행궁에 불과하며, 단지 덴노가 교토를 비우고 있을 뿐이라는 게 된다. 실제로 다이쇼 덴노와 쇼와 덴노의 즉위식은 교토고쇼[1]에서 이루어졌다.[2] 단, 현 덴노인 아키히토가 즉위할 때도 교토에서 즉위식을 거행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으나 즉위식은 도쿄의 고쿄(황거)에서 이루어졌다. 다만 즉위식 때 덴노가 사용하는 어좌대는 교토 고쇼에서 해체해 도쿄로 가져와 사용했다. 이를 놓고 덴노가 공식적으로 천도를 인정한 것인지 아닌지를 놓고 또 이견이 많다. 물론 이는 형식상에 불과한 것으로, 세계적인 인식이나 국내적인 인식이나 정치 및 경제적 영향력으로 보나 이미 일본의 수도는 도쿄라는 게 통설.[3]

한국에 비유할만한 도시를 찾기 어렵다. 경주[4]가 성장하거나, 통일 이후 평양이 쇠퇴하지 않으면 모를까. 개성도 수도로써 지위를 상실한지 600년이 넘었기 때문에 위세가 떨어진다. 아무래도 고조선부터의 고도(古都)라는 점과 수도권에 대립하는 관서지방이었다는 점에 주목한다면 평양이 어울리겠지만 알다시피 김씨조선의 수도 역할을 하면서 일종의 행정, 관료도시화 되었다. 번안/현지화시에는 주로 경주가 선택된다. 그런데 나라의 경우에도 현지화할 때 경주가 선택된다. 이게 다 수학여행 때문이다.나라의 경우는 공주시가 낫지 않나??

2 도시 변천사

heian.gif
조성 당시의 헤이안쿄

헤이안쿄는 당나라의 장안을 본따 동서 4.5km, 남북 5.2km의 외성을 건축한 후 북쪽에 궁성을 만드는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대단한 도성을 만든 업적이 자랑스러웠는지 남북으로 뻗은 주작대로를 기준으로 도성 서쪽은 장안, 도성 동쪽은 낙양이라고 불렀다. 중국의 도읍 둘을 하나로 퓨전! 그러나 서쪽의 장안은 가쓰라가와의 습기와 잦은 범람 때문에 주거에 적절하지 않아 일찍이 풀이 무성한 습지대가 되어 버렸다. 따라서 장안이라는 이름은 자연스레 쓰이지 않게 된 반면 수도 동쪽을 일컫는 낙양이라는 말은 오늘날까지도 사용된다. 교토의 주요 사찰들이 서쪽이 아니라 동쪽의 히가시야마에 자리잡은 것도 이런 이유.

헤이안쿄 조성 이후 수백 년이 지나는 동안 교토는 여러 차례 모습이 바뀐다. 중대한 계기는 오닌의 난으로 이 난리통에 교토 전체가 쑥대밭이 되었다. 우리가 아는 교토의 고찰들도 이때 화를 면치 못했다. 서서히 도시가 재건되긴 했지만 예전같이 복구할 만한 역량은 모이지 않아 도시가 남북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오늘날 카미교와 시모교 구 일대에만 사람이 거주하고 중간의 나카교 구는 논밭으로 전락.

이렇게 쩌리화된 교토를 부흥시킨 인물이 도요토미 히데요시. 히데요시는 도시를 정비하는 한편 경계에 오도이(御土居)라는 토성을 쌓았다. 이때의 성곽은 정방형의 헤이안쿄와는 달리 남북으로 길쭉한 모양이다. 수도를 낙양이라고 부르던 것을 그대로 가져와 이 성곽 안쪽을 낙중, 바깥을 낙외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여기저기 흩어진 절들을 모아 사찰 거리인 데라마치를 형성한 것도 그의 지시에 따른 것. 히데요시는 오사카에 거대한 오사카 성을 짓기는 했지만 교토에 저택과 성을 짓는 등 이곳에서 주로 활동했다.

에도 시대 교토는 문화 중심으로서 정치 중심지인 에도, 상업 중심지인 오사카와 함께 일본 3대 도시의 위상을 유지했다. 교토가 다시 일본 정치의 무대가 된 것은 막부 말기의 일이다. 미국의 개국 요구에 소극적으로 대응하는 막부의 무능한 행태에 분노한 토막파가, 천황에게 실권을 돌려줘야 한다고 주장했기 때문이었다. 자연스레 천황이 머무르는 교토에 다이묘와 사무라이들의 관심이 집중되었다. 토막파와 막부파의 갈등은 유혈 사태와 전쟁으로 번졌다. 무려 천황의 거주지 바로 바깥에서 금문의 변이 발발. 오미야 사건, 토바 후시미 전투 등이 잇따랐다. 그리고 천황은 에도로...

오늘날 교토는 150만의 인구가 거주하는 도시로 변모했다. 곳곳에 오랜 역사의 흔적이 남아 있기는 하지만 어디까지나 현대적 모습이 주를 이룬다. 천년 고도에 콘크리트 건물이 들어설 수 있었던 것은 메이지 시대 신불분리령으로 촉발된 폐불훼석 덕분이다. 이 때신도 이외의 외래 종교를 배척하는 움직임이 일어나 광대한 토지를 소유하던 교토의 오래된 사찰들은 대부분의 토지를 내어 주어야만 했다. 강제로 폐사되거나 다른 사찰과 합쳐진 사례도 많이 발견된다. 도시샤대학은 쇼코쿠지와 합사되어 사라진 절터에 건설되었으며 덴류지는 보유한 산림의 많은 부분을 잃어버리기도 했다.

헤이안쿄 시절부터 거리 구조가 크게 변하지 않아 시내는 바둑판같이 길이 나 있다. 동서 대로는 이치조, 니조, 산조.. 식으로 숫자 뒤에 조(条)가 붙는다. 헤이안쿄 시절에는 쿠조(九条)까지 있었지만 후대에 열 번째 대로인 주조(十条)가 추가되었다.

장소도 주소보다는 교차로 이름으로 찾는다. 길이 대부분 남북/동서로 나 있기 때문. 예를 들면 이마데가와도리(今出川通)와 가라스마도리(烏丸通)의 교차점은 이마데가와가라스마 라고 부르고, 시조도리(四条通)와 가와라마치도리(川原町通)의 교차점은 시조가와라마치(四条河原町)[5] 라고 부른다. 택시를 타도 교차점 이름만 부르면 알아서 간다. 좌표평면? 단, 몇몇 특이한 경우가 있는데, 가령 교토대학 근처에 있는 히가시오지(東大路) 도로와 이마데가와 도리(今出川通) 도로의 교차점을 이마데가와히가시오지 라고 볼 수도 있지만 실제로는 햐쿠만벤(百万遍)[6]이라고 한다. 이렇게 들쑥날쑥한 이름은 히가시오지 도리[7]에 특히 많은편이다. 그래도 택시 아저씨들은 저렇게 이야기해도 잘만 데려다준다고 한다.

3 폭격을 피해간 도시

중요 문화재가 많기 때문에 제2차 세계대전 당시 군수거점임에도 불구하고 미군이 폭격하지 않은 곳이다. 하지만 종전 직전 원폭의 대상 지역으로 원폭의 위력을 일본 정부에게 확실히 각인시키기 위해 상대적으로 폭격의 피해가 덜 한 지역, 그러면서도 가급적 전략적 가치가 큰 지역이 후보지로 검토되었으며, 교토는 고쿠라와 니이가타, 히로시마와 함께 최종 후보지로 선정되었다. 8월 9일의 2차 원폭은 원래 나가사키가 아니라 고쿠라(지금의 키타큐슈)에 떨어질 예정이었으며 고쿠라에게는 다행히도, 그리고 나가사키에게는 불행히도 그 날 북 큐슈 지역의 날씨가 흐렸기 때문에 목표가 변경되었다. 그리고 나가사키 원폭투하 이후 일본이 무조건 항복을 선언하여 취소되었지만, 3차 원폭 투하도시에 교토와 도쿄가 명단에 들어가 있었다. 며칠만 더 버티고 있었다면 교토나 도쿄 둘중 하나의 도시에 B-29 폭격기가 모습을 드러냈을 것이다... 불행인지 다행인지

교토가 그러면서 원폭에서 제외된 이유는 1945년 당시 미국의 전쟁부[8] 장관이었던 헨리 스팀슨이 1893년 결혼할 당시 신혼여행을 교토로 갔던 추억이 어린 곳이었기 때문.[9] 또한 일본의 정신이 담긴 도시를 파괴하면 전후 민심 수습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판단도 있었다. 아무튼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문화재만 17점에 달한다고 하며, 훗날 교토부지사와 교토 시장이 스팀슨의 묘소를 찾아 참배할 정도로 교토에서도 감사히 여기는 모양.
  1. 교토가 수도였던 시절에 역대 덴노의 거소였던 곳. 즉, 황궁이다.
  2. 지금과 달리, 구황실전범 11조에서는 교토에서 즉위할 것을 명문으로 규정하고 있었다.
  3. 그런데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천도 떡밥이 나오면서 정말로 덴노가가 교토로 원복할 지도 모르는 상황이 되어버렸다.하지만 교토도 안심할 수 없는 게, 교토 바로 위에는 원자력발전으로 먹고 사는 후쿠이가 있다. 게다가 간사이권은 전기의 50%를 이 후쿠이에서 생산되는 원자력에 의존하고 있으며, 일본의 골칫거리인 고속증식로 몬쥬가 교토 바로 윗동네인 후쿠이현에 있기 때문에 어쩌면 더 위험할 수도 있는 상황. 으아 앙대 도쿄하고 후쿠시마 거리보다 더 가깝잖아...
  4. 다만 땅덩어리는 경주가 더럽게 더 넓다(경주 1,324.05km2 > 교토 827.9km2). 다만 인구는... 원전이 수도 위쪽에 있다는 것도 똑같네?
  5. 교토의 최대 번화가.
  6. 근처의 사찰 지온지(知恩寺)의 승려가 염불을 백만 번 외워 전염병을 퇴치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했다.
  7. 도로 이름도 히가시야마 도리라고 읽기도 한다. 특히 버스는 히가시야마 도리로 통일.
  8. 미국의 국방부는 2차대전 이후에 육군부와 해군부를 총괄하는 성격으로 창설되었다. 이 시절에는 육군을 담당하는 전쟁부(그래서 육군부, 육군성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외에 해군과 해병대를 관장하는 해군부가 따로 있었다. 오늘날에는 국방부의 하위 기관으로서만 남아 있다.
  9. 물론 이런 개인적 배경과는 별개로 작전 집행 전체에는 큰 영향이 없었다. 전쟁 수행에 필요한 소이탄 폭격은 잘만 허가했다. 교토 또한 소이탄 등 온갖 재래식 폭탄은 문화유산만 철저히 피해갔다 뿐이지 일반 시가지와 공장, 이화학연구소 등의 여러 제반 시설은 철저히 박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