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합중국 해안경비대

미군
육군해군공군해병대해안경비대
연방공공보건서비스부대NOAA 파견부대
300px-US-CoastGuard-Seal.svg.png
United States Coast Guard, USCG

1 개요

미합중국의 군사조직
평소에는 국방부가 아닌 국토안보부 소속이다.
전시에는 해외에 있는 함대를 대신해 국토를 방어하는 해군 1함대가 된다.

영어 정식 명칭은 United States Coast Guard(USCG)로 (주로)해안 경비대나 연안 경비대로 번역된다. 이름 그대로 미국의 연안에서 활동하며 영해 경비, 치안 유지, 해난시의 구조임무를 수행하는, 한국의 해양경비안전본부와 일본 해상보안청 같은 임무를 수행하는 조직. 그러나 미국 해안경비대는 해양경비안전본부나 해상보안청과는 다르게 준군사조직이 아니라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와 함께 미국 5대 군사조직으로 본다. 계급 체계가 미 해군과 동일하고 해안경비대 사령관은 엄연한 4성 제독이며, 해안경비대사관학교가 따로 존재하며 4년간의 교육을 거쳐 소위로 임관하고 최소 5년간 복무하게 된다. 별도로 헌병대와 범죄수사국(NCIS마냥 CGIS라고 부른다)이 있으며, 심지어 해군이 네이비 씰 등의 특수부대를 선발할 때 육군과 공군 출신자의 지원을 거절하면서도 해안경비대 출신자는 받아주기도 했고, 미국 대통령을 항상 따라다니는 핵무기 지휘장치인 핵가방을 운반하는 장교들 중에도 해안 경비대 장교가 항상 포함된다[1].

파일:Attachment/2729912362.jpg
핵가방 항목에도 있는 바로 이 사진의 핵가방 운반 장교가 미 해안 경비대 중령.

평시에는 국토안보부가 관할하지만 전시에는 해군의 지휘를 받는데, 정확히는 전시에 대통령의 명령이 있을 경우 사령관 이하 해안 경비대 총원이 해군으로 파견되었다가 원대복귀하는 형식으로 운용된다. 제2차 세계대전 때도 이런 식으로 운용되었으며 당시에는 제복도 해군과 거의 차이가 없었다. 현재는 해군에 파견되어 운용되는 경우는 드무나, 군종 병과는 해군에서 파견된 인원이 맡는 등 해군과의 연계는 평소에도 존재한다. 또한 전시에는 해안경비대가 국토안보부에서 국방부로 넘겨져서 해안경비대사령관합참의장, 합참차장, 육/해/공군 참모총장, 해병대 사령관, 주방위군 총감과 동일한 합동참모본부의 일원이 된다. 해안경비대사관학교의 위치는 코네티컷 주 뉴 런던.

쇼미더머니 미국의 방위조직이다보니 한국의 해양경비안전본부는 물론 섬나라 일본 해상보안청도 못 따라잡을 규모를 자랑하는데, 세계 7위의 해상전력을 자랑한다. 경비대, 한국으로 치면 해양경비안전본부가 경비함에 76mm 주포와 팰렁스를 장착하고[2][3] P-3E-2의 레이더를 장착한 자체 조기경보기와 무인정찰기까지 운영한다. 해경이 딴 나라 해군 때려잡을 기세 하기사 딴 나라 공군을 발라버리는 스케일의 항모전단을 굴리는 해군이 있는데 이정도야... 이렇게 엄청난 전력을 보유하는 이유는 미국은 해안선이 매우 긴데다가 동남부는 중남미에서 미국으로 향하는 마약 밀수나 불법 이민이 성행하는 지역이기 때문. 이런 이유로 넓은 바다를 감시하기 위해서 정보자산에 대한 투자가 클 수 밖에 없다.

비공식 명칭은 '미 해군 제1함대'. 전시엔 해군으로 파견되어 해군의 지휘를 받을 수 있는데, 실제로 미 해군에는 제1함대가 없다.

2 역사

1790년에 밀무역의 단속과 관세의 징수를 임무를 띄는 관세밀수감시청(US Revenue Cutter service)라는 명칭으로 창설되었다가 1915년에 미국 구조청(US Life-Saving Service)과 통합하여 정식 발족하였다. 1939년에 미국 등대청(U.S. Lighthouse Service)을 1942년에 Bereau of Marine Inspection and Navigation를 흡수한다.

1967년까지는 재무부 소속이었다가 교통부로 이전됐고, 9.11 테러 이후로는 국토 안보부가 관할하고 있다.

3 주요 수뇌부

2014년 6월 기준이다.

대통령국토안보부장관해안경비대사령관해안경비대주임원사
버락 오바마제이 존슨폴 저컨프트스티븐 칸트렐

4 제독

출처 해안경비대는 국방부 소속이 아닌 국토안보부 소속이다. 각 청장을 두고 있는 육해공과 달리 국토안보부 장관이 해경사령관을 지휘한다. 해안경비대본부의 경우에 주요 부서장 가운데 민간인도 많다.

41명의 제독 가운데 대장 2명, 중장 0명, 소장 00명, 준장 00명이다. 여군은 5명이 있으며 소장, 준장 중에 분포되어 있다. 중장을 배출한 경력이 있으나 아직 대장은 없다. 출신별로 살피면 해안경비대사관학교 출신이 37명, OCS가 3명[4], 연방공공보건서비스부대에서 파입 온 제독이 1명 있다. 제독 가운데 39명은 현역이며 2명은 예비역이다.

해안경비대의 현역이 4만2천명으로 대한민국 해병대를 제외한 대한민국 해군과 규모가 비슷하다. 제독 수는 대한민국 해군이 54명으로 쓸데없이 좀 더 많다.

직책사진이름계급비고
해안경비대사령관[5]폴 저컨프트(Paul F. Zukunft)대장해경사 1977년
해안경비대부사령관[6]찰스 미첼(Charles D. Michel)대장해경사 1985년

나머지 해안경비대 구성원

5 교육기관

6 조직

  • 본부
    • 인사참모부(Human Resources)
    • 해안경비대범죄수사대(Intelligence & Criminal Investigation)
    • 작전참모부(Operation)
    • 군수참모부(Engineering & Logistics)
    • 계획정책실(Plans & Policy)
    • 전술지휘자동화체계실(Command, Control, Communication, Computers & Information Technology)
    • 자원실(Resources)
    • 획득실(Acquisition)
  • 대서양지구(Atlantic Area)
    • 지구대(Districts): 1, 5, 7, 8, 9지구대가 대서양지구 소속이다.
    • 군수사령부(Maintenance & Logistics Command)
    • 임무대(Mission Execution Unit)
    • 지원대(Mission Support Unit)
  • 태평양지구(Pacific Area)
    • 지구대(Districts): 11, 13, 14, 17지구대가 태평양지구대 소속이다.
    • 군수사령부(Maintenance & Logistics Command)
    • 임무대(Mission Execution Unit)
    • 지원대(Mission Support Unit)

4성제독해안경비대사령관과 부사령관 2명이며 3성제독은 태평양지구사령관, 대서양지구사령관, 작전담당부사령관[7] 등 4명이다. 2성제독은 각 지구대사령관 9명과 사관학교장과 기타 기능 담당 부사령관들이다.[8]

중장급에선 사관후보생 출신이 간혹 있다. 대표적으로 13지구대사령관과 해안경비대본부 참모장, 부사령관 등을 지내고 2014년에 퇴역한 존 쿠리어(John Currier)[9]가 있다.

거기다 해안경비대면서 해외에도 주둔한다. 일본 요코스카에 미군 항만 시설을 관리하는 극동근무대(USCG Activities Far East)가 있고 네덜란드에도 유럽근무대(USCG Activities Europe)가 있다. 항공대 역시 존재해서 해안경비대 항공대가 있다. 다만 규모가 작으니 육군 항공대해군 항공대해병대 항공대에 비할 바는 아니다.

7 규모

  • 병력
    • 현역 : 41,873명
    • 예비역 : 30,000명
  • 경비함 : 244척
  • 보트 : 1,844척
  • 항공기 : 204대

2010년 4월에는 해안경비대 항공대에서 Hu-25 가디언 초계기 4대를 퇴역시키고 CN-235 수송기를 기반으로 개조한 HC-144A 해상초계기로 대체할 것이라는 보도가 있었다. HC-144A는 원래 36대를 도입할 예정이었으나 예산부족 때문에 2014년까지 20대를 도입한다는 것이 16대로 줄어들어 버렸다. 해안 경비대는 HC-144A 해상 초계기를 총 36대 확보할 예정이다.

또 미 해안 경비대는 프랑스제 돌핀 헬기인 HH-65 헬기를 총 102대 운용하고 있는데 이중 55대를 AUF(Airborne Use of Force) 능력을 갖추도록 개량했다. AUF는 마약단속 능력을 강화시키는 것이라고 한다.

8 기타

  • 한국 해군이 창설될 때 손원일 제독의 요청으로 파견되어 군사고문관을 맡았던 이들이 바로 이 해안 경비대 장교들이었다. 미군정이 해군의 모체인 해방병단을 승인하면서, 코스트 가드로서 시작한 뒤 차후 해군으로 격상하는 조건으로 합의 해 줬기 때문.


  • 9.11 테러 당시 뉴욕에 주둔하던 해안 경비대원들도 투입되었다. 화재 예방 및 건물 붕괴로 인한 시멘트 가루 등 분진이 최대한 퍼지지 않도록 살수를 하는 역할 등을 수행했다.

305-228x228.jpg

9.11 테러 수습에 동원된 해안 경비대원들을 위해 제정된 훈장.
  • 2010년 7월에 코스트 가드가 멕시코만 인근에 Corexit라는 물질을 뿌리고 다닌다는 보도가 있었다. 사실 이 물질은 석유를 용해하는 용해제인데, 그중 Corexit 9527이라는 물질의 독성은 유출된 석유보다 4배 강하다고 한다.
  • 코스타리카로 진출해 마약 밀매업자들을 통제하겠다고 하는데 실은 코스타리카의 부통령의 요청으로 투입하게 됐다는 것이 중론이다. 부통령이 요청한 이유는 니카라과를 견제하겠다는 것이다.
220px-VADM_Vivien_Crea_official_portrait.jpg
  • 해안 경비대 소속으로 명예 훈장을 받은 사람은 더글러스 알버트 먼로 통신중사가 유일하다. 과달카날 전역의 제1차 마타나카우 전투 당시 아군 해병대 부대가 괴멸당할 위기에 처하자 상륙주정을 타고 기관총을 난사하며 지원하다가 전사했으며 이 공로로 훈장을 추서받았다. 해군이나 육군, 공군에 비해 해안 경비대는 전시에도 주로 비전투임무를 맡아서 애초에 명예 훈장을 받을 정도로 급박한 상황에 처할 가능성이 낮다.
  • 미군의 군용 쇄빙선은 현재 2척 뿐인데, 모두 해안경비대 소속이다. 냉전의 위협이 가시자 북극해에서의 수상전은 거의 가능성이 없어졌지만(대신 잠수함과 전투기들이 싸운다) 인명구조는 지금도 수요가 상당하기 때문이다.

9 출신 인물

10 대중매체에서의 모습

육해공의 돈지랄(...)에 밀려 해안경비대는 유달리 대중매체에서 비춰질 기회가 없다. 사실 임무상 전쟁영화보다 재난영화에 어울릴법한 해안경비대가 밀리터리 장르 영화에 출연하기엔 애매하기도 하다. 끽해야 범죄영화나 드라마에서 범인이 바다로 도망치면 꼽사리 껴서 도와주는 역할이나 해상재난에서의 구호장면 정도.

2006년작 케빈 코스트너애쉬튼 커처 주연의 영화 가디언은 해경 측의 무지막지한 지원을 받아가며 괜찮은 작품을 만들어낸 보기드문 사례라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해상항공구조대원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월드 인베이젼에선 낙하한 외계인들의 운석에 바다에 떠 있던 해밀턴급 경비함 한 척이 박살나는 장면이 TV로 생중계되는 안습한 장면 딱 한 번 나오고 잊혀졌다(...). 그래도 영화에선 보기 드물게 작중 5군이 모두 나왔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CSI : Miami에서는 작품의 배경이 되는 장소가 플로리다주 마이애미로 접하는 바다가 매우 넓은 덕분에 그럭저럭(...) 등장 할 일이 많다. 호레이쇼 케인과 그의 휘하 팀원들과 자주 공조하여 활동을 한다.
  1. 이와 같은 해안경비대의 높은 위상은 미국의 역사에서 기인한다. 초기의 미국은 마땅한 육상 인접국(체계화된 군대를 가진 인접국가)이 없었기에 지상군은 각 주 단위의 주 경비 병력으로 충당할 수 있었고 따라서 연방이 가져야 할 전력은 (해적이나, 재식민지화를 기도하는 유럽 열강을 막아낼) 해상 전력으로 충분했던 것. 따라서 미국의 해안경비대는 미국이 처음으로 가졌던 연방의 군사력이다.
  2. 영화 "월드 인베이젼" 초반에 바다에서 외계인 비행체가 지구에 돌입하면서 박살내는 바람에 격침당하는 장면이 뉴스로 생중계된 배가 이것. 덕분에 이 영화는 육, 해, 공, 해병에 더해 해안 경비대까지 미국 5대 군사 조직이 총출동한 셈이 되었다. 물론 연방공공보건서비스부대연방해양대기청이 안나오긴 했지만 걔네도 사실은 해군이니...
  3. 다만 우리나라도 현재 삼봉급 2번 5002함인 이청호함에 구형 한강급에서 철거된 76mm 주포를 이식 장착했다.
  4. OCS와 간부사관을 합친 과정으로 2명은 간부사관 출신이다.
  5. Commandant of the Coast Guard
  6. Vice Commandant of the Coast Guard
  7. 부사령관은 Vice Commandant이고 특정 기능 담당 부사령관은 Deputy Commandant이다.
  8. Assistant Commandant도 있다.
  9. 1953년생으로 사우던메인대학을 졸업했다. 수상함 근무가 아닌 조종장교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