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모총장

參謀總長
Chief of staff

참모부
참모참모장참모차장참모총장총참모장
대한민국 국군의 참모총장
합동참모의장육군참모총장해군참모총장
해병대사령관(주1)
공군참모총장
(주1) 해병대사령관은 군인사법 제 19조, 제 64조에 의해 해군참모총장의 권한을 일정 부분 위임받음.

1 개요

많은 나라 군대의 3군(··)에서 각군의 최고 선임장교이다. 표현에 주의! 최고사령관이 아니다 현실의 삼대장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창군 초기부터 국방체제 정립기인 1960년대까지는 중장이, 심지어 육군은 소장이 총장 직위를 맡기도 했으나, 자주국방이 어느 정도 확립된 그 이후로는 대장이 임명되게 됐다. 사실 군 규모가 작은 나라에서는 중장이나 소장이 참모총장을 맡는 경우가 드물지 않다. 예로 이스라엘군의 경우 2013년 현재도 국방군 참모총장이 중장이며, 총 병력이 170명밖에 안되는 앤티가 바부다군은 아예 장군 보직 자체가 없고 대령이 최고 계급으로 참모총장이다. 상비군인 70명인 세인트 키츠 네비스군은 중령이 참모총장이다.

2 명칭

참모총장이라는 단어는 일본에서 유래한 것인데 일본은 근대화를 하면서 군사부문에서 프로이센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독일어로 generalstab을 장군들과 참모가 함께 모여 회의하는 용으로 불렸고 여기의 대장을 독일어로 장(將)이란 schef를 붙여 generalstabschef라 부른 것을 일본어로 각각 참모본부 ,참모총장이라 번역하면서 그것을 우리나라도 받아들여서 사용한 것이다.

공산정권 시절 동유럽 국가의 군에서는 참모총장이 아닌 '총참모장'이라 불렀다. 우리나라도 창군 초기(건군기)부터 한국전쟁 기간까지는 이 총참모장이란 용어를 사용했으며, 북한군에서는 아직도 이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외에 중국군, 소련군에서도 총참모장이란 용어를 사용하며, 대만군에서는 우리나라의 합참의장에 해당하는 직책을 '참모총장'[1], 우리나라의 각군 참모총장에 해당하는 직책을 '각군사령'이라고 부른다. 대만군에서는 미군 합참의장을 미국참모장연석회의주석(美國參謀長聯席會議主席)이라 하며 줄여서 참모총장이라고 한다. 일본 자위대의 통합막료장도 참모총장이라고 부른다.뭘 어떻게 줄인 거야...

처음 이 단어를 만든 일본에서도 참모총장이란 말을 아직 사용하고 있다. 통합막료감부 홈페이지에서는 이와사키 시게루 통합막료장이 최윤희 한국군 합참의장과 마틴 뎀프시 미군 합참의장을 만난 것을 두고 일미한참모총장급회담공동언론발표(日米韓参謀総長級会談共同プレス発表)라고 묘사했다. 출처 다만 이 경우에는 한국군의 참모총장과는 의미가 맞닿지 않으며 중화권에서 쓰는 참모총장이나 한국에서 Chief of Staff를 군 최선임으로 쓰는 나라의 제복군인을 번역할 때 쓰는 의미와 같다.

3 유래와 역사

원래 참모는 지휘관을 보좌하는 역할에 불과했지만, 근대 프로이센군에서는 이러한 참모에게 대폭적으로 역할과 권한를 위임하여 사실상 군대 조직의 핵심 지휘부와 같은 역할이 주어졌다. 장군참모 참조.

4 참모총장은 최고사령관인가?

대부분 현대 국가에서 참모총장이 제복군인 중 최선임자이기 때문에 참모총장이 전군 최고사령관 쯤 되는 지위인가? 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참모총장은 그 의미 그대로 '참모들의 우두머리'일 뿐 '최고사령관'은 아니다. 제복군인이 아닌 문민 국가원수가 바로 해당 국가 군대의 최고사령관이다. 그리고 참모총장은 군사 문제의 전문가가 아닌 문민 국가원수들에게 참모로서 조언하는 위치에 있는 군인이라고 할 수 있다.

문민통제 원칙이 아직 확실하지 않고, 문관과 무관의 구분도 애매했던 근대까지는 (20세기 초반까지도) 제복군인이 전군을 총지휘하는 최고사령관인 (혹은 국가원수가 제복을 입고 군을 지휘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2차 대전 이후의 현대 국가들은, 어지간한 후진국이 아닌 이상, 제복군인에게 군 총지휘권을 주지 않으며, 국가원수들도 어디까지나 문관 신분으로서(사복을 입고) 군을 통수한다.

5 임무

각군 참모총장은 군정권(軍政權)을 행사하여 자군의 군사력을 건설·유지·관리한다. 그리고 가장 강력한 권한이라 할 수 있는 인사권을 가지고 장교들의 진급, 보직에 관련된 업무를 지휘·통제한다.

6 각 군별 현황

6.1 대한민국 육군

보통 대장 1차 보직인 야전군사령관이나 한미연합사 부사령관을 거친 장성이 2차 보직인 참모총장(또는 합동참모의장)에 보임된다. 물론 제20대 육군총장인 노재현 대장, 23대 이희성 대장, 38대 박흥렬 대장, 39대 임충빈 대장, 40대 한민구 대장같이 1차 보직을 거치지 않고 바로 참모총장이 된 경우도 있지만 이는 드문 경우. 육군참모총장은 의전서열상 합참의장보다는 아래지만 50만이 넘는 대군인 육군을 통할, 사실상 군요직중 최고(대한민국 국군 현역 의전서열 2위)로 꼽힌다. 과거 상징적인 역할에 머물던 합참의장의 위상이 크게 높아지긴 했지만, 대다수 육군 장교는 인사·행정권을 쥐고 있는 참모총장을 육군의 지존으로 꼽기를 주저하지 않는다(新東亞 2006년 12월호 p256~265 참조).

6.2 대한민국 해군대한민국 공군

참모총장이 각군의 유일한 대장이다.[2] 해군은 제7대 참모총장 함명수 제독때까지는 중장이 총장을 맡았으나 육군참모총장이 대장인데도 해군총장이 중장이어서 상대적으로 사기가 저하된다는 해군의 원성이 높자 1966년 9월 8대 김영관 제독부터는 대장이 총장에 올라 육군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됐다. 해군보다 창군이 1년여 늦은 공군도 제9대 참모총장 장지량 장군까지는 중장이 보임됐었으나 역시 소군(小軍)인 해군총장이 대장으로 승격되자 1968년 10대 김성룡 장군부터 대장이 맡기 시작했다. 사실 전세계적으로 보면 규모가 작은데 형평성 때문에 대장 계급을 총장으로 두는 한국 해·공군의 사례가 오히려 이례적이라고 볼 수 있다. 계급 인플레이션 탓일지도. 러시아군에서는 2000년대 이후로 상장 계급을 참모총장 직에 보임한다. 다만 중장이 참모총장을 맡더라도 해외 방문 등에는 의전상 대장급과 동일하게 대우해주는 경우가 많다. 국군의 합동참모의장에 해당되는 일본의 통합막료장과 육·해·공 막료장들은 전부 계급상으로는 3성장성(장군 및 제독)인 '장'이지만, 실제로는 계급장이 벚꽃 4개라서 해외에서도 4성장성(장군 및 제독)으로 취급한다.

의전 서열은 해군 3위, 공군 4위로 고정되며 육군의 1, 2, 3군사령관과 연합사 부사령관은 대장 진급일순의 의전 서열을 갖는다.

6.2.1 대한민국 해병대사령관

대한민국 해병대해병대사령관이 인사권, 예산권을 갖고 있으며 병역법, 군인사법 등에서 참모총장과 동등한 취급을 받는다. 이러한 이유로 중장 중에서 의전서열은 고정 1위(즉, 현역군인 서열 9위)다. 또한 해군참모총장의 직무를 해병대에 대해서는 일부분 위탁수행하는 자다. 항목 참고.

6.3 국직부대합동참모본부, 한미연합군사령부

복장과 복무기간만 육해공군, 해병대일 뿐, 참모총장 역할은 각각 국방부장관, 합참의장, 한미연합군사령관이 겸한다. 육해공군 참모총장, 해병대사령관은 국직, 합참, 연합사 장병과 직접 연관이 없다.

쉽게 말해서 일반 육해공군, 해병대와 다르게, 국방부군, 합참군, 한미연합군이라는 별도의 군사 조직이 있다 생각하면 된다.

7 현직 참모총장

군종육군해군공군
사진
성명장준규(張駿圭)엄현성(嚴炫聖)정경두(鄭景斗)
계급대장
기수육사 36기해사 35기공사 30기
임관연도1980년1981년1982년
취임일2015년 9월 17일2016년 9월 19일2015년 9월 17일

8 개설된 항목

8.1 육군참모총장

8.2 해군참모총장

대수이름계급임기
초대손원일(孫元一)중장1948년 9월 5일 ~ 1953년 6월 30일
2대박옥규(朴沃圭)중장1953년 6월 30일 ~ 1954년 11월 1일
3대정긍모(鄭兢謨)중장1954년 11월 1일 ~ 1959년 2월 23일
4대이용운(李龍蕓)중장1959년 2월 23일 ~ 1960년 9월 28일
5대이성호(李成浩)중장1960년 9월 28일 ~ 1962년 9월 28일
6대이맹기(李孟基)중장1962년 9월 28일 ~ 1964년 9월 10일
7대함명수(咸明洙)중장1964년 9월 10일 ~ 1966년 9월 1일
8대김영관(金榮寬)대장1966년 9월 1일 ~ 1969년 4월 1일
9대장지수(張志洙)대장1969년 4월 1일 ~ 1972년 4월 1일
10대김규섭(金圭燮)[3]대장1972년 4월 1일 ~ 1974년 2월 28일
11대황정연(黃汀淵)대장1974년 2월 28일 ~ 1979년 4월 17일
12대김종곤(金鍾坤)대장1979년 4월 17일 ~ 1981년 5월 14일
13대이은수(李銀秀)대장1981년 5월 14일 ~ 1982년 12월 28일
14대오경환(吳慶煥)대장1982년 12월 28일 ~ 1984년 9월 4일
15대최상화(崔相和)대장1984년 9월 4일 ~ 1987년 9월 4일
16대김종호(金悰鎬)대장1987년 9월 4일 ~ 1989년 9월 4일
17대김종호(金鍾浩)[4]대장1989년 9월 4일 ~ 1991년 9월 4일
18대김철우(金鐵宇)대장1991년 9월 4일 ~ 1993년 5월 26일
19대김홍열(金弘烈)대장[5]1993년 5월 26일 ~ 1995년 4월 1일
20대안병태(安炳泰)대장1995년 4월 1일 ~ 1997년 4월 1일
21대유삼남(柳三男)대장1997년 4월 1일 ~ 1999년 4월 1일
22대이수용(李秀勇)대장1999년 4월 1일 ~ 2001년 3월 31일
23대장정길(張正吉)대장2001년 4월 1일 ~ 2003년 3월 31일
24대문정일(文證一)대장2003년 4월 1일 ~ 2005년 3월 29일
25대남해일(南海一)대장2005년 3월 29일 ~ 2006년 11월 17일
26대송영무(宋永武)대장2006년 11월 17일 ~ 2008년 3월 20일
27대 정옥근(丁玉根)대장2008년 3월 20일 ~ 2010년 3월 19일
28대김성찬(金盛贊)대장2010년 3월 19일 ~ 2011년 10월 17일
29대최윤희(崔潤喜)대장2011년 10월 17일 ~ 2013년 9월 28일
30대황기철(黃基鐵)대장2013년 9월 28일 ~ 2015년 2월 27일
31대정호섭(鄭鎬涉)대장2015년 2월 27일 ~ 2016년 9월 22일
32대엄현성(嚴炫聖)대장2016년 9월 22일 ~

8.3 공군참모총장

대수이름계급임기
1대김정렬(金貞烈)중장1949년 10월 ~ 1952년 11월
2대최용덕(崔用德)중장1952년 12월 1일 ~ 1954년 11월 19일
3대김정렬(金貞烈)중장1954년 12월 1일 ~ 1956년 12월 1일
4대장덕창(張德昌)중장1956년 12월 1일 ~ 1958년 12월 1일
5대김창규(金昌圭)중장1958년 12월 1일 ~ 1960년 7월 25일
6대김신(金信)중장1960년 8월 1일 ~ 1962년 8월 1일
7대장성환(張盛煥)중장1962년 8월 1일 ~ 1964년 8월 1일
8대박원석(朴元錫)중장1964년 8월 1일 ~ 1966년 8월 1일
9대장지량(張志良)중장1966년 8월 1일 ~ 1968년 8월 1일
10대김성룡(金成龍)대장1968년 8월 1일 ~ 1970년 8월 1일
11대김두만(金斗萬)대장1970년 8월 1일 ~ 1971년 8월 24일
12대옥만호(玉滿鎬)대장1971년 8월 25일 ~ 1974년 8월 1일
13대주영복(周永福)대장1974년 8월 1일 ~ 1979년 4월 13일
14대윤자중(尹子重)대장1979년 4월 18일 ~ 1981년 3월 10일
15대이희근(李喜根)대장1981년 3월 10일 ~ 1982년 6월 5일
16대김상태(金相台)대장1982년 6월 5일 ~ 1984년 6월 5일
17대김인기(金仁基)대장1984년 6월 5일 ~ 1987년 6월 5일
18대서동열(徐東烈)대장1987년 6월 5일 ~ 1989년 6월 5일
19대정용후(鄭用厚)대장1989년 6월 5일 ~ 1990년 9월 8일
20대한주석(韓周奭)대장1990년 9월 8일 ~ 1992년 9월 8일
21대이양호(李養鎬)[6]대장1992년 9월 8일 ~ 1993년 5월 27일
22대조근해(趙根海)[7]대장1993년 5월 27일 ~ 1994년 3월 3일
23대김홍래(金鴻來)대장1994년 3월 8일 ~ 1996년 3월 8일
24대이광학(李光學)대장1996년 3월 8일 ~ 1998년 3월 6일
25대박춘택(朴春澤)대장1998년 3월 6일 ~ 2000년 3월 3일
26대이억수(李億秀)대장2000년 3월 3일 ~ 2002년 3월 2일
27대김대욱(金大郁)대장2002년 3월 2일 ~ 2003년 10월 11일
28대이한호(李漢鎬)대장2003년 10월 11일 ~ 2005년 10월 7일
29대김성일(金成一)대장2005년 10월 10일 ~ 2007년 4월 13일
30대김은기(金銀基)[8]대장2007년 4월 13일 ~ 2008년 10월 2일
31대이계훈(李啓勳)대장2008년 10월 2일 ~ 2010년 9월 30일
32대박종헌(朴鍾憲)대장2010년 9월 30일 ~ 2012년 4월 18일
33대성일환(成日煥)[9]대장2012년 4월 18일 ~ 2014년 4월 11일
34대최차규(崔且圭)[10]대장2014년 4월 11일 ~ 2015년 9월 17일
35대정경두(鄭景斗)대장2015년 9월 17일 ~

9 타국의 참모총장

9.1 미국

미군은 육/공 Chief of Staff라는 직위가 참모총장으로 번역된다. 엄밀히 말하면 Chief of Staff라는 명칭은 예하 부대에서도 참모장 보직명에 해당하게끔 쓰고 있는 명칭이지만 각 군별 최선임은 각 군의 참모장[11]이며 문민이 그 위에서 군령을 내린다는 의미로 쓰이고 있다. 다만 해군은 육/공군과 동떨어진 Chief of Naval Operations라는, 작전사령관 혹은 작전부장이라 직역될 수 있는 직책명을 쓰고 있으며, 해안경비대나 해병대의 경우 사령관(Commandant)이라는 용어를 쓰고 주방위군의 경우는 Chief of the National Guard Bureau라는 직위명(주방위군총감)을 쓰기 때문에 참모총장이라는 명칭이 아주 정확한 번역은 아니다. 하지만 이들도 엄연한 합동참모본부의 일원이며 실제 권한도 육/공과 다를바 없는 뭔가 안습한 존재라는 점에서[12] 육해공과 동등한 참모총장이라는 직위명으로 번역하는 것도 일리는 있다.[13] 베다위키에서는 주방위군총감, 해병대사령관, 해안경비대사령관으로 번역한다.

기장 [14]
사진100px-Goldfein_CSAF.jpg100px-Neller_2015_2.jpg100px-Gen_Lengyel_%282016_4-Star_Photo%29.jpg
직위육군참모총장해군참모총장공군참모총장해병대사령관주방위군총감해안경비대사령관
이름마크 밀리
(Mark A. Milley)
존 리처드슨
(John M. Richardson)
데이비드 골드파인
(David L. Goldfein)
로버트 넬러
(Robert B. Neller)
조셉 렝겔
(Joseph L. Lengyel)
폴 저컨프트
(Paul Zukunft)

미 해군해군 항공대해군참모총장기수열외(...)한 경험이 있다. 테일후크 스캔들제러미 마이클 보더를 참고할 것.

9.2 러시아

러시아군은 참모총장을 총사령관이라고 한다.

지상군 총사령관항공우주군 총사령관해군 총사령관전략로켓군 사령관공수군 사령관국가근위대 총사령관
100px100px100px
올레그 살류코프
상장
빅토르 본다레프
상장
블라디미르 코롤료프
상장
세르게이 카라카예프
상장
블라디미르 샤마노프
상장
빅토르 졸로토프
대장

9.3 중화인민공화국

인민해방군의 각 군의 최선임은 각각 사령원(司令員)이라 불리며 육군의 경우엔 총참모장이 겸임하였으나 2016년 1월 1일 단행된 군 개혁으로 육군사령원이 별도로 임명되었으며 전략지원부대가 창설되었다. 전원 계급은 상장이며[15] 해외군 대장에 상응한다. 중국은 준장이 없다.

육군사령원해군사령원공군사령원로켓군사령원전략지원부대사령원무경사령원
리쭤청(李作成) 상장우성리(吴胜利) 상장마샤오텐(马晓天) 상장웨이펑화(魏凤和) 상장가오진(高津) 중장왕닝(王宁) 상장

9.4 영국

영국군은 육군 및 공군은 참모총장이며 해군은 제1위원이라고 한다

육군참모총장해군참모총장공군참모총장합동군사령관
100px-Air_Marshal_Stephen_Hillier.jpg
닉 카터 대장
(General Sir Nick Carter)
필립 존스 대장
(Admiral Sir Philip Andrew Jones)
스테판 힐러 대장
(Air Chief Marshal Sir Stephen John Hillier)
크리스토퍼 데버렐 육군대장
(General Sir Christopher Michael Deverell)

9.5 영연방 및 타군

오스트레일리아군, 뉴질랜드군, 캐나다군, 프랑스군, 이탈리아군, 독일군, 네덜란드군, 벨기에군 항목 참조

9.6 중화민국

중화민국 국군에선 사령(司令)이라고 한다.

군종중화민국 육군중화민국 해군중화민국 공군
사진150px-ROC_Commanding_General_of_Army_Flag.svg.png150px-ROC_Commanding_General_of_Navy_Flag.svg.png150px-ROC_Commanding_General_of_Air_Force_Flag.svg.png
계급상장
이름추궈정황수쾅선이밍
한자邱國正黃曙光沈一鳴
임관1976년?년1979년
출신육군군관학교해군군관학교공군군관학교

9.7 일본

일본 자위대에선 막료장(幕僚長)이라고 한다. 막료는 참모란 뜻이다. 사단급 부대에도 막료장이 있기 때문에 육상, 해상, 항공을 붙여줘야 한다. 가끔 줄여서 막장이라고도 한다. 육막장, 해막장, 공막장

군종육상자위대해상자위대항공자위대
기장150px-Flag_of_Chief_of_Staff_of_the_Ground_Self-Defense_Force_%28JGSDF%29.jpg150px-Flag_of_Chief_of_Staff%2C_Maritime_Self_Defense_Force.svg.png150px-Flag_of_Chief_of_Staff_of_the_Air_Self_Defense_Force_%28Japan%29.gif
계급막료장[16]
이름오카베 도시야다케이 도모히사스기야마 요시유키
한자岡部俊哉武居智久杉山良行
임관1981년1979년1980년
출신방대방대방대

9.8 북한군

북한군에선 각군 사령관이라고 하며 육군은 총참모장이 겸임하고 그 외 군은 사령관이 별도로 있다.

총참모장해군사령관항공 및 반항공군사령관전략군사령관인민보안부
리명수 대장리용주 대장최영호 대장김락겸 대장최부일 대장

10 창작물에서의 참모총장

  1. 정확히는 참모본부의장(參謀本部議長)의 준말로 참모총장이다.
  2. 당연히 해군이나 공군에서 합참의장이 나오면 2명이 된다. 한국군 역사상 공군 이양호 합참의장(1993년 5월~1994년 12월), 해군 최윤희 합참의장(2013년 10월~) 그렇게 2명 있다. 해군의 박인용 제독은 중장 계급으로 합참차장 보직을 받은 후 대장으로 진급, 해군 대장이 2명이 된 적이 있다.
  3. 통영 YTL 침몰 사건으로 임기를 채우지 못 하고 경질되었다.
  4. 16대 김종호 대장과는 동명이인이다.
  5. 전임자 김철우 대장이 퇴임하고 정치적 이유로 중장 3명도 동시에 퇴진하면서 소장으로 있던 김홍렬 제독이 참모총장에 임명되었다. 그래서 전시 외에는 2계급 특진이 안되는 규정상 첫 1년간은 중장 계급으로 참모총장에 재임하고 있었다.
  6. 공군참모총장 출신의 합동참모의장, 국방장관.
  7. 공사 졸업식 예행연습을 참관하러 가던 중에 헬기 추락으로 순직했다.
  8. 임기를 다 채우지 못 하고 전역했는데 제2롯데월드를 반대하던 그를 정부에서 고깝게 봤다는 얘기가 공군 내에서 파다했다.
  9. 2013년 후반 조기 교체가 언급된 적도 있었으나, 무사히 임기를 다 채우고 전역하였다.
  10. 관용차 사적사용, 예산 부당집행 등 비리 혐의가 감사 결과 사실로 드러났으나 바로 경질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이게 원인이 되어서인지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하고 교체되었다.
  11. Chief of Staff of the US Army/Air Force라고 쓰는 의도를 생각해보자.
  12. 해안경비대의 경우는 전시에 해안경비대가 해군으로 편입된 경우에만 해당된다. 평시에는 국방부 해군청이 아니고 국토안보부 산하 조직이라 해안경비대참모총장(사령관)은 합참에 들어가지 않는다.
  13. 가장 주요한 이유는 역시 통일성이다. 번역에서 항목이 난립하는 것을 막기 위해. 다만 해병대는 한국에서도 어차피 해병대사령관이므로 굳이 해병총장으로 번역할 필요는 없다.
  14. 과거에는 150px-Chiefngbureauflag.JPG 이런 기장을 썼다. 현재의 기장은 4성장군이 이 보직에 임명될 때부터 쓰이고 있다. 그것도 2008년 크레이그 매킨리 공군대장이 처음이고 2012년 프랭크 그래스 육군대장이 임명된 것이 두번째일 정도라서 주방위군참모총장이 대장 계급으로 보임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15. 단, 새로 창설된 전략지원부대사령원은 아직 중장이며, 추후 상장으로 진급할 것으로 보인다.
  16. 공식계급은 각각 3성 장성(장군 및 제독)인 육장, 해장, 공장이나 실제로는 4성장성(장군 및 제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