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북한의 국가원수 | ||||
대수 | 이름 | 직책 | 임기기간 | 비고 |
1대 | 김두봉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 1948년 9월 9일 ~ 1957년 9월 20일 | |
2대 | 최용건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 1957년 9월 20일 ~ 1972년 12월 28일 | 1962년 재선 1967년 3선 |
3대 | 김일성 | 국가주석 | 1972년 12월 28일 ~ 1994년 7월 8일 | 1977년 재선 1982년 3선 1986년 4선 1990년 5선 |
권한대행 | 김정일 | 국방위원장 | 1994년 7월 8일 ~ 1998년 9월 5일 | 유훈통치기간 국가주석 권한대행 |
4대 | 김영남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 1998년 9월 5일 ~ 2009년 4월 9일 | 상임위원회 위원장직은 현직 |
5대 | 김정일 | 국방위원장 | 2009년 4월 9일 ~ 2011년 12월 17일 | |
권한대행 | 김영남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 2011년 12월 18일 ~ 2012년 4월 12일 | 상임위원회 위원장직은 현직 |
6대 | 김정은 |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 2012년 4월 13일 ~ 2016년 6월 29일 | 직책 폐지 |
국무위원회 위원장 | 2016년 6월 29일 ~ 현직 |
1 개요
金永南, 1928년 2월 4일 생. 2016년 기준으로 무려 89살. 만으로 쳐도 88살이다. 만으로 70살까지 산 김정일에 비하면 몸관리 하나는 제대로 한 듯.
북녘 정치인이나 군인들 가운데에 장수인들이 상당수 많다. 김정은 시대 마지막 원수 리을설도 94살에 사망. 어쨌든 김영남은 조명록 차수와 동갑이고 송해보다는 1살 아래. 그러고 보면 송해도 태어난 곳이 현 북한 영토인 황해도다. 네이버에는 1925년생으로 나와 있으나 최근 정정한 것으로 보인다. 김일성 종합대학을 졸업하였으며, 모스크바대학교에서 외교학을 전공하였다.
북한의 국가원수(국가수반)였지만, 헌법이 개정되어 이제는 국가원수에서 물러났다.[1][2] 그래도 김정은 스스로 가기 뭣한 외국 인사와의 회담 같은 경우에는 여전히 김영남을 보내는 등 얼굴마담으로는 계속 써먹고 있다. 기사
2 소개
평양 출생이다. 일부에서는 중국 료녕성 출신이라고 하는데, 한글 위키백과를 제외한 모든 문헌에서 평양출신으로 되어 있다. [3]
김일성 대학을 졸업하고 죽 관료, 주로 외교 계통에서 일해왔다. 1956년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국제부 과장으로 출발하여 1960년에는 국제부 부부장, 1970년에는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1972년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국제부장으로 승승장구한다. 1975년에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비서국 비서로 김일성의 지근거리에 위치하게 되었는데 이 사람의 연설문 작성능력이 뛰어나 김일성의 연설문의 초안을 담당했고, 그로 인해 1978년에는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이 되면서 최고급 간부가 되었다.
이후 정무원 부총리, 외교부 부장[4],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 등 외교관련 분야의 최고직책을 지내다가 김정일 시대인 1998년부터 현재까지 북한의 헌법상 최고기관인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의 위원장을 줄곧 역임하면서 북한의 형식상 국가 수반의 위치에 올랐다. 하지만 헌법상으로는 국가수반[5]이나, 모두들 알다시피 북한의 최고집권자는 김정은이다. 실제로 북한은 2009년에 이미 헌법을 개정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위원장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최고령도자이다."라고 명문화하였다. 현재 국방위원장 자리는 김정일을 위한 영구결번이므로, 최고령도자 자리는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을 맡은 김정은에게 돌아가는 것. 김영남은 그냥 친선외교나 의전을 담당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북한의 최고권력자에 도전하는 것으로 보이는 사람들이 죄다 숙청되는 과정에서도 10년 넘게 그 자리를 지키는 것만 봐도 이 사람은 3대에 걸친 김씨왕조에 절대충성을 다하고 있는 대표인물이라 봐도 무방하다고 볼 수 있다. 철저한 자기관리로 유명하여, 북한에서 공직 생활 하다 보면 으레 겪게 마련인 가벼운 철직('해임'의 북한식 표현)이나 혁명화라고 쓰고 수용소행이라고 읽는다 한 번 없는 걸로 알려져 있다. Don Oberdorfer[6]의 '두 개의 한국'에는 다음과 같은 표현이 있다.
북한의 외교관이자 김일성의 통역관으로 활동하다가 남한으로 망명한 고영환은 김영남을 북한 관리의 전형이라 하며 다음과 같이 이야기했다. "김일성이 벽을 가리키며 '저것은 문이다'라고 한다면 김영남은 그 말을 믿고 기어이 벽을 뚫고 밖으로 나가려 할 것이다" 또한 북한엔 이런 농담도 있다. 김영남 그 사람은 지문이 하나도 없다고. 하도 손을 비비며 3대에 걸쳐 아부를 하느라...
북한 내에서도 매우 똑똑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 곳에서 수십년을 권력자로 징계 한번 안당하고 버틸 수 있다는게 이 인간이 얼마나 말도안되게 영리한 사람인지 근거가 될 수 있다 한국어 뿐 아니라 이게 능통하지 않다면 큰일[7] 외무관료 출신이기 때문에 북한의 주요 우방국 언어인 중국어와 러시아어뿐만 아니라 영어, 독일어에 능통하다. 사적으로는 따뜻하며, 당원들을 보듬어 주는 성격이나 업무에 들어가면 누구보다 냉철하다고 한다.
온건파적인 성향이 있기 때문에 김정은 이후에는 공식석상에 나타나는 횟수가 줄어들었다. 물론 나이도 있겠지만. 하지만 장성택의 비리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김영남이 참여했다는 점에서, 그가 권력의 외곽으로 밀려나갔다고는 절대로 볼 수 없을 것이다. 조선일보 등에서는 그의 드문 공식석상 출현에 그가 나이 때문에 은퇴하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을 했지만 2014년에 열린 최고인민대의원회에서도 건재함을 과시했다. 8월 30일에는 평양에서 열린 국제레슬링대회 개막식에 참가한 일본 국회의원 안토니오 이노키와 만나 현안문제를 놓고 회담을 진행, '얼굴마담'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
3 기타
파일:/image/001/2012/06/06/PYH2012060600030001301 P2.jpg
1920년대 출생임에도 불구하고, 키가 굉장히 크다. 180cm이 넘는위너다.
현재 90대에 접어들었지만 상당히 건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영남은 북한의 다른 간부들과 달리 오래 전부터 건강식에 관심이 많아 기름진 음식이나 술, 담배를 멀리하고 평소에 운동을 하는 등 건강과 체력 관리를 체계적으로 해 왔다고 한다. 이러한 건강 관리로 그는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3대에 이르는 동안 요직에 있었으며, 다른 고위급 관리들이 고혈압, 당뇨병, 비만 등 성인병을 앓는 것과 매우 대조된다. 이러한 일면은 철저한 자기관리의 일환이라 여겨진다. 하지만 그것만은 못 피한것 같다
건강 이외에도 다른 간부들은 자녀들을 내세우며 자신의 권력을 대놓고 대물림하고, 자식들끼리 권력 투쟁을 벌이기도 하는데, 김영남의 가족이라고는 국제 기구에 부인을 대동한 것 이외에는 공개된 바가 없다.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으로 이어지며 3대 동안 자신의 자리를 지킬 수 있었던 것은 튀는 행동을 하지 않으면서 최대한 자신을 낮추는 모습을 보였기 때문일 것이다.
원래부터 이렇게 장수하는 2인자는 본인 능력도 출중해야 하지만, 자기 의견이 없이 무색무취하고 모든 사람과 인간관계가 원만하며, 위기상황에서도 잘 피해나가는- ↑ 그러나 국가원수 시기 맡았던 직위인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직은 현직이다.
- ↑ 소련도 이랬는데 소련도 헌법상 국가원수는 소련 최고회의 의장이나 실질적인 국가원수는 공산당 서기장이였다. 미하일 고르바초프 임기 당시에는 이게 안맞다 싶었는지 다 갈아엎고 소련 대통령직을 신설했지만 이미 상황은 소련 붕괴 직전이였다.
- ↑ 위키백과에 따르면 1950년에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조선인민군으로 참전한 뒤 소련 모스크바 대학에서 유학했다고 한다.
- ↑ 외무상을 말한다. 장장 15년을 역임했다.
- ↑ 북한은 김일성 사망 이후 국가주석직을 폐지했기 때문에 권력서열 2위가 되는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국가수반이 된다.
- ↑ 미 존스홉킨스 대학 교수
- ↑ 여기서 말하는 한국어는 문화어와는 다른, 대한민국 표준어를 말하는 것이다.
- ↑ 중국의 저우언라이나, 한국의 고건, 그리고 반기문도 비슷한 부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