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북한의 국가원수 | ||||
대수 | 이름 | 직책 | 임기기간 | 비고 |
1대 | 김두봉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 1948년 9월 9일 ~ 1957년 9월 20일 | |
2대 | 최용건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 1957년 9월 20일 ~ 1972년 12월 28일 | 1962년 재선 1967년 3선 |
3대 | 김일성 | 국가주석 | 1972년 12월 28일 ~ 1994년 7월 8일 | 1977년 재선 1982년 3선 1986년 4선 1990년 5선 |
권한대행 | 김정일 | 국방위원장 | 1994년 7월 8일 ~ 1998년 9월 5일 | 유훈통치기간 국가주석 권한대행 |
4대 | 김영남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 1998년 9월 5일 ~ 2009년 4월 9일 | 상임위원회 위원장직은 현직 |
5대 | 김정일 | 국방위원장 | 2009년 4월 9일 ~ 2011년 12월 17일 | |
권한대행 | 김영남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 2011년 12월 18일 ~ 2012년 4월 12일 | 상임위원회 위원장직은 현직 |
6대 | 김정은 |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 2012년 4월 13일 ~ 2016년 6월 29일 | 직책 폐지 |
국무위원회 위원장 | 2016년 6월 29일 ~ 현직 |
1950년 9월 전사한 강건(인민군 총참모장)의 장례식에 참가해서 눈시울을 붉히는 최용건. 왼쪽에 보이는 사람이 숨은손으로 프리메이슨임을 알리는김일성. 김정은이 닮긴 닮았구나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북한의 군인, 정치인. 다른 이름으로 최석천(崔石泉), 최추해(崔秋海), 김지강(金志剛)이 있다. 1957년부터 1972년까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으로 국가수반 역할을 수행했다. 평안북도 태천군 출생.
2 이력
2.1 독립운동
국권이 강탈당하자 중국에 망명하여 쿤밍의 윈난(운남)군사학교[2]에 들어갔다. 이 당시 독립운동 세력중 드물게 군사학을 제대로 공부한 사람이다. 이후 손문이 세운 황포군관학교의 교관으로 일했다. 이때는 또 학교 교장이 장제스에 주요 교관이 저우언라이, 왕징웨이...
이후 국민혁명군에서 연대장을 하다가, 국공합작이 결렬되고 공산당원에 대한 학살사건이 벌어지자 피신한다. 이때 중국인 부잣집 딸인 왕옥환[3] 을 만났는데, 왕옥환은 최용건이 일본관원에 쫓기자 자기 침대 밑에 숨겨주었다고 한다. 이 후 둘은 결혼했다. 이때 이미 왕옥환과 최용건의 나이차는 20살이 넘었다고. 진정한 위너?
동북항일연군에서 싸운 후 일제의 토벌작전이 거세자 1940년대에 소련으로 건너갔다. 이때 같이 건너간 이가 바로 김일성, 김책 등의 북한 정권 인사들이다. 최용건은 직책상 김책, 김일성의 상관이었다.
2.2 해방공간에서의 활동
해방이 되자 북한에 건너와 오산중학교 스승이었던 조만식의 조선민주당에 가입하였으나, 조만식이 감금(연금)된 후 실질적으로 조선민주당을 이끌면서 조선노동당의 꼭두각시 정당이 되었다.[4] 이후 북한 정권 수립에 참여했다.
최용건은 6.25 전쟁 당시 국방장관[5]에 조선인민군 총사령관이었으나, 6.25에는 매우 소극적이었다. 박명림[6]에 따르면 한국전쟁때 김일성의 남침 주도에 반대한 몇안되는 북조선의 정치인이다.
박갑동[7]은 최용건은 남침찬성파였고 박헌영이 남침 반대파였다고 하는데 신빙성은 없다. 오히려 그 반대였다는게 정설이다. 이 때문에 초기 전쟁 대부분은 김책이 수행하였다.
2.3 6.25 이후
한국전쟁 휴전 후 1955년 박헌영을 비롯한 남로당 숙청 당시 최고인민회의 재판장으로 지냈다. 니들이 전쟁 주장해서 망할 뻔 했잖아소련파 출신 망명가가 회고한 박헌영 재판기
6.25에 소극적이었던데다가 독립운동이나 군사적 커리어로는 김일성보다 높았으므로 아오지로 갈 뻔했으나, 이후 김일성의 권력 유지를 돕는데 철저히 협조하여 살아남는다. 원래는 연안파로 간주되었으나 [8] , 이후 김일성을 도와 철저히 연안파를 숙청함으로서 김일성에 대한 충성심을 증명했다.
또한 북한 정부의 유일무이한 공개적인 권력 투쟁 사건이었던 8월 종파사건에서는, 김일성이 동유럽 순방을 위해 북한을 비웠을 때 반대파를 주시하면서 그들의 움직임을 시시각각 포착하고 보고하여 김일성이 결국 권력 투쟁에서 승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2.4 바지사장최고인민회의상임위원장으로서
사실 최용건은 1972년도까지 북한의 국가원수, 즉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었다. 즉, 김일성이 1972년까지 자신보다 명망있는 최용건을 바지사장으로 활용하다가 자신의 기반이 어느 정도 잡히자 주석제도를 도입하고 자신이 직접 국가주석에 취임했다. 그 전까지 김일성은 내각 수상이었다.[9][10] 주석제 이후 최용건은 부주석이 되었다.
김책과 더불어 김일성에게 반말을 할 수 있는[11] 북한 정권의 거의 유일한 인물이었지만, 유언 때문에 사망 후 명성이 다소 안습해졌다. 최용건은 나이 차이가 좀 나는 20살인데 중국인 여자 왕옥환을 아내로 두고 있었는데, "내가 죽거든 조용히 중국으로 건너가서 살도록 하시오."라는 유언을 남겼다. 최용건이 죽자 최용건의 아내는 이를 실행했다. 지가 살아보니까 지가 만든 나라지만 좀 아니다 싶었나 김정일의 승계가 구체화 될 즈음에 죽었으니 그걸 보고 그렇게 말했다는 이야기도 있고, 그래서 최용건은 장례나 보도 등 사후 대접을 못 받았다는 이야기도 있다.[12] 다만 김일성이 말년에 낸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에서는 높게 평가되어 있고, 최용건의 아들 최운주도 아버지 덕을 보고 있는지 북한에서 고위급 정치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3 평가
북한에서 공산주의를 지키려고 애썼던 마지막 지도자라는 시각도 있다. 실제로 북한은 최용건이 사망한 이후 김씨 왕조로 변질되면서 공산주의는 내팽겨치고 주체사상을 내세웠고, 2009년에는 아예 조선노동당 당규에서 마르크스-레닌주의 조항을 삭제해버렸다. 이제 공산주의 국가는 없는건가
4 창작물에서의 최용건
드라마 제1공화국에서는 김기현이 연기했고 KBS 대하드라마 여명의 그날에서는 고 김흥기씨가 카리스마 있는 연기를 보여준다.- ↑ '庸'은 북한에서도 '용'으로 표기된다.
- ↑ 이 학교 출신으로 유명한 사람이 많다. 인민해방군의 총사령관이었던 주더, 북베트남군 총사령관 보응우옌잡(지압 장군)등...그리고 대한민국 국방장관을 지낸 이범석도 여기 출신. 그리고 덩샤오핑 시절 국방부장을 지냈던 예젠잉 원수도 여기 출신이다. 그러고보면 6.25때 남북한 국방장관은 동문에다가 동갑이었다...그리고 이 학교는 중국은 물론 남북한, 북베트남의 국방장관을 배출한 명문사관학다!
- ↑ 2007년에 사망했다.
- ↑ 김일성이 일부러 조선민주당 와해를 위해서 그를 잠입시켰다는 이야기도 있다.
- ↑ 북한식으로는 "민족보위부". 이후 인민무력부가 된다.
- ↑ 고려대 교수. 한국전쟁연구의 떠오르는 별이다.
- ↑ 박갑동은 박헌영의 비서였다가 남로당 숙청시 북한을 탈출해서 일본에 거주하는 사람이다. 당연히 박헌영을 옹호할 수밖에 없다. 게다가 이 사람이 쓴 책들(대표적으로 '남기고 싶은 이야기-내가 아는 박헌영')은 좀 신빙성에 문제가 많은 내용들이 있어 걸러들을 부분이 꽤나 많다. 주로 회상과 기억에 의존해서 쓴 경우가 많기 때문에 부정확한 내용들이 많다.실제로 박헌영이란 책을 쓴 걸 후회하기도 한다고... #
- ↑ 사실 같은 중국공산당 출신이긴 하지만 연안에 간적은 없으므로 연안파라고 보기도 그렇다. 만주시절 이후에는 오히려 김일성과 함께 행동
- ↑ 사회주의 국가 특성상, 국가 원수는 대부분 국가평의회/인민위원회의 의장이 맡고, 정부 수반은 내각 수상/총리가 맡는다. 마치 내각제처럼 인민위원회는 내각을 조직하고, 내각은 인민의 뜻을 담은 인민위원회의 의사결정에 따라 움직인다. 하지만 알다시피 인민위원회엔 죄다 조선로동당밖에 없다. 쉽게 말하자면 어느 당 하나가 국회를 장악하고, 국회에서 집권 여당끼리 쿵짝쿵짝 해서 국무총리를 지명하는데 그 국무총리가 집권 여당의 당수인 것. 김일성은 조선노동당 총 비서였다.
이로서 부카니스탄 김씨왕조가 성립되었슴미다. 호갱님. - ↑ 물론 북한에 조선 로동당 하나만 있는 것은 아니다. 북한은 일당독재를 숨기기 위해 명목만 존재하고 실체는 없는 허당(虛黨)(…)을 만들어 놓긴 했다. 그것들이 사회민주당과 천도교 청우당이다. 당만 존재하지 당원은 한명도 존재하지 않는 그야말로 허당(…)이다. 당이 여러개가 존재하는 것은 맞지만 실질적으로 존재하는 제대로 된 당이 조선로동당 하나뿐이라서 문제지.
- ↑ 하지만 공식적 자리에서는 그래도 "일성 동지"나 "김장군"이었다고.
- ↑ 사실 이 이야기와 비슷한 버전이 영국인과 결혼한 소련의 전외무장관 막심 리트비노프가 죽을 때 남겼다는 유언이다. 부인에게 영국으로 돌아가라고 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