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덕종

당의 역대 황제
8대 대종 예황제 이예9대 덕종 소황제 이괄10대 순종 안황제 이송
묘호덕종(德宗)
시호신무효문황제(神武孝文皇帝)
연호건중(建中, 780년 ~ 783년)
흥원(興元, 784년)
정원(貞元, 785년 ~ 805년 8월)
이(李)
괄(适)
생몰기간742년 5월 27일 ~ 805년 2월 25일
재위기간779년 6월 12일 ~ 805년 2월 25일
  • 생몰년 : 742년 천보(天寶) 원년 ~ 805년 2월 25일 정원(貞元) 21년 (63세)
  • 재위기간 : 779년 6월 12일 대력(大歷) 14년 ~ 805년 2월 25일 정원(貞元) 11년 (17년 5일)
당 제국 상서령
전임 이세민이괄
763년~764년
후임 곽자의

1 개요

중국 당나라의 제9대 황제. 당대종 이예의 장남이며, 어머니는 예진황후 심씨이다. 휘는 괄(适).

묘호는 덕종(德宗). 시호는 신무효문황제(德宗 神武孝文皇帝)로 줄여서 소황제(昭皇帝). 능호는 숭릉(崇陵)이다.

소황제(昭皇帝, 밝은 황제)라고도 하는 것처럼 당헌종과 함께 대표적인 중흥 황제였다. 그의 치세를 흔히 중흥의 치라 부르는데, 연호인 건(建中, 780년 ~ 783년)과 원(興元, 784년)에서 글자를 딴 것이지만 한자를 우리 식으로 읽으면 마침 '중흥'과 음이 겹치는 우연의 일치가 있다.

양세법 등의 세제계편으로 연호를 따 '중흥의 치'라는 번영을 회복했으나 환관을 중용하는 폐단이 있었다. 그리고 "중흥의 치"에서 드러나듯 정원년간, 즉 재위기간의 후반 9년은 전반 5년에 미치지 못했다.

대내적인 평가는 번진에 집착해서 큰 공을 놓쳤고 대외적인 평가는 위구르에 집착해 토번에게 이용당했다고 한다.

2 생애

2.1 황제 즉위 이전

젊었을 때 사사명의 난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회흘과 연합작전을 할 때 당한 치욕으로 회흘(위구르 제국)에 대한 복수심이 매우 컸다.

회흘에게 당한 치욕이란 당나라가 사사명을 진압하기 위해 끌어들인 회흘의 가한이 당시 옹왕이던 덕종에게 "나와 네 아버지는 형제의 의를 맺었으니 나는 너의 숙부다. 숙부인 가한을 위해 직접 춤을 추라."라는 모욕을 당했고, 반대하던 당의 신하들이 회흘 가한에게 채찍 100대를 맞다가 죽어나가는 수모를 직접 당했으며, 낙양이 재수복되자, 회흘군이 대약탈극을 벌여 수만의 백성들이 죽거나 노예로 끌려가는 것을 눈 앞에서 목도한 것이다.

2.2 치세 - 양세법

그의 가장 큰 업적은 즉위 직후(780년) 재상 양염(楊炎)의 건의에 따라 세금제도를 개편하여 단일세율(단세)인 양세법(兩稅法)을 도입했다는 것이다. [1] 균전제를 폐지하고 현재의[2] 토지와 재산에 따라 세금을 해마다 두번(여름(하세) - 6월, 가을(추세) - 11월) 기준을 금전으로 걷고[3], 이를 바탕으로 징병제가 아닌 모병제를 운용하는 것이었다. 이런 간단한 세법은 이후 명나라 만력제까지 800년간 운용된다.

하지만 모든 것이 마음대로 되는 것은 아니었다. 양세법의 기본 원칙은 하급 행정단위에서 쓰고 남은 돈을 상부로 올리는 방식이었던 만큼, 하북3진은 물론 평로절도사 조차 상공(上供 - 중앙으로 세금을 바치는 것)을 아예 하지 않았고, 나머지 절도사들도 이따금 매우 적은 상공만을 했다. 조금 사정이 나은 것이 강남의 순지順地절도사 들이었는데, 이것도 대운하를 통해서 상공이 가능한 것이기에 하북의 절도사들이 막을 경우 정기적이지 못했다. 이는 뒤에 보듯 이정기치청번진(제나라)과 같은 절도사들의 난에서 잘 드러난다.

2.3 절도사들의 봉기와 반란 진압

장군인 주비가 황제를 참칭하자, 장안을 버리고 파천해야했으나, 결국 한중에서 반란군을 격파하였다. 다만 이 과정에서 토번의 원군을 끌고 왔으나 전후처리과정에서 반발이 생겨 결국 토번과 결별하고 이필의 건의로[4] 위구르 제국과 연합해서 토번을 공격했으나 되레 깨져서 그나마 소유하고있던 북정지역마저 상실당했다. 이후 중국 왕조는 두 번 다시 서역 경영을 하지 못했다.

이후 사망까지는 추가바람

3 기타

전란을 진압하고 백성들에게 사과했다. 사실 그가 전란의 원인도 아니었는데...

하지만 정작 6.25 전쟁 때 수도 서울을 버리고 떠난 이승만은 사과하라는 제2대 총선으로 수립된 국회의 비판에 "내가 무슨 당 덕종이냐!"라고 우겼다. 중세만도 못한 노블리스 오블리주 망

당덕종 재위기간에 낙산대불이 완공되었다. 낙산대불당현종 개원 원년인 713년 해통화상(海通和尚)이 처음 대불공사를 시작하여 당덕종 정원 19년인 803년에서야 겨우 완공되었는데 무려 90년에 걸쳐 사천성 민강 강가 절벽에 조각되었으며 높이 71m, 폭 28m, 머리 너비만 해도 10m에 이를정도로 현존 세계 최대 좌불상이다. 1996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었다.
  1. 여기서 '나가는 것을 헤아려 들어오는 것을 정한다'라는 뜻인 양출제입(量出制入)이라는 고사성어가 유래되었다. "무릇 백역에 드는 비용과 한 푼이라도 거두어들이는 것들은 먼저 그 수를 헤아려 사람들에게 부과하고, 지출할 것을 잘 따져서 수입 계획을 세운다(凡百役之費, 一錢之斂, 先度其數而賦於人, 量出制入)" ─ 신당서 양염전 中.
  2. 이는 본관지 이탈을 용인한 것이며, 소작민을 과세하지 않겠다는 의미이다.
  3. 정확히는 여름에 걷는 것은 맥麥전, 즉 보리농사, 가을에 걷는 것은 속粟전 및 도稻전, 즉 좁쌀농사와 농사를 걷는 것이니 이모작을 때에 따라 각각 걷는 것이지 이중과세는 아니다.
  4. 당 숙종의 그 이필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