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문종

당의 역대 황제
임시황제 강왕 이오14대 문종 헌황제 이앙15대 무종 숙황제 이염
묘호문종(文宗)
시호원성소헌효황제(元聖昭獻孝皇帝)
연호대화(大和, 827년 2월 ~ 835년)
개성(開成, 836년 ~ 840년)
이(李)
앙(昂)
생몰기간809년 11월 20일 ~ 840년 2월 10일
재위기간827년 1월 13일 ~ 840년 2월 10일


당의 제14대 황제. 시호는 원성소헌효황제(元聖昭獻孝皇帝). 줄여서 헌황제(憲皇帝).

목종의 차남으로, 경종의 이복동생이다.

본명은 함(涵)이었으나, 나중에 앙(昻)으로 개명했다. 이복형 당경종이 갑자기 사망하자 환관 왕수징(王守澄) 등의 추대를 받아 황제위에 올랐다. 처음에는 올바른 정치를 하고자 고심하여 궁녀 3000명을 출궁시키고 오방응견(五坊鷹犬)[1]을 파하고 불필요한 벼슬아치와 부패 관리들을 1200명을 파직시켜 개혁정책을 폈다. 그러나 실권이 없던 문종은 곧 환관들에게 농락당했으며 환관들은 그를 아들 취급하였고 가짜 외삼촌을 등장시켜 황제를 우롱하기도 했다. 문종은 모후의 친척이 많지 않아 비밀리에 외가를 수소문했는데 사실은 외척의 힘을 빌려 환관을 제거하려고 했다. 하지만 그 중 1명은 환관과의 원한관계 때문에 가짜임이 탄로 났는데 이 후에도 문종의 가짜 외삼촌은 3명이나 등장하였고 이들은 모두 유배되었다.

그 후 외척의 힘을 빌리는 것은 포기하고 호걸의 힘을 빌리려고 했다. 그는 의술에 능통한 정주(鄭注)와 주역에 정통한 점쟁이 이훈(李訓)을 찾아냈는데 둘은 문종의 심복이 되어 정주는 절도사, 이훈은 재상이 되었다. 834년 문종은 정주와 이훈의 힘을 빌려 왕수징의 병권을 회수하고 왕수징을 독살했으며 산남동도감군 환관 진홍지도 불러들여 귀경 도중에 죽였다. 연거푸 환관 거물들을 제거하는데 성공하자 문종, 정주, 이훈은 아예 환관세력을 발본색원하기로 마음먹었다. 이에 문종은 835년 왕수징의 장례식 때 환관들이 모이면 모두 제거하기로 했고 공명심에 불탄 이훈은 일을 서둘렀다. 이훈은 "궁중의 석류나무에 감로(甘露)[2]가 내렸습니다."라고 상주문을 올려 길조를 구경하러 온 환관들을 모두 제거하려고 했다. 구사량(仇士良) 등 환관들이 감로를 보러 모두 모였는데 한약(韓約)이라는 자가 왠지 대경실색하며 을 뻘뻘 흘리고 있자 구사량은 이상하게 생각했다. 거기에 결정적으로 바람이 세차게 불어 장막이 날아가 어설프게 매복해 있던 병사들이 들키고 말았다.

이에 놀란 구사량은 문종을환관들과 함께 양옆에서 잡고 금위군을 데리고 궁궐 안으로 도주했다. 이훈은 매복병을 이끌고 추격하여 수십명의 환관을 죽였다. 하지만 구사량은 문종을 동상각으로 들어가도록 하고 문을 닫아 문종을 인질로 잡고 대치했다. 거기다 다른 환관들도 신책군을 이끌고 반격하며 모조리 죽였다. 결국 이훈, 정주는 참수되었으며 한약을 포함해 600여명의 대신들은 억울하게 주살되었다. 이 사건이 감로지변(甘露之變)으로 구사량은 완전히 실권을 쥐고 온갖 횡포를 부렸다. 원래 구사량은 감로지변 전에는 예의상 황제에게 공손한 은 했으나, 이 때부터는 아예 황제를 자기 아들처럼 대했다. 특히 관료들 앞에서 폐하는 오늘 이러저러한 실수를 하셨죠? ㅋㅋㅋ라고 대놓고 모독을 주었다.

하루는 문종이 대신들에게 "은 역사상 어느 황제를 닮았다고 생각하시오?"라고 물으니 대신들은 "신들은 잘 모르겠습니다만, 천하의 사람들은 같다고 합니다."라고 말했다. 이에 문종은 "그것은 이상하지 않소. 짐은 주나라 난왕[3]이나? 후한 헌제보다 못한 것이 아니오? 난왕은 가신인 제후들의 꼭두각시였고 헌제는 대신조조꼭두각시였지만 나는 노예인 환관의 꼭두각시가 되었으니 난왕이나 헌제보다 나을 리가 있겠소?"라고 하며 울었다고 이에 대신들도 엎드려서 울었다. 문종은 840년 병으로 대명궁 태화전에 거처하던 중 사망했는데 독살당했다는 의혹이 있다.

신당서에서는 한 마디로 문종을 평가했다. 제왕의 도(道)는 있었지만 제왕의 그릇은 아니었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종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응견은 사냥용 매와 사냥개이고 오방은 응견을 관리하던 기관이다.
  2. 상스럽다는 이슬
  3. 주나라의 마지막 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