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산고등학교(인천)

이 문서는 개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또는 특수학교 및 유사한 교육 기관 관련 내용을 다룹니다.

다음에 해당되는 서술은 금지되어 있으며 이에 위배되는 내용을 작성할 시 문서 훼손으로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학교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내의 교사 및 학생 등 비공인에 관한 서술
  • 기타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불필요한 서술
인천광역시 동구고등학교
동산고등학교영화관광경영고등학교재능고등학교
tumblr_o8kax4zrJR1sqk8veo1_250.png
교명동산고등학교[1]
(Dongsan High School / 東山高等學校)
개교1938년 7월 14일
유형일반계 고등학교
성별남자
운영형태사립
(학교법인 동산육영회)
소재지인천광역시 동구 송림동
교훈신의(信義)
홈페이지링크

1 개요

인천광역시 동구 동산로 58(송림동 97-1번지)에 위치한 남자 사립 고등학교이자 인천광역시 동구 관내에 있는 유일한 일반계 고등학교다.[2]
인천광역시에 있는 고등학교 중에서는 인천고등학교(1895년 개교), 송도고등학교(1906년 개교)[3], 인천여자고등학교(1908년 개교), 인천남고등학교(1917년 개교)[4]에 이어 다섯 번째로 오랜 역사를 갖고 있으며 인천에서 개교한 사립학교로서는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일제강점기 당시 인천지역의 민족선각자들이 힘을 모아 세운 학교라는 점 때문에 "인천 최고 전통의 민족사학"이라는 타이틀이 강조되기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야구 명문으로만 기억한다.아니다 현재 재학중인 학생인데 동산고 아무도 모른다

2 연혁

  • 1938년 7월 14일 : 인천 상업 강습회 인가(인천시 중구 율목동 239번지[5])
  • 1939년 2월 24일 : 인천 상업 전수학교로 개편 인가 (3년제 6학급) / 초대 김영배 교장 취임
  • 1941년 11월 21일 : 송림동 신교사 낙성 및 이전
  • 1941년 4월 1일 : 재단법인 인천실업학원 설립 / 초대 이사장 설립자 최승우 선생 취임
  • 1945년 8월 15일 : 해방과 동시 인문중학 과정으로 개편
  • 1946년 6월 11일 : 동산중학교로 교명 인가(6년제 12학급)
  • 1947년 12월 23일 : 재단법인 인천육영회로 개칭 인가
  • 1949년 9월 9일 : 학칙 변경 1부 6년 12학급(600명) 2부 3년 3학급 (150명)
  • 1951년 8월 31일 : 교육법 일부 개정에 따라 동산중-동산고 분리 / 동산고등학교 3년제로 개편 (6학급)
  • 1955년 7월 15일 : 재단 명칭 동산육영회로 변경 인가
  • 1956년 2월 18일 : 본관 준공 낙성식 거행[6][7]
  • 1957년 5월 30일 : 야구장을 포함한 1만여평의 운동장 확장공사 준공[8]
  • 1961년 4월 10일 : 강당(350평) 낙성[9]
  • 1980년 11월 4일 : 24학급으로 증설
  • 1985년 10월 2일 : 30학급으로 증설
  • 1985년 9월 30일 : 교사 증축(20교실, 지상 4층, 지하 1층)[10]
  • 1988년 9월 9일 : 제6대 김진원 교장 취임
  • 1988년 7월 14일 : 개교 50주년 기념 행사 (예술제 및 전시회)
  • 1990년 12월 14일 : 제10대 최창수 이사장 취임
  • 1998년 7월 14일 : 개교 60주년 기념식 거행
  • 1999년 9월 1일 : 제7대 박인수 교장 취임
  • 2004년 9월 13일 : 제11대 강개순 이사장 취임
  • 2005년 3월 1일 : 제8대 김건수(현재) 교장 취임
  • 2008년 7월 14일 : 개교 70주년 기념식 거행 및 동산 70년사 발간
  • 2009년 2월 11일 : 제58회 졸업식 거행 (누계 졸업인원 1만8459명)
  • 2009년 8월 26일 : 제12대 김흥규 이사장 취임
  • 2012년 4월 12일 : 제13대 최명수 이사장 취임
  • 2013년 11월 13일 : 다목적강당 '최승우기념관' 완공

3 학교 상징

3.1 교목/교화

교목교화
은행나무목련

3.2 교가

어느 학교건 다 그렇지만 보통 1절만 부르고 2~3절은 부를 일이 거의 없다. 야구부가 외부 경기에서 승리를 거두면 어김없이 응원단과 함께 교가를 부른다.

1절2절3절
소성[11] 옛터에 자리를 잡고
늠름하게 자라온 학덕의 동산
스승은 빛이 되어 우리 힘되니
아~ 우리들은 겨레의 횃불이 되자
우렁찬 파도소리 바위를 뚫네
신의에 뭉쳐라 동산학원
황해의 만경창파 가슴에 안고
하늘에도 오르련다 우리의 기상
이어받은 우리 문화 길이 빛나며
아~ 우리들은 이 나라의 동량이 되자
우렁찬 파도소리 바위를 뚫네
신의에 뭉쳐라 동산학원
여명의 밀물처럼 넘치는 서기
구원한 동산의 맥박이 되자
찬란한 전통이 빛나고 빛나니
아~ 우리들은 누리의 샛별이 되자
우렁찬 파도소리 바위를 뚫네
신의에 뭉쳐라 동산학원

4 운동부

야구부레슬링부가 있다. 야구부는 명실상부 인천야구 최강팀이자 슈퍼스타의 산실로 유명하다. 야구부가 워낙 유명한 탓에 인천은 물론 다른 지역에서도 동산고하면 "아! 그 야구 잘하는 학교?"라고 되묻는 경우가 많다. 야구부 내용은 동산고등학교 야구부 항목 참조[12] 레슬링부는 야구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유명하지만 그래도 실력이 있는 편이다.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면 건국 이래 처음으로 올림픽과 세계선수권대회에서 각각 은메달과 금메달을 딴 장창선 선생이 동산고에서 학창시절을 보내기도 했다.[13]

5 교통

5.1 철도

  • 가장 가까운 역은 수도권 전철 1호선 도원역이다. 학교 정문과의 거리는 약 900m.
  • 제물포역과도 나름 가깝지만 제물포역에서 학교 정문까지 거리는 1.2km 정도 된다. 등교할 때 제물포북부역 선인재단 입구 앞 정류장에서 2, 7, 10, 13, 21, 62, 82번 버스를 타고 4개 정류장을 지나서 교문 쪽 정류장에서 내리면 된다.
  • 동인천역에서는 거리가 좀 된다. 급행을 타고 등/하교를 하려는 학생들은[14] 동인천역 건너편 롯데리아 앞 정류장에서 2번이나 10번 버스를 타거나 롯데리아 건너편 정류장에서 62번을 타고 오면 된다. 그러나 이제 제물포역에도 급행열차가 정차하면서 동인천역까지 갈 일은 사실상 없게 됐다.

5.2 버스

  • 동산고등학교 정류장 (교문 쪽 부어치킨 송림점[15] 앞) : 2, 7, 10, 13, 21, 62, 82
  • 동산고등학교 정류장 (교문 건너편) : 2, 10, 13, 21, 62, 82
  • 동산중고 정류장 (후문 담장 앞) : 510
  • 송림3·5동 주민센터 정류장 (동산휴먼시아 201동 앞) : 63, 510

6 유명 졸업생[16]

  1. 학교의 공식 명칭은 지역명이 따로 붙지 않는 '동산고등학교'로 하고 있다. 다만 안산이나 대전 등 타 지역의 동산고와 구분하기 위해 '인천 동산고'라는 명칭이 종종 쓰인다. 이 항목의 명칭 역시 동산고등학교라는 항목이 전국에 있는 동산고를 뭉뚱그려 작성한 항목이기에 다른 지역의 동산고와 구분하고자 '인천동산고등학교'로 지었다.
  2. 화수동에 있던 인천대건고등학교가 1998년 연수구 동춘동으로 이전했고 동산고 캠퍼스 인근에 있던 박문여자고등학교도 2015년 송림동에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로 이전하면서 동산고가 관내 유일한 일반계고로 남게 됐다. 창영동의 영화관광경영고(舊 영화여상)와 송림동의 재능고등학교(舊 대헌공고)는 모두 특성화 고등학교다.
  3. 인천이 아닌 북한 개성특급시에서 개교했다가 6.25 전쟁 때 피난 개교했다.
  4. 1972년에 폐교됐다가 1998년 재개교됐다.
  5. 주소지 상으로는 현재의 인천기독병원 자리다.
  6. 이 당시에 지어진 건물은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기에 철거됐고 그 자리에 새로운 교사(校舍)를 건립했다.
  7. 여담으로 건물이 워낙 낡았던 탓에(...) 드라마 육남매의 촬영장으로 사용된 적도 있다. 극중 장남 창희가 다니던 학교로 나왔다.
  8. 정확히 절반을 갈라서 남동쪽의 운동장(100m×100m)은 고교 야구부가 쓰고 남은 반쪽 운동장(90m×80m)은 중학 야구부가 쓴다. 사실 중학교 야구부가 쓰는 야구장은 동산중고 체육시간 때도 쓴다. 다만 운동장의 크기가 워낙 크기 때문에 절반을 잘라서 써도 웬만한 학교의 운동장보다도 큰 편이다. 체력검정이나 체육대회 때는 양쪽 운동장을 갈라놓는 그물망을 걷고 운동장을 통으로 다 쓴다.
  9. 건물이 상당히 낡아진 2010년대 초반에 옛 강당을 헐고 그 자리에 새로운 다목적강당을 지었다.
  10. 교문에서 본관으로 들어가는 플라타너스길 옆의 흰색 건물. 과거에는 동산고의 건물이었으나 새로운 건물 완공 이후에는 동산중학교가 이 건물을 쓰고 있다.
  11. 통일신라인천광역시 일대의 지명이던 '소성현(邵城縣)'에서 따온 말이다.
  12. 학교 항목보다 야구부 항목이 더 먼저 생겼다.
  13. 졸업은 서울 인창고등학교에서 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인천 태생인데다 동산중-동산고를 다닌 연유로 범(汎)동산 출신 인사로 분류된다.
  14. 동산고는 인천고, 제물포고, 인일여고, 인천남고, 선인고 등과 함께 공동학군으로 편성돼 있다. 1호선 전철역과 멀지 않은 학교들이 공동학군 내 학교들이다. 그래서 중구동구 외에도 부평구남동구처럼 학교와 먼 동네에서 등교하는 학생들도 있다. 대부분 이런 학생들은 최상위 지망에 인천고나 제물포고를 썼다가 낙방하고(...) 그 밑에 쓴 동산고에 덜컥 배정되는(...) 학생들이다. 처음에는 동산고 입학이 탐탁치 않았지만 학교에 대한 자부심이 커지는 경우가 많다. 자부심의 근원은 역시나 야구부.
  15. 2000년대 중반까지 오락실로 쓰였던 건물이다.
  16. 나무위키에 등록된 인물만. 졸업 연도 순.
  17. 김주혁의 아버지. 용의 눈물에서 이성계 역할로 열연하신 그 분.
  18. 한샘학원을 세우고 국회의원을 지낸 전설의 "밑줄 쫙 선생님" 맞다.
  19. 서울 출신으로 보통 알려져 있지만 실제 태어난 곳은 대구광역시다. 초등학교까지만 대구에서 나왔다. 인천남중과 동산고를 졸업했다.
  20. 박상원이 워낙에 동안인 탓에 최일화를 선배로 오해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21. 동산고 3학년 재학 시절 TV에 출연한 것이 연예계 데뷔의 계기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