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독일의 마우저사가 개발하거나 생산한 소총들을 일람하는 문서.
1 게베어 1871
자세한 내용은 게베어 1871 항목 참조. 위원회 소총으로도 불리는 게베어 1888의 경우 의도적으로 마우저를 배제하고 계획/제조되었다.
2 M1893 (스패니쉬 마우저)
스패니쉬 마우저로도 불린다. 초기에는 마우저 공장에서 제조하다가 1896년부터 스페인 내에서 생산하기 시작했다.
미국-스페인 전쟁 당시 스페인군이 사용했는데, 후장식 스프링필드 M1873이나 크라그-요르겐센을 사용하고 있었던 미군은 이에 호되게 당하고 1903년 마우저사에 300만 달러의 로열티를 지불하여 마우저계열 소총을 참고하여 스프링필드 M1903을 개발하게 되었다.
3 M1896 (스웨디시 마우저)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W1 | 연합군 | 동맹군 | ||||||||||||||||||
WW2 | 연합군 | 추축군 | ||||||||||||||||||
미국 | 영국 | 나치 독일 | 일본 제국 | |||||||||||||||||
소련 | 프랑스 | 이탈리아 왕국 | 체코슬로바키아 | |||||||||||||||||
중화민국 | 폴란드 | 핀란드 | 헝가리 왕국 | |||||||||||||||||
스위스 | 스웨덴 | |||||||||||||||||||
냉전 | 소련 | 동독 | 중국 | 유고슬라비아 | ||||||||||||||||
한국전 | 한국 | 북한 | ||||||||||||||||||
월남전 | 미국 | 월맹 | ||||||||||||||||||
현대전 | 미국 | 러시아 | 영국 | 프랑스 | 한국 | |||||||||||||||
일본 | 중국 | 독일 | 핀란드 | 이스라엘 | ||||||||||||||||
체코 | 스웨덴 | 이탈리아 | 인도 | 폴란드 | ||||||||||||||||
중화민국 | 터키 | 스위스 | 싱가포르 | 호주 | ||||||||||||||||
스페인 | 노르웨이 | 태국 | 이집트 | 캐나다 | ||||||||||||||||
브라질 | - | - | - | 북한 |
M1896 |
M/94 |
M/96 |
M/38 |
M/41 |
스웨디시 마우저로도 불린다. M1893을 토대로 6.5x55mm를 사용하도록 변경되었으며, 이외에 요청에 따라 독특한 디자인 요소가 포함되었다.
기병용 M/94와 긴 소총 M/96, 짧은 소총 M/38, 저격소총 모델 M/41가 있다.
독일 및 스웨덴에서 제조되었는데, 스웨덴산 고급 공구강을 이용하여 강한 내구력과 내식성을 보인다는 점이 있다.
스웨덴군 외에도 겨울전쟁 및 계속전쟁 당시 핀란드군이 사용하였으며, 종전 뒤 대부분은 스웨덴에 반환되었지만 일부 몇 정은 핀란드에 남아있다.
스웨덴에서는 1950년대부터 AG m/42가 보급되면서 퇴역하기 시작하였다.
일본의 아리사카 소총 계열(30년식 소총, 38식 소총, 99식 소총 등)은 M1896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4 게베어 1898 (Kar98k, 탕크게베어)
파일:Attachment/Gewehr 98-1.jpg
파일:Attachment/rifle Kar98k1.JPG 2.jpg
자세한 내용은 게베어 1898 항목 참조. 파생형으로 카빈형 Kar98 계열, 대전차소총 탕크게베어 M1918 등이 있다.
5 M1916 (젤프스트라더)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제1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 제국군이 일부 사용하였던 반자동소총.
6 게베어 41(M)
자세한 내용은 게베어 43 항목 참조. 발터사에서 납품된 소총은 게베어 41(W)으로 불린다. 국방군이 내걸은 제한 조건들[1]을 반영했으나 그리 성공적이진 못했다.
- ↑ Bang 시스템, 소총 표면에는 작동 시 움직이는 부분이 있으면 안됨, 볼트액션으로도 사용이 가능해야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