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탐정 홈즈

d20181dd.jpg

名探偵ホームズ
Il fiuto di Sherlock Holmes(이탈리아)
Sherlock Hound

1 소개

도쿄 무비 신사와 이탈리아의 RAI 합작투자로 공동 제작한 셜록 홈즈 수인화 애니. 일본에선 1984년 11월~이듬해 5월까지 방영으며 블루레이도 출시되었다. 한국에선 1986년 KBS2에서 명탐정 번개로 소개되었다. 그리고 1995년SBS에서 재방영했는데 이 때 제목은 명탐정"셜록 하운드"였다.[1]

제작사가 몬타나 존스와 같아서 인물들 간에 유사점이 많다. 모리어티 교수의 발명품들들도 니트로 박사가 만든 그것들과 매우 흡사하고.

셜록 홈즈의 캐릭터들이 의인화된 개로 변해있는데 가장 압권은 허드슨 부인. 방년 19세의 미망인인데다가 당당한 모습을 보여[2] 역대 허드슨 부인 중에 가장 포스 넘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납치돼서는 모리어티의 난지도 수준의 집을 고풍스러운 저택으로 만들 정도로 가사 일을 잘하는가 하면 액션 씬에서 총도 난사하며 대활약하기도 한다.

2 주제가

일본판(TV 아사히) 오프닝, 엔딩


이탈리아판(RAI) 오프닝


이탈리안(RAI) 엔딩


영어판 오프닝

3 트리비아

등장견물들이 개가 된 것은 이탈리아측의 강한 요청이었다. 총 26편 가운데 다섯 편[3]을 연출한 미야자키 하야오는 왜 새삼스레 이제와서 '명탐정 홈즈'인지 기획에 의문을 가졌고, 썩 마음내켜 하지 않았다. 적어도 허드슨 부인만이라도 인간으로 그리고 싶어했지만, 이탈리아측의 반대로 허드슨 부인도 개가 되었다.
이탈리아측은 배경 그림도 디자인화 된 2차원적인 세계를 원했는데, 미야자키는 3차원적인 공간을 만들고 싶어해서 기획단계에서 사전 조율에 시간이 걸렸다.

원작 소설을 어레인지한 에피소드도 있다. 얼룩끈 이야기는 거액의 유산을 상속받은 여성의 가짜 아저씨가 펼치는 이야기로. 다만 공포 부분을 바스커빌가의 개를 따왔다. 어느 기술자의 엄지손가락(홈즈가 해결에 실패한 몇 안 되는 사건이다!) 여기서도 범인(당연하지만 여기의 메인 악역인 모리어티 일당이다.) 검거에 실패하지만 모리어티 일당이 체포되면 이야기 진행을 못하므로 어쩔 수 없다.

일본 제작진이 참여하여 일본인도 나오는데 한국 방영당시 유가타를 입은 일본인[4]을 한국인 강철(성우는 김환진.)로 나오는 해괴한 현지화를 보여주기도 했다.[5] 원판에서는 나쓰메 긴노스케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연을 이용한 잠입트릭은 나고야성의 황금샤치를 훔쳤다는 카키노키 긴스케의 이야기를 차용한 것이다.

이탈리아-일본 동시 방송을 목표로 1981년부터 제작을 시작했으나 다음해 필름 완성분 4화와 작화 완성분 2화등 6화를 제작한 채 제작이 일시 중단. 일본 위키에 따르면 원작자인 코난 도일의 유족과 저작권 협상을 맡기로 한 이탈리아측이 일처리가 늦어져서 제작이 늦어지는 동안, 도쿄 무비 신사는 세계 시장을 겨냥한 대작 리틀 네모에 총력을 집중했기 때문이라는 설과, 이탈리아측에서 제작비 송금이 끊어졌기 때문이라는 증언도 있는데, 추후 제작이 재개된 TV판과 달리 극장 선공개판에는 코난도일이 원작자로 표기되어 있지 않는 점, 등장인물의 이름이 변형되어 있는 점 등으로 저작권 문제가 얽혀 있었을 가능성은 높다. 하지만 나중에 TV로 방영될 때는 원작 코난 도일이라고 표기된 점을 보면 저작권 문제는 해결된 것으로 보인다.

1984년 3월 '푸른 홍옥' '해저의 보물' 에피소드가 극장용으로 재편집되어 바람계곡의 나우시카와 동시상영작으로 공개되었는데 반응이 좋아 스폰서 확보와 제작진 복귀가 이루어져 제작이 재개되어 동년 11월부터 TV 방영이 시작되었다. '허드슨부인 납치사건' '도버해협의 대공중전' 에피소드는 1986년 천공의 성 라퓨타 개봉시에 별도의 재편집없이 극장상영 되었다.

베스트 에피소드로 꼽히는 5개의 에피소드는 미야자키가 직접 메가폰을 잡아서 액션활극의 명장면을 펼친다. 캐릭터들의 슬랩스틱도 수준급이며 홈즈 시리즈의 또다른 가능성인 "모험물"쪽에 집중한 수작이다. [6]

미야자키 하야오가 연출한 에피소드에는 콘도 요시후미토모나가 카즈히데가 작화감독으로 오른팔 왼팔 역할을 했다.
homes01.gif
나중에 잘도 이런 것을 그렸다고 회상하는 토모나가 카즈히데의 작화 씬. 이 그림이 움직이고, 수병들이 바다에 떨어진다. 젊었으니까 가능했다고.

참고로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은 제작중단 기간에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제작 일로 빠졌고 미쿠리야 쿄우스케 감독이 대신 들어왔다. 대신 일부 화는 미야자키 하야오가 연출을 맡기도 했다. 그런데 같은 '미'씨네? 거기에 두 명 다 성이 4글자다

일부 에피소드를 제외하면 주로 나오는 맞수는 루팡형 모자의 몰리하트(모리어티) 교수. 루팡 모자에 M이라는 글자를 새기고 다닌다. KBS판에서는 괴상한 로컬라이징을 해서 번개 탐정의 맞수 거이타(...)라고 나오지만 SBS판에서는 셜록 하운드의 맞수 '나폴레옹 몰리어티'로 나온다. KBS판은 장정진((SBS판은 이윤선))의 초월 더빙으로 홈즈의 엄주환(SBS판은 황윤걸))을 충분히 누를 만큼의 인기, 장정진 개그의 결정판은 홍두깨가 아니라 바로 이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모리어티 교수와 그의 두 부하인 토드와 스마일리(KBS판에서는 꺽쇠와 땅딸이)의 인기가 꽤나 출중했다.

4 한국 방영

KBS판은 이름을 무국적화해버렸는데 그럼 강철 뭐냐! 홈즈는 번개, 왓슨은 털보, 레스트레이트 경감은 고도치 경감, 허드슨 부인은 천사부인으로 이름을 바꾸었으며, SBS판은 셜록 하운드나 불독 반장 뻬고 원래 이름을 썼다.



EBS판 오프닝(...이자 KBS2판 오프닝 음악). ebs에서는 2010년에 방영했으며,종전과 마찬가지로 1986년판 오프닝 음악과 당시 성우들이 녹음한 음성 테이프를 그대로 활용했다고 한다. 모래요정 바람돌이가 80년대 방영판 테이프 상태가 나뻐 새롭게 재더빙하던 거랑 달리 추억을 되새기게 했다. 게다가 보물섬처럼 재방영에서 잘려나가던 것도 없었다.

5 등장인물

051102_chara_1.jpg
셜록 홈즈 : 시바타 테루히코(극장판), 히로카와 타이치로(TV판)[7], 엄주환(KBS), 황윤걸(SBS)
저작권 문제가 미해결 상태였던 극장판에서는 셔벡(シャーック) 홈즈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KBS판에서는 번개. SBS판은 셜록 하운드 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본 작품의 주인공으로 뛰어난 추리력과 행동력을 갖춘 사립탐정. 식물학, 화학, 물리학에 대해서는 전문가 수준이며 바이올린 연주가 특기이다. 어린 아이의 부탁도 거절하지 않는 사려깊은 성격으로 동거인인 의사 왓슨과 함께 베이커가의 하숙집에서 거주하고 있다. 늘 파이프 담배를 피우고 있다. 원작에 비하여 건강하고 젊은 설정으로 코카인은 하지 않으며[8] 허드슨 부인에 대한 호감을 비치며 존중하는 태도를 취한다.

051102_chara_2.jpg
존 왓슨 : 토미타 코세이, 노민(KBS), 김현직(SBS)
KBS판의 이름은 털보. 홈즈의 친구이자 조수인 의사. 원작 소설에서는 서술자 역할이며, 애니메이션에도 다음회 예고를 맡고있다. 1화에서 홈즈와 만난 후 2화부터 베이커가의 하숙집에서 동거하게 된다. 허드슨 부인을 좋아하는 수 많은 사람 중 하나.

051102_chara_3.jpg
허드슨 부인 : 노부사와 미에코(극장판), 이치류사이 하루미(TV판), 박영남[9](KBS), 정경애(SBS)
극장판의 이름은 엘리슨 부인, KBS판의 이름은 천사 부인. 홈즈와 왓슨이 생활하는 베이커가 221B 의 여주인으로 19세. 온화한 성격의 미인이라 여러 남자들에게 호감을 사고 있지만 일부 에피소드에서 뛰어난 운전실력과 사격기술을 보여주기도 했다. 모리어티 교수에게 납치 당한 적이 있는데 아무런 두려움 없이 가사일을 안해 엉망인 모리어티 교수의 집을 새집처럼 청소하고 요리까지 해준다. 미야자키는 허드슨 부인을 본작품의 세계관 속의 유일한 인간으로 설정하여 명탐정도 인간에게 약한 모습을 모여주고 싶어했다고 하나 이누야샤 앉아 이탈리아 측의 반대로 무산되었다고 한다.[10]

051102_chara_4.jpg
모리어티 교수 : 오오츠카 치카오, 장정진(KBS), 이윤선(SBS)
극장판에서는 모로아치, KBS판에서는 거이타 라는 이름으로 등장. 홈즈의 라이벌 격인 악당 리더로 원작과 같은 거대 범죄조직의 수장과 같은 모습은 보이지 않으며, 실크햇과 모노클등의 외형적인 요소는 원작의 모리어티 교수보다 아르센 뤼팽의 이미지를 차용한 것으로 보인다.[11] 늘 새로운 발명품을 만들어 사건을 저지르고 있으나 홈즈에게 패배하여 성과는 없는듯하며 만성적인 가난에 시달리는 것 같다. '허드슨 부인 납치사건'에 묘사된 아지트의 모습이 돼지우리를 방불케 하는 것을 보아 가사일에는 신경쓰지 않는 듯하다. 이 에피소드에서 허드슨 부인에게 반해서 다시는 부인을 이 일에 끌어들이지 않겠다는 말을 하며 해어진다. 자신의 목적을 위해서라면 사람도 눈 깜짝 안하고 죽이려는 몬타나 존스제로경과는 달리 이 쪽은 완전 나쁜 녀석은 아닌 꽤 인간적인 악당이다.

051102_chara_5.jpg
토드 : 키모츠키 카네타(극장판), 마스오카 히로시(TV판), 정동열(KBS), 이종혁(SBS)
스마일리 : 후타마타 잇세이(극장판), 센다 미츠오(TV판), 유해무(KBS), 이재명[12](SBS)
KBS판의 이름은 땅딸이와 꺽쇠, SBS판의 이름은 테드와 마일드. 원작에 없는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캐릭터. 원래 벵골 해적단 출신으로, 2화부터 모리어티 교수의 부하로 활동하고 있으나 그다지 도움은 되지 않는것 같다. 스마일리가 토드를 형이라고 부르고 있다. 스마일리의 모델은 콘도 요시후미, 토드의 모델은 토모나가 카즈히데라고 하며 사족으로, 먼저 제작된 6개 에피소드에서는 스마일리의 얼굴의 초록색인데 나머지 에피소드에서는 갈색으로 채색되었다. 초록색인 쪽이 이상한 거 모리어티 교수처럼 얘네들도 완전 악당은 아니다.

051102_chara_6.jpg
레스트레이드 경부 : 겐다 텟쇼(극장판), 이이즈카 쇼조(TV판), 백진(KBS)[13], 이종구(SBS)[14]
극장판의 이름은 레스트런트(...) 경부. KBS판에서는 고도치 반장, SBS판에서는 불독 반장 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스코틀랜드 야드 소속의 경찰로 정의감이 넘치고 자부심이 넘친다. 부하들을 데리고 모리아티 교수를 쫓고 있으나 홈즈가 너무 유능해서 성과는 거의 없다.. '해저의 보물' 에피소드를 보면 허드슨 부인을 좋아하는 것 같다.

6 기타

본작의 홈즈는 괴상한 화학 실험을 하지만[15] 전체적으론 큰 흠이 없는 주인공형이다. 작중 왓슨의 지갑을 훔친 소매치기에게서 그 지갑을 다시 훔쳐오는 등 원작에서도 언급된 절도 실력도 출중하다.

홈즈를 비롯한 캐릭터들의 포지션과 이미지는 후에 나온 몬타나 존스에서도 볼 수 있다. 정말 보면 닮았다는 느낌을 받는다. 이탈리아 측 제작사가 동일한 영향도 있을것이고, 심지어 악당의 패배대사(이 걸로 끝났다고 생각하지 마라)도 동일하다.

SBS판 방영당시 삼풍백화점 붕괴사고가 있었는데, 그것때문에 자막으로 사고 소식을 알리고 뉴스특보를 내보냈다이걸 본 어린이들 지못미......

  1. 본래 영제도 Sherlock Hound.
  2. 누구나 베스트 에피소드로 꼽는 도버 해협의 공중전 에피소드, 박영남의 최고 연기 중 하나이다.
  3. 3,4,5,9,10화
  4. 정확하게는 연을 이용해서 공중침투해서 물건을 훔치는 트릭을 한국의 어떤 이야기에서 땄다고 한다. 거기 나오는 한국견(?)은 전설을 연구하는 유학생
  5. KBS판은 이렇게 처리했는데 SBS판은 미방영 하였다. 더불어 KBS에서 인기리에 방영한 미-일합작 애니메이션 출동! 바이오용사에서는 아예 일본갑옷 입은 무사를 고려 무사라고 부르는 만만치 않은 현지화를 보여준 바 있다. 그나마 고대 일본을 다룬 에피소드는 미방영
  6. http://elros.tistory.com/357 참고.
  7. BEMANI 시리즈의 아티스트 후지모리 소타의 외삼촌이다. 2008년 타계.
  8. The Art of Holmes 등의 설정집에는 미야자키가 직접 그린 코카인을 주사하려하는 홈즈와 걱정스럽게 바라보는 왓슨의 그림이 실려 있으나 가족용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인지 이 설정은 애니메이션에 반영되지 않았다. 대신 수소로 주스를 만들 생각은 하는 기인으로 묘사.
  9. 소년연기의 대가인 박영남 성우의 드문 성인여성 역이다. 에피소드 내에서 게스트 캐릭터를 담당하게 되는 경우 이진화 성우가 허드슨 부인을 대신하였다.
  10. 설정집에서 인간형의 허드슨 부인을 볼 수 있다. 작품내에서 인간은 조각상, 그림등에만 등장하는 환상종 취급이다. homes10.gif
  11. 작중에서 아르센 뤼팽은 본편에서 한 세대 전쯤 활동했던 인물이다. 관련 에피소드에서 레스트레이드의 젊은 시절 회상에 나온 적이 있는데 긴 수염과 그림자 때문에 얼굴을 알아보기 애매하나 복장은 현재의 모리어티와 똑같았다. KBS에서 이름이 루팡이라고 나왔는데 레스트레이드가 애송이 경찰관 시절, 예고하고 물건을 훔쳐가서 경찰을 아주 엿먹이던 괴도였는제 모리어티랑 다르게 멋진 놈이라고 회고했다. 이 에피소드에서 그는 나이들어 죽고 딸이 나와 괴도로 활약한다.
  12. 인터넷상에 이재용 성우로 기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재명 성우가 맞다.
  13. 1938년생으로 1946년생인 박영남보다 무려 9살 더 많다.
  14. 이종구와 이이즈카 쇼조는 드래곤볼 Z내퍼릴로 & 스티치 시리즈줌바 주키바를 맡았다.
  15. 얼마나 괴상한 실험을 하는지, 어떤 화에선 수소로 주스를 만드는 실험이라던지 암모니아에서 향수를 추출하는 실험까지 한다. 그러나 결국 실패. 역시 지구가 돈다는 것도 모르는 사람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