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리 데루모토

(모리 테루모토에서 넘어옴)
이 문서는 한자 발음인 모리휘원으로도 들어올 수 있다.
오대로
도쿠가와 이에야스마에다 토시이에모리 데루모토우키타 히데이에코바야카와 타카카게
우에스기 카게카츠

毛利輝元 (もうり てるもと) 모리휘원
(1553.02.04 ~ 1625.06.02)
500px-Terumoto_Mouri.jpg

명목상서군 총대장.

1 개요

일본 최고의 바지사장.

일본 전국시대부터 에도 시대 전기의 다이묘.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명목상서군 총대장으로 옹립되었다. 에도 시대 조슈 번 초대 번주이기도 하다.

2 생애

2.1 가독상속

덴분 22년 (1553년) 음력 1월 22일 모리 모토나리(毛利元就)의 적장자 모리 타카모토의 장남으로 아키의 요시다 고리야마 산성에서 태어났다. 유아명은 고쓰루마루이다. 에이로쿠 6년 (1563년) 아버지 다카모토가 급사했기때문에 11세에 가독을 승계하였다. 그러나 어렸기 때문에 조부 모토나리가 실권을 장악했다. 에이로쿠 8년 (1565년) 쇼군 아시카가 요시테루(足利義輝)로부터 글자 한자를 받아 데루모토로 개명하였다. 같은 해 갓산 도다 성 전투에서 처음 전투를 치른다.

겐나 2년 (1571년) 조부 모토나리가 죽자 모리 료센[1]체제를 중심으로 중신의 보좌를 받아 친정을 개시하였다. 덴쇼 2년 (1574년) 우마노카미에 임관되었다.

2.2 오다 가문과의 싸움

그 후, 데루모토는 주고쿠 지방의 패자에 올라 각지에 세력을 신장하였다. 조부 모토나리 때부터 적대세력이였던 아마고 가문과 오토모 가문과 전쟁을 벌였고 이들을 제압하여 규슈와 주고쿠 지방에 세력을 확대해 갔다.

하지만 덴쇼 4년 (1576년) 음력 2월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에게 축출된 쇼군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비호하였고 더욱이 이시야마 혼간지(石山本願寺)의 승려가 거병하자 혼간지 편에서 병량과 탄약을 원조하여 오다 가문과 대립하였다. 당시 오다 가문은 에치고의 강적 우에스기 겐신(上杉謙信)과 대립하고 있었기 때문에 모리 가문은 오다 가문보다 병력적으로 우위에 있었다. 그래서 그간에 벌어진 여러 전투에서 연전연승을 하였고 음력 7월 제1차 기즈키가와구치 전투에서 오다 수군을 격파 대승을 하게 되었다. 또, 덴쇼 6년 (1578년) 음력 7월에는 고즈키 성 전투에서 하시바 히데요시(羽柴秀吉)와 아마고 가문의 연합군과의 결전을 맞이 했지만 하시바 히데요시는 미키 성의 벳쇼 나가하루의 반란에 따라 미키 성으로 군대를 돌렸다. 고즈키 성에 홀로 남은 아마고 가문은 분전하지만 모리 가문에 패배하였다. 이로써 아마고 가문의 잔당을 뿌리뽑았으며 오다 가문에 대해서도 우위에 서게 되었다.

그러나 음력 3월 우에스기 겐신이 죽었고 더욱이 음력 11월에 일어난 제2차 기즈키가와구치 전투에서 철갑선[2]을 전장에 투입한 오다 군에게 패배하였고 모리 수군은 섬멸되었다. 이후 전황은 모리 가문에 불리하게 되어갔다. 덴쇼 7년 (1579년)에는 모리 가문에 종속되어 있던 비젠의 우키다 나오이에가 모리 가문을 배반하고 오다 노부나가와 내통하였다.

덴쇼 8년 (1580년) 음력 1월에는 오다 군의 주고쿠 공략군 지휘관 하시바 히데요시가 이끄는 군대가 미키 성을 함락하였고 벳쇼 나가하루는 자결하였다. (미키 전투) 다음해인 덴쇼 9년 (1581년) 이나바 돗토리 성도 포위 공격에 따른 병량고갈로 항복하게 되었고 모리 가문의 장수 깃카와 쓰네이에는 자결하였다. 이에 대항하여 데루모토는 숙부들과 함께 출진하지만 설상가상으로 오다 노부나가와 내통하고 있던 분고의 오토모 소린이 서쪽으로 공격해 왔으며 산인에서도 난조 모토츠구가 공격해오는 등 곤경에 처하게 되었다.

덴쇼 10년 (1582년) 음력 4월 하시바 히데요시는 모리 가문의 충신 시미즈 무네하루가 농성하는 빗추 다카마쓰 성을 공격한다. 공방전중 음력 6월 2일 교토 혼노지에서 아케치 미츠히데(明智光秀)가 일으킨 혼노지의 변으로 인해 오다 노부나가는 그곳에서 자결하였다. 하시바 히데요시는 노부나가의 죽음을 비밀에 붙이고, 모리 가문과 화친을 모색한다. 이로써 전황의 불리함을 느끼고 있던 데루모토와 화친하게 되었다. 결과 빗추 다카마쓰 성은 개성되었고, 화친의 조건으로 성주 시미즈 무네하루는 할복하였다.

2.3 도요토미 정권

오다 노부나가 사후, 중앙에서 하시바 히데요시와 시바타 카츠이에(柴田勝家)가 패권을 놓고 다투기 시작하자, 양측으로부터 아군이 될것을 요구받았지만, 최종적으로 중립을 유지했다. 덴쇼 11년 (1583년) 시즈가타케 전투를 앞두고 히데요시 쪽에 승전을 비는 선물을 보냈다.[3]

시즈가타케 전투후, 패권이 히데요시에게 넘어가자, 자신의 숙부인 모리 히데카네(모리 모토나리가 노년에 본 자식으로 아들이 없던 셋째형 고바야카와 다카카게의 양자가 되었으나 도요토미 히데요시 자신의 조카 고바야카와 히데아키를 당시 아들이 없던 테루모토의 양자로 보내려는 낌새를 보여, 다카카게가 히데카네를 본가인 모리 가문으로 다시 돌려 보내고, 히데아키를 자신의 양자로 삼았다.)와 사촌인 킷카와 히로이에를 인질로 보냈고, 신하의 예를 표했다. 그 후 히데요시의 명을 받아 덴쇼 13년 (1585년) 시코쿠 정벌, 덴쇼 14년 (1586년) 규슈 정벌에도 선봉으로 출진하였고, 무공을 세워 히데요시의 천하통일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 결과 히데요시로부터 주고쿠 6국 고쿠다카 120만 5천 석의 소령을 안도받았다.

덴쇼 17년 (1589년) 당시 교통의 요충지였던 오타 강 삼각주에 히데요시의 주라쿠 다이를 본따 히로시마 성을 축성한다. 덴쇼 19년 (1591년) 오랜기간 모리 가문의 거성이였던 요시다 고리야마 산성을 버리고, 아직도 공사중인 히로시마 성으로 거처를 옮긴다.

분로쿠 원년 (1592년)부터 시작된 임진왜란 때에는 자신의 주력부대를 파견했다. 이런 공적으로 게이초 2년 (1597년) 히데요시로부터 숙부 고바야카와 다카카게(小早川隆景)와 함께 오대로에 임명되었다. 주로 후방 지역인 경상도에서 머물렀으며 지금의 부산광역시 지역에 부산왜성, 자성대 등을 쌓았고 지금까지 남아 있다.

게이초 3년 (1598년) 음력 8월 히데요시가 임종을 맞이할 즈음 히데요시의 아들 도요토미 히데요리(豊臣秀頼)의 보좌를 부탁받았다.

2.4 세키가하라 전투

게이초 5년 (1600년)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와 이시다 미츠나리(石田三成)는 대립하였고, 드디어 무력충돌로 발전하게 되었다. 음력 6월 이에야스는 우에스기 카게카츠(上杉景勝) 토벌을 명목으로 군사를 일으켜 아이즈 지방으로 출진하자, 다음달 7월 이시다 미츠나리도 군사를 일으켜 이에야스와 맞섰다. 이때 미츠나리는 친구 오오타니 요시츠구(大谷吉継)의 진언에 따라 자신이 총대장에 오르지 않고, 이에야스와 필적할만한 실력을 가진 모리 데루모토를 서군 총대장으로 옹립하려 하였다. 모리 가문의 외교 승려 안코쿠지 에케이(安国寺恵瓊)에게 설득된 모리 데루모토는 서군의 총대장 자리를 받아들였다.

데루모토는 음력 7월 17일 오사카 성 니시노마루에 입성하였다. 하지만, 음력 9월 15일에 일어난 세키가하라 전투에 군을 이끌고 출진하기는 커녕 오사카성에서 버로우(...)[4], 대신 친지인 모리 히데모토(데루모토의 삼촌 호이다 모토키요의 아들, 데루모토가 아들이 없어 잠시 양자로 들였었던 인물)와 킷카와 히로이에(데루모토의 삼촌 킷카와 모토하루의 아들)를 보내는 선에서 끝냈다. 전후 서군은 패배하였고, 음력 9월 24일 타치바나 무네시게(立花宗茂)와 모리 히데모토의 주전론을 거부하고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전쟁을 할 뜻이 없음을 전했다. 그리고, 오사카 성에서 퇴거하였다.

이에야스가 이끄는 동군과 미츠나리가 이끄는 서군간에 전투에서 서군의 패배를 예상한 킷카와 히로이에는 구로다 나가마사(黒田長政)를 통해 본령의 안도와, 가문의 존속을 교섭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킷카와 가문의 군대가 모리 가문의 군대를 저지하는 결과가 되었고, 모리 가문의 군대는 싸워보지도 못하는 결과가 되었다.

데루모토는 사형을 면하는 한편 영지 보전을 약속받고 주고쿠로 돌아갔지만 애시당초 이에야스는 그를 그냥 용서해줄 생각이 없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전후, 그 약속을 파기하고 데루모토를 처형한 후 스오, 나가토, 빈고, 아키, 이와미, 이즈모 120만석을 완전히 몰수시키고 영지 중 일부인 스오, 나가토 29만 8천 석을 자신과 내통한 킷카와 히로이에에게 주려고 했으나 이에 놀란 킷카와 히로이에는 이에야스와 담판을 지어 모리 가문의 존속과 히로이에 자신에게 돌아갈 영지를 모리 가문에 주는 선에 끝냈다.[5] 이로써 킷카와 히로이에는 모리 가문, 즉 종가를 배신했다는 오명을 쓰게 된다.
서군 총대장으로서의 책임을 물어 모든 영지를 몰수한 것이다. 여담으로 데루모토 본인은 이 일에 대해 매우 분하게 생각해서 이후 잠잘 때 발을 에도쪽으로 향하게 했다. 참으로 찌질하다...[6]
다스리던 영지는 4분의 1로 축소되어 재정은 파탄이 났고, 이에 가신들의 봉록을 5분의 1로 깎고, 농업과 상업을 장려하는 긴축재정으로 10년 후에는 재정이 개선된다.

2.5 에도 시대

세키가하라 전투가 끝난 후 음력 10월, 모리 데루모토는 출가해 게안 소즈이라 불렀으며 가독은 적자인 모리 히데나리에게 양도하였다. 하지만 가문의 실권은 데루모토에게 있었다. 게이초 8년 (1603년) 데루모토는 에도로 가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사죄하고, 다음해인 게이초 9년 (1604년) 나가토 국에 하기 성을 축성하여 거성으로 삼았다.

게이초 19년 (1614년) 오사카 전투에서 은밀히 중신 나이토 모토모리를 오사카 성에 보내 도요토미 가문을 지원하는 한편, 이에야스의 동군에도 참전하였다. 하지만, 모리 가문은 이 전투에서 소극적인 움직임만 보였다. 이후, 도요토미 가문과 도쿠가와 가문은 화의를 맺었고, 군을 철수 시켰다. 하지만, 도쿠가와 가문은 도요토미 히데요리가 오사카 성을 재건하는 것을 구실삼아 다시금 군사를 일으켜 도요토미 가문의 오사카 성을 공격하였다. 이 오사카 여름 전투에서 모리 히데모토의 부대가 본대보다 선봉에서 도요토미 군을 상대했었다. 이를 계기로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모리 가문을 상찬(賞贊)했다.

이 오사카 전투의 군역과 에도 성 건축에 참여, 에도에 번저를 짓는 등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에 빚어진 가문의 분열을 막고자 애를 썼다.

겐나 9년 (1623년) 모리 히데나리에게 정식으로 가독을 양도하고 정계에서 은퇴하였다.

간에이 2년 (1625년) 음력 4월 27일 하기의 시혼마쓰 저택에서 임종을 맞이하였다. 향년 73세였다. 이때 가신 나가이 모토후사가 순사하였다.

3 인물

  • 할아버지, 아버지, 형이 모두 술로 인해 일찍 죽은 모리 모토나리는 주량이 많은 젊은 데루모토도 그렇게 되지 않을까 우려하여 데루모토의 부인을 통해 쓴소리를 했다.
  • 기량과 패기가 없고, 성격도 우유부단한 평범한 사람이었다고 하며 시대극 등에서도 대부분 평범한 인물로 그려지고 있다. 현재 "기밀을 곧잘 누설한다"[7] 등 조부 모토나리의 불평이 적힌 문서가 남아 있고, 교육을 담당했던 작은 아버지 고바야카와 다카카게도 엄히 예의범절을 가르쳤다고 한다. 이런 성격은 아버지 타카모토를 많이 닮은 것으로 보인다.
  • 반면, 정유재란 때 일본으로 잡혀갔던 강항(姜沆)은 《간양록(看羊錄)》에서 “조심성이 많고 느긋하여 우리 나라 사람과 비슷하다.”고 평가하고, 조선에 쳐들어간 일본군이 전과 보고를 위해 베어 보낸 조선인의 코를 바치면서도 항상 "가엾은 일이다", "이걸 차마 어떻게 손을 댄단 말인가?" 하고 조선인들에 대한 동정을 보냈다는 우호적인 기사를 담고 있다.[8]
  • 덴쇼 17년 (1589년) 가신 스기 모토노부를 살해하고 그의 부인을 취했다는 일화가 남아 있다.
  • 주고쿠 지방의 태수 지위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도 킷카와 모토하루와 고바야카와 다카카게의 두 작은 아버지가 있었던 덕택이다.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서군의 총대장이 되었고, 시코쿠, 규슈에도 군사를 움직였으나, 본인은 전투에 직접 참여하지도 않았다. 시코쿠, 큐슈 정벌땐 깃카와, 고바야카와의 두 작은 아버지들이 테루모토를 중심으로 도와줬지만, 세키가하라에서는 안코쿠지 에케이와 깃카와 히로이에, 코바야카와 히데아키가 분열되어 죄다 따로따로 행동하는 바람에 모리가문은 싸워보지도 못하고 철군했으며 나중엔 영지가 대폭 삭감당하고 말았다.
  • 나가토로 이봉된후, 조슈 번의 지배체제 강화를 명목으로 가신단을 정리 숙청하였다. 혈연 관계인 구마가이 모토나오 일족과 요시미 히로나가를 숙청하고, 아무런 혈연 관계가 없는 마스다 모토나가를 발탁하였다. 내정에 힘써 황무지 개간, 특산품을 장려하여 조슈 번의 토대를 닦았다. 번의 정치는 대부분 모리 히데모토와 마스다 모토나가에게 위임하였다.
  • 세키가하라 전투 후, 모리 히데모토의 조후 번은 조슈 번의 지번(支藩)이 된 것에 반해 킷카와 히로이에의 이와쿠니 번은 지번이 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킷카와 가문이 세키가하라 전투 후 소홀하게 대접받았다는 견해가 있지만, 이 조치는 양자로 맞이했다 폐적시킨 모리 히데모토와의 관계 유지를 위한 것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으로, 직접적인 관계는 그다지 없다. 데루모토 자신은 히데모토를 모리 료센 체제에서 다카카게를 대신하는 위치로 보았고, 킷카와 히로이에의 장남에게 자신의 딸을 시집보내는 등, 집안 단속에 힘썼다.
  • 나가이 모토후사의 순사에 관계해서는, 모토후사가 잠시 동안 가신단에서 축출되었을 때, 모리 데루모토는 은밀히 자금을 지원하였고, 다시금 가신단에 복귀하였을 때, 이전과 같은 대우를 하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 현재에도 우둔한 무장이라는 이미지가 강하지만, 사노 미치요시 사건[9] 으로 볼 때, 세키가하라의 실책을 만회하기 위한 의중으로 보인다. 당시 가신에게 명하여 큐슈의 여러 성의 지도를 작성하는 등 도쿠가와 가문에 대한 증오를 엿볼 수 있다.

3.1 숙청

간양록의 사람 좋아보이는 서술이나 무능하다는 이미지와는 달리 데루모토는 숙청과 암살을 많이 한 인물이다. 하라구로

  • 구마가이 모토나오 - 로마 가톨릭 신앙을 문제삼아 살해하였다.
  • 아마노 모토노부 - 역시 가톨릭 신앙을 문제삼아 살해하였다.
  • 스기 모토노부 - 그의 부인을 취하기 위해 살해하였다.
  • 요시미 히로나가 - 모반을 꾀한다는 이유로 토벌하였다.
  • 나이토 모토요시 - 사노 미치요시 사건에 연좌되어 자결하였다. 나이토 모토모리의 장남.
  • 아와야 모토토요 - 사노 미치요시 사건에 연좌되어 자결하였다. 나이토 모토모리의 차남.
  • 우가이 모토타쓰 - 고바야카와 다카카게의 가신이였지만, 숙부가 죽은 후, 살해하였다.

3.2 기타 창작물에서

파일:毛利輝元.jpg

신장의 야망 시리즈에선 대대로 쓰레기같은 능력치를 자랑한다. 오죽하면 60을 넘기는 능력치가 거의 없을 지경. 그래도 두 숙부가 A급은 돼 주고 영지도 넓기 때문에 할만은 하다. 하지만 두 숙부가 죽은 다음에는...

100만인의 신장의 야망에서는 합전 78 내정 86으로 아버지보다 더 능력치가 좋다...

전국무쌍에서도 클론무장. 코바야카와 타카카게가 플레이 캐릭터가 된 4부턴 모리 가문 레귤러 클론 무장이며 4-2의 현인의 장에서도 레귤러 클론인데... 툭하면 마음만 앞서서 나서다가 계략에 빠지곤 해서 삼촌인 타카카게가 계속해서 테루모토를 타일러야 겠다, 가르침을 줘야 겠다며 한숨을 내쉬게 만든다(...) 일단 레귤러급으로 자주 나오는 클론 무장이기도 한데다가 밑의 항목도 있기에 후속작에 등장할 가능성도 있을지도유선의 경우도 있으니

3.3 모리 모토나리: 맹세의 세 화살

후반부의 주인공

코에이 식 역사 왜곡(?)의 좋은 예

위에서 언급한 인물과는 전혀 다른 인간이라고 봐도 좋다(...)

본작에서는 할아버지인 모토나리를 따라 정의로운 가치관을 내세우고 있으며 기본적으론 상냥하고 배려심이 깊은 성격이다. 그러나 상대가 죄악을 저질렀다고 생각하면 물불가리지 않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역사대로 숙부들에게 의지를 많이 하지만 그런 한편으론 자신이 당주로서 숙부들과 가신들을 지켜줘야 한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본래 오다 노부나가와 싸울 생각은 없었으나 도움을 청하러 온 전령이 심하게 부상을 당한 모습을 보고 평민들이 전란에 휩쓸리는 것에 분노하여 노부나가에 맞서기로 결정한다. 혼노지의 변 이후 서둘러 돌아가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뒤를 치고난뒤에[10] 가신들을 이끌고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오다 잔당들에 맞서 세키가하라에서 다시 한번 붙게 된다이번엔 진짜 서군 총대장이다 결국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탈탈 털어버린뒤 시마즈, 초소카베, 호조등의 충성을 얻게 되고 정이대장군 자리를 앞두게 된다. 그러나 아직 서쪽에 도사리고 있는 오토모 소린과 맞서기로 결심하는 것으로 엔딩. 이후 모리 테루모토의 활약은 계속되었다는 멘트가 나온다. 작중 로맨스 관계인 쿠노이치 호타루와는 엔딩 시점에서 결혼한듯 하다.

모리원취전에서 능력치가 너무 높다는 게이머들의 문의에 코에이가 게임이니까요라는 답변을 보냈다고 한다. 사실 모토나리가 중후반에 퇴장하게 돼서 후반부의 주인공이 되기 때문에 어쩔수 없다. 한마디로 영걸전에서 유비가 죽은뒤 유선으로 플레이를 하는데 그 유선이 심각하게 강하다면[11] 문의가 있을만도 하다. 그것도 전국 3영걸중 둘을 전부 테루모토가 박살내버린다. 오다 가문을 야전에서 박살낸뒤, 히데요시 또한 상대해서 승리, 아예 죽게 만들었으며, 도쿠가와 이에야스도 탈탈 털어버린뒤 도망치다 죽게 만든다(...)

어떻게 보면 진삼국무쌍 시리즈유선을 앞선 예라고 볼수 있다.

그러나 후속작인 직전신장전에선 그런거 없고(...) 그냥 비열한 인상에 삼촌들 덕 보는 인간일뿐이다(...)
  1. 모리 모토나리는 그의 아들을 깃카와 가문과 고바야카와 가문에 입적시켜 아키 호족들을 규합하였다. 료센은 은 한자로 양천(兩川)로 깃카와(吉川), 고바야카와(小早川) 두 성(姓)에 내 천(川)자가 들어가 이렇게 불려졌다.
  2. 오다 노부나가의 명으로 구키 요시타카(九鬼嘉隆)가 기존의 아타케부네에 방화용(防火用) 철판으로 배 전체를 둘렀다.
  3. 사료가 남아 있지 않을 뿐, 카츠이에 쪽에도 승전을 비는 선물을 보냈을 가능성도 있다.
  4. 이에 대해서는 요도기미가 오사카성의 안전을 위해서 출전을 막았다는 일화도 전한다고 하는데, 모리가문쪽 프로파간다 같기도 하고...
  5. 도쿠가와는 킷카와 히로이에의 탄원(담판)은 물론 데루모토의 아들과 첩을 인질로 받고 나서야 그 선에서 마무리했다고 한다.
  6. 이러한 일련의 사건 때문에 모리 가문의 조슈 번은 도쿠가와 에도 막부에 대한 반감이 뿌리깊었고, 결국 2백여년 뒤 도쿠가와 막부를 무너뜨리고 메이지 유신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조슈 번의 역할이 매우 컸다.
  7. 적과 내통한다는게 아니라 입이 너무 가볍다는 의미
  8. 착한 심성이 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전국시대를 기준으로 봤을땐 전투에는 전혀 맞지 않는 인물이라 할 수 있겠다. 다만, 숙청이나, 쪼잔한 성격을 보여주는 행보를 보아 좋은 인물이라고 볼 수 없다.
  9. 오사카 전투가 있을 무렵 모리 데루모토는 나이토 모토모리를 오사카 성으로 보내 군자금과 병량을 지원하였다. 나이토 모토모리는 오사카 성에 입성할때 사노 미치요시라는 이름을 사용하였다. 전후, 나이토 모토모리는 체포되어 모리 가문이 의심을 사게 된 사건이다.
  10. 히데요시는 전투에서 사망한다. 그런데 강항이 테루모토를 두고 좋게 평가한 것을 고려하면 한국인 유저 입장에선 기분이 묘하다
  11. 근데 정말 유선은 수송대 레벨99까지 만들면 공격력이 최종전투 시점의 조조보다 쎄다. 다만 유선의 경우는 노가다로 키웠을때 한정으로 강한데 비해(최종전의 조조의 레벨은 70대이다), 테루모토는 그냥 성능이 좋다. 굳이 비교를 하자면 영걸전에 유선이 무력,통솔,지력이 모두 70대 이상의 준수한 캐릭터로 나온다고 생각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