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바야카와 타카카게

(고바야카와 다카카게에서 넘어옴)
오대로
도쿠가와 이에야스마에다 토시이에모리 데루모토우키타 히데이에코바야카와 타카카게
우에스기 카게카츠
이 문서는 한자식 발음인 소조천륭경으로도 들어올 수 있다.


小早川隆景 (こばやかわ たかかげ) 소조천륭경
(1533 ~ 1597.07.26)
타카카가 아니다.

440px-%E5%B0%8F%E6%97%A9%E5%B7%9D%E9%9A%86%E6%99%AF.JPG
(히로시마현 미하라 시에 있는 동상.[1]

200px-Hidari_mitsudomoe.svg.png
고바야카와 가문의 미츠도모에 문장.

1 소개

일본 전국시대 무장이자 다이묘.

주고쿠 지방의 모리 씨의 분가 코바야카와가 당주. 친아버지는 모리 모토나리모리가 3형제의 막내. 코바야카와 가문의 지파 타케하라 코바야카와 가문의 후사가 없이 제 13대 당주 오키카게(小早川興景)[2]가 사망하면서 코바야카와 가문으로 보내져서 대를 이었다. 나중에는 아버지와 오우치 가문의 개입으로 코바야카와 씨 종파(누다 코바야카와씨)도 계승을 가장하여 탈취하였다. 타케하라 코바야카와 가문 사람이 이름에 대대로 쓰는 글자인 '카게'(景)가 이름에 들어가고[3] 모리 가문에서 잘 쓰는 '모토'(元)는 이름에 없는데, 이는 장성하기 전에 이미 코바야카와 가문에 입적되었기 때문으로 원복해 '모리 모토하루'라는 이름을 쓰다가 다른 가문에 들어간 작은형을 포함해 다른 형제들과는 이름이 이질적이다.

둘째 형인 킷카와 모토하루(吉元春)와 함께 '모리의 두 강(毛利の両川)'이라고 불리며, 그 말 그대로 모리 가를 지탱하는 두 기둥으로 활약했다.[4] 주로 모리 가문의 수군을 인솔했다.

지모가 뛰어난 인물이라 맹장인 작은 형과는 어린 시절 눈싸움 할 때부터 스타일이 달랐다고 한다. 형 킷카와 모토하루가 무조건 왕뭉탱이로 날리면, 코바야카와 타카카게는 매복해있다가 날렸다고. 이를 지켜본 아버지 모토나리는 "용감한 모토하루는 용맹한 무장들이 많은 산인 지역에 배치하고, 지혜로운 타카카게는 정략이 많이 필요한 산요 지방에 배치하는 것이 좋겠다."라고 말하며 이에 따라 모리 료센(킷카와-코바야카와) 체제가 성립되었다.[5] 모토나리의 세 아들 중 가장 아버지를 닮았다고 볼 수 있는 인물. 그래서 게임으로 등장할때는 능력치도 무력만 더 높고 아버지의 마이너버전이지만, 아버지가 워낙 먼치킨이기때문에 아들도 훌륭하다.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전국 제패를 시작하자, 어찌어찌 교섭을 잘해서 모리 가문을 보전시켰다. 그뿐만 아니라 히데요시의 눈에 띄어 히데요시에게 영지를 따로 받아 독립적인 다이묘로 봉해졌고, 오대로의 반열에도 들었다.

임진왜란에 참가, 전쟁 초반부에 전라도[6] 금산군 일대를 빠르게 점령하고 이곳을 거점으로 삼아 전라도 지역의 공격을 맡았으나 이치 전투에서 권율의 방어에 걸려 실패했다. 이후 두차례에 걸친 금산성에 대한 조선군의 공격과 북에서 밀고오는 명군의 압박을 받는다. 1592년 8월 16일, 마지막으로 우척현 전투[7]에서 거창군을 통하여 진입하려다가 김면정인홍의 의병군을 만나 크게 패한다. 결국 코바야카와 타카카게는 전라도 진입을 포기하게 된다.

이후 명군의 물량에 밀린 고니시가 평양성에서 물러나자 일본군 수뇌부에서는 퇴각의견이 주된 의견였으나 고바야카와는 "여기서 그냥 물러난다면 아군의 사기도 떨어지고 적군의 기세도 올라서 오히려 큰 피해를 입을것."을 주장하며 명군과의 일전을 주장하였다. 그결과 나온 전투가 바로 벽제관 전투.[8]

1593년 2월 27일, 벽제관 전투에서 승리하면서 군에게 명성이 퍼졌다. 여담이지만 벽제관에서 명군이 후퇴하자, 서울 탈환을 위해 북상, 행주 산성에 주둔한 권율의 3천 전라도 병력은 갑자기 쭈구리 신세가 되었으며 승리로 승기가 오른 일본군은 이참에 함께 쓸어버리기 위해 공세를 계획했다. 그 결과물이 바로 행주 대첩. 1593년 3월 14일(음력 2월 12일), 행주 대첩 때에도 참전해서 그의 부대가 목책을 뚫고 들어오는 등 제법 선전했으나 조선군의 분전으로 결국 패퇴했다. 이후 낙동강의 수운을 장악, 통제하기 위해 지금의 부산광역시 구포 지역에 왜성을 쌓았고 이는 지금도 비교적 온전하게 남아 있다.

임진왜란 때 탁월한 전략-전술적 식견으로 꾸준히 조선군과 명군을 격파하며 정담, 고경명. 조헌, 영규 커리어를 쌓고있는 모습을 보여준다.ㅎㄷㄷ 금산에서는 강을 방어선 삼아 우주방어를 준비하던 조선군을 야습으로 쓸어버렸고, 1차 금산 전투에서는 불리한 가운데도 출성공격을 감행해 고경명의 조선군을 흩어버렸다. 2차에서는 조헌의 의병이 후속부대가 없고 수가 많지 않은것을 노려 야간에 출성해 포위망을 짜고 개다굴. 묘하게 권율과도 자주 붙었는데, 이치 전투에서 권율을 이기지 못했고, 행주 대첩에도 권율에게 패했다. 일단 권율의 통솔력은 매우 뛰어났고, 전투당시 일본군의 수가 적거나 권율이 지형상 이점을 활용할 수 있었던 점 등, 무운이 따랐다.

말년에 히데요시가 처조카인 코바야카와 히데아키로 모리 가를 잇게 하려 하자[9], 주가를 지키기 위해 조카 모리 히데모토를[10] 데루모토의 양자로 들이고 히데아키는 자신의 양자로 맞이했다. 이 과정에서 원래 자기의 양자인 막내동생 히데카네를[11] 파양했다.

코바야카와 타카카게는 정치와 지모가 뛰어난 인물로서 전국에 이름을 떨쳤는데, 히데요시는 '서쪽은 타카카게에게, 그리고 동쪽은 이에야스에게 맡겨두면 걱정할 것이 없다'고 했을 정도로 뛰어난 인물이었다. 또한 히데요시는 '이 일본에서 제대로 된 정치를 할 수 있는 인물은 타카카게와 나오에 카네츠구 뿐이다.'라고 했으며[12], 구로다 요시타카는 타카카게의 부고를 받고서 '일본의 마지막 현인이 죽었구나'라며 탄식했다고 한다.

2 기타 창작물

2.1 노부나가의 야망

小早川隆景.jpg
100만인의 노부나가의 야망
노부나가의 야망 창조

노부나가의 야망 시리즈에서는 아버지의 다운그레이드 판 능력치를 가지고 등장하지만 그 정도로도 충분히 A급 무장. 아버지를 제외하면 항상 가문 지모 1위를 놓치지 않는다. 천도 기준으로 통솔 87 무력 71 지력 92 정치 93에 특기는 천궁. 노부나가나 이에야스보다도 나이가 많은데 코에이 게임에서는 "삼형제중 막내"라는 이미지때문인지 항상 청년 일러스트로 등장하는 편.

2.2 전국무쌍 시리즈

코바야카와 타카카게(전국무쌍) 항목 참조.

소셜 게임인 백만인의 전국무쌍에서는 군배를 바이올린처럼 다뤄 선율을 자아낸다. 조카 모리 테루모토를 상당히 엄하게 다루는지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자 테루모토가 덜덜 떠는 이벤트가 있다.

2.3 그외

전국란스코바야카와 치누의 모티브가 되기도.

불멸의 이순신에서는 김시원[13]이 맡았다.

  1. 구글지도를 보면 미하라역 광장 뒤편에 三原新幹線駐車場이라고 되어있는 곳에 있다.
  2. 모리 모토나리의 조카사위다.
  3. '타카'(隆)는 이 시절 이 동네가 다들 그렇듯이 오우치 요시타카에게 받은 것.
  4. 두 성씨 모두에 내 천(川)자가 들어감에서 유래한 말.
  5. 이 때 큰 형 타카모토는 아버지와 함께 가만히 눈싸움을 지켜보고 있었는데, 모토나리는 그걸 보고 "자기도 끼고 싶었을 텐데 가만히 지켜보고 있었던 타카모토는 당주 자리에 어울린다."고 했다고 한다.
  6. 당시에는 전라도 였으나 갑오개혁, 을미개혁을 거치면서 충청남도에 편입되었다.
  7. http://ko.wikipedia.org/wiki/%EC%9A%B0%EC%B2%99%ED%98%84_%EC%A0%84%ED%88%AC
  8. 실제로 벽제관 전투에서 패전 이후 명군의 군사행동은 크게 위축되었고 외교적인 협상으로 정책이 바뀌었다.
  9. 당주 모리 데루모토에게 당시 아들이 없었다.
  10. 모리 모토나리의 4남인 호이다 모토키요의 아들이다. 호이다는 모토나리가 50 이후 측실에게서 얻은 아들로서 정실소생의 아들들과는 나이차이가 꽤 많이 난다.(20년정도)
  11. 모리 모토나리의 막내 아들로서 그의 나이 칠순이 넘어 본 늦둥이 of 늦둥이. 태어났을 때 큰형 타카모토는 이미 사망한 상태.
  12. 단, '하지만 타카카게는 용기가 부족하되, 카네츠구는 지혜가 부족하다'라고 덧붙였다.
  13. 태조 왕건수달(능창)역 배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