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無盡藏
양적 질적으로 엄청나게 많다는 것을 나타내는 말이다. 불교에서는 덕이 광대하여 다함이 없음을 나타내는 말로 쓰인다. 직역하면 ‘무진(無盡)’은 다함이 없다는 뜻이고 ‘장(藏)’은 창고이므로 ‘다함이 없는 창고’라는 뜻이 된다. 무진은 또한 잘 융화되어 서로 방해함이 없는 상태를 설명하는 말로, 원융무애(圓融無碍)와 같은 의미로도 쓰인다.
중국의 사원에는 무진장이라는 금융기관이 있었다. 남북조시대부터 사찰에서 신자들이 희사한 보시금을 자본금으로 하여 서민들에게 낮은 이자로 돈을 대출해주는 일을 하였는데, 당나라 때부터는 교단 차원에서 이를 운영하였다고 한다.
요즘은 '아주', '엄청나게' 정도의 뜻으로 쓰인다.
1.1 무진장 스님
파일:Attachment/mujinjang.jpg
한국 스님 중에 법명이 '무진장'이신 분이 있다. 젊을 적 당대 거목이었던 동산 스님을 모시고 수행하셨던 훌륭하신 스님이다. 무진장 스님이시던 시절에는 위화감이 없는데, 연세가 들어 큰스님으로 불리기 시작하면서 무진장 큰스님이라는 기묘한 법명이 되어버렸다.(...) 동산스님 관련 책에 따르면 무진장 스님이 이런 법명을 얻은 계기는 부산 범어사 대웅전 기둥에 걸어 둘 주련[1] [2]을 제작하는데, 주련을 새길 사람이 없어 하는 수 없이 무진장 스님께 맡겼고, 무진장 스님은 목공 경험이 적음에도 연필 깎는 커터칼(...)로 온 힘을 다해 이 주련을 완성해 냈다. 덕분에 탈진해서 방에 눕게 되었는데, 이 때 찾아온 동산스님이 네 재주가 무진장이라며 치하했다고. 이후 본래 쓰던 법명인 혜명 대신 이 무진장을 쓰셨다고 한다. 책벌레이며 책 외의 다른 것은 꼭 필요한 것(옷 세 벌)을 제외하고는 없어서 '칠무 스님'이라는 별칭을 얻었다.(그래서 나갈 일이 있으면 대중교통을 이용)
조계사에 계셨으며 2013년 9월 9일에 동국대 일산병원에서 입적하셨다. 세수 82세, 법랍 58년. 돌아가신 분의 극락왕생을 빌자. 추모영상
2015년 현재 조계종 내부에서 온갖 잡음이 들리면서 무진장 스님의 정신을 기리자는 여론이 있다. #
2 茂鎭長
전라북도의 무주군, 진안군, 장수군을 일컫는 말로 경상북도의 BYC와 맞먹는 오지이며 그만큼 안습했다. BYC는 지금도 안습이다 1번 항목과 연관시켜 "무진장 가난하다"고도 한다. 그래서 그런지 아직까지 철도가 없다.[3]
그나마 고속도로(대전통영고속도로, 익산포항고속도로, 광주대구고속도로)가 있는 걸로 위안을 삼아야 할 지경인데 BYC는 고속도로조차 하나도 없다.[4]
겨울에는 이 지역에 눈이 위 1번 항목처럼 무진장 많이 온다고 한다. 특히 무주리조트는 대한민국 남부지방에 있는 유이한 스키장이기도.[5] 덕유산 무주구천동에 눈이 무진장 내렸다 하면 봄이 와도 녹지 않았다 카더라. 킬리만자로?
전라도의 다른 지역들과는 달리 금강 수계인 곳이기도 하다.(진안군, 장수군 일부 제외)
이 지역을 운행하는 군내버스 회사 사호(社號)가 무진장 여객이다.
완주•진안•무주•장수 선거구를 언론에서도 완진무장으로 줄여부른다. 그냥 완주·무진장이라고 하던데...
2.1 현재
그러나 2016년 현재 시점에서, 위의 내용은 다 쌍팔년도 얘기고 고속도로가 들어서서 교통이 원활해져서 무주의 경우 대전에서 1시간 미만으로 도착할 수 있고 서울에서는 2시간 반 정도면(안 막힌다면) 가능하다.[6] 하지만 군내버스는 인구가 줄어서 폭망... 지옥 대전-진주간 고속도로 개통 초기에 지역언론인 전주MBC는 무진장지역이 대전생활권이 되는 것이 아닌가 우려하는 특집 보도를 냈을 정도로, 특히 무주읍은 대전까지 고속도로로 접근이 가까워지면서 대전에서 금산읍가는 시외버스보다 소요시간은 오히려 10분 빠르고 고속요율 적용으로 요금은 차이가 나지 않는 상황이 되었다. 게다가 전주 방면으로는 26번 국도 확장으로 진안에서의 교통은 좋아진 편. 또한 충북 영동에서 무주 적상면까지 19번 국도는 4차로 도로로 확장되었으며 또한 무주읍에서 진안읍까지 현재 4차선 확장공사가 진행 중이다. 정작 익산포항고속도로는 무진장 지역을 지나감에도 불구하고 현지 주민이나 버스의 이용은 거의 없고 경상도행 화물이나 승객운송에 영향을 미친 듯... 그런데 10년이 더 지난 마당에 인구가 이미 줄대로 줄어서 우려했던 빨릴 생활권 자체가 없는것 같다.
외지인들이 보기에는 생활권이 대전이나 전주으로 흡수된다고 보는데 실제 주민들에게 있어서는 무주-진안-장수 자체가 하나의 생활권이다. 사실 넓게 봐도 대개 전주의 영향을 받는다.[7] 물론, 무주 북부권 일부는 대전이나 금산, 장수 남부권의 경우 요천을 따라 운봉과 남원의 영향을 받는다고 볼수있으나 실제 교류 패턴은 장수-남원을 제외하면 미미하다. 영동 용화 주민들이나 금산 남이 인근 주민들은 무주읍이나 설천쪽에서 교류가 있는 편이다.
인구가 줄대로 줄어 군내 농어촌버스는 적자와 감차로 인해 여러 행선지를 한번에 도는 운행을 하고 있으며 직행버스는 고속도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승객이 적어 국도로 여러 곳을 들러 운행하고 있다. 전주에서 무진장을 다니는 직행버스는 전부 국도 경유로 무주행 차량은 2시간에 가까운 운행시간에 만원에 가까운 요금을 받을 정도이다. 직행이면서 '고속'버스인데 시내버스급 차량이 전주에서 구천동까지 다니는 경우가 많지만 승객도 적으니 오히려 운행하는게 다행인 듯...
여전히 타 지역과의 격차는 존재하겠지만, 위에서 서술해 놓은 듯한 두메산골 정도는 아니고, 일반적인 군 단위 동네나 다를 게 없다. 무주에서는 매년 6월마다 반딧불 축제 같은 큰 축제도 개최하고 있으니, 관광삼아 가보면 발전상을 느낄수 있을 듯. 반면에 BYC는...
그래도 전국적으로도 산업화 혜택을 덜 받은 전북 내에서조차 혜택을 못 받은 곳임은 확실하다.
무진장 소방서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