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 |||||
5호선 | |||||
방화 방면 마 곡 | ← 1.2 km | 발 산 (515) | → 1.1 km | 상일동, 마천 방면 우장산 |
鉢山驛 / Balsan Station
발산역 | |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Balsan |
한자 | 鉢山 |
중국어 | 钵山 |
일본어 | パルサン |
역번 | |
서울 지하철 5호선 | 515 |
300px 서울 지하철 5호선 승강장 크게보기 | |
300px 역안내도 크게보기 | |
주소 | |
서울특별시 강서구 공항대로 지하 267 (舊 가양동 967-3) | |
서울 지하철 | |
운영기관 |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
5호선 개업일 | 1996년 3월 20일 |
1 개요
서울 지하철 5호선 515번. 서울특별시 강서구 공항대로 지하 267(舊 가양동 967-3번지) 소재.
2 역 정보
강서구 북부지역의 중심지 역할을 맡고 있는 역이며, 살인적인 급커브가 있는 승강장을 갖고 있는 역으로 악명이 높다.
유독 사고가 잦은 역이라서 한 반에 공익근무요원이 4명이나 배치되어 있다. 2010년 일어난 사고로 스크린도어와 열차 사이에 몸이 끼인 채로 열차가 출발하여, 만취한 승객이 선로에 추락해 중상을 입은 사건이 있었다.
2.1 승강장
마곡 ↑ | |||
하 | ㅣ | ㅣ | 상 |
↓ 우장산 |
상 | 서울 지하철 5호선 | 마곡·김포공항·개화산·방화 방면 |
하 | 서울 지하철 5호선 | 우장산·신길·답십리·상일동·마천 방면 |
3 역 주변 정보
역 주변은 임대아파트가 많지만 우장산 힐스테이트 등과 같은 일반분양아파트도 존재한다.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는 지역인데다가 강서구 주간선도로인 공항로가 지나가는 터라 많은 간선버스들이 발산역을 지나간다. 특히 경기도 버스(특히 김포쪽)를 서울 버스보다 자주 볼 수있다. 인천 버스도 오지만 300번 좌석버스 노선 하나에 배차간격이 30분이라 서울버스보다 보기 힘들다. 하지만 인천 버스는 7월 30일 이후로는 더 이상 오지 않는다.
발산역 서쪽 지역은 한마디로 허허벌판이었으나, 마곡지구 개발이 시작되면서 신축 오피스텔들이 들어섰다. 이화여대 마곡병원이 8번 출구 인근에 들어설 예정이다. 발산역 동쪽지역은 아파트단지와 빕스[1]와 아웃백 등이 자리잡고 있다. 발산역 2 ~ 6번 출구 쪽은 지하철 출구와 지하인도를 겸하여 사용되고 있다. 자체 출구는 1번과 7~9번으로 (2015년 이전 기준)허허벌판에 몰려 있는데 지하보도와 역이 연결된 게 1999년. 그 전에는 정작 사람들이 몰려사는 발산역사거리 동쪽에는 출구가 하나도 없어서 불편하기 짝이 없었다.
발산역 3번 출구라는 웃찾사 코너의 배경이기도 했다. (9호선 개통 이전에는 SBS 등촌동 공개홀에 가려면 이 역이 가장 가까웠다.) 역 내가 꽤 넓은 편인데 1번 출구와 9번 출구를 제외하면 모두 붙어있어 중앙의 갈림길이 매우 넓어 장사를 많이 한다.
주변에 유명한 곳으로는 KBS 스포츠월드와 NC백화점 강서점이 있다. 그리고 명덕외고가 있다.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갈산역과 혼동하지 않도록. 또한 반대편 승강장 횡단도 불가다. 다만 휠체어 출입구를 이용해서 건너갈 수 있으며 만일 잠겨 있을 경우 근처에 역 직원이 상주 중이니 부탁하면 열어 준다.
4 일평균 승차량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13,365명 | 14,562명 | 14,041명 | 13,847명 | 13,495명 | 14,643명 | 15,261명 | 15,371명 | 15,000명 | 13,436명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10,698명 | 10,931명 | 11,005명 | 10,922명 | 10,986명 | 11,195명 |
- ↑ 1997년에 이 곳에서 처음으로 개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