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틀필드 4/DLC

배틀필드 4 멀티플레이어 관련 정보
병과 및 보병장비차량지휘관게임 모드
위장과 도색도전과제포상계급DLC

1 개요

배틀필드 4의 DLC 5종과 이후 업데이트들을 다룬다.

만약 배틀필드 4를 처음 하는 프리미엄 구매 유저라면, 배틀필드 4는 스팀처럼 게임 다운로드를 할 때 DLC까지 전부 설치해주는 건 아니므로, 내 게임 - 배틀필드 4 우클릭 - 게임 정보 보기 - 확장팩에 나열된 DLC들을 전부 설치한 뒤에 게임을 플레이하자.

만약 DLC를 설치하지 않은 채 DLC 맵이 선택된 서버에 들어가려 하면 DLC 설치가 필요하다는 안내문이 뜨면서 게임에 접속할 수 없다.

2016년 8월에 배포된 차이나 라이징을 마지막으로, 5개의 유료 DLC가 모두 무료로 배포되었다. 최종적으로 9월 19일까지 5개의 DLC가 모두 무료 배포된 뒤 종료.

2 차이나 라이징 China Rising 1048576.gif

Xpack_01_detail.png

메이드 인 차이나 예약구매 유저들에게 무료 제공된 DLC.

2013년 12월 17일 출시. 프리미엄은 12월 3일부터 선행 플레이가 가능했다. 2016년 8월 무료로 배포되었다.

  • 중국 본토를 배경으로 삼는 4개의 맵
    • 구이린 봉우리
    • 용의 길
    • 실크 로드
    • 알타이 산맥
  • 5종의 보병 무기
    • L85A2 : 돌격병 전용.
    • MP7 : 공병 전용.
    • RPK-74M : 보급병 전용.
    • L96A1 : 정찰병 전용.
    • MTAR-21 : 전 병과 공용. 카빈.
  • 2종의 보병 장비
uacv_fancy.png
  • UCAV : 보급병 전용
보급병이 원격 조종 할수있는 무인 전투 항공기(Unmanned Combat Air Vehicle) 로 정찰및 화력지원이 가능하다.
BF4_SUAV.png
  • SUAV : 정찰병 전용
정찰병이 원격 조종 할수있는 소형 무인 항공기(Small Unmanned Air Vehicle) 로 정찰 및 레이저 지정이 가능하다.
  • 2종의 탈것
    • 더트바이크
    • 폭격기: 직접 운전하는 건 아니고, 원격으로 폭격 지시만 한다. 웃긴게 있는데 폭격지휘소에 적이 들어가있는 상태에서 계단 약간 위쪽을 제세동기로 지지면 사살점수가 뜨면서 적 시체가 뿅하고 나타난다! 장비등에 탑승한 플레이어는 사실 실제로 장비 모델링 내부에 들어가 있는 것인데, 폭격지휘소 같은 경우는 계단 위쪽에 병사가 투명화(...)돼서 들어가 있기 때문에 거기로 제세동기의 타격 판정이 들어가서 생긴 괴현상이다(...)
  • 새로운 게임 모드
    • 제공권
차이나 라이징의 맵들은 배틀필드4의 핵심 요소인 Levolution이 적용되어있지 않은데 게임 파일을 통해 밝혀진 결과 눈사태, 모래폭풍, 안개가 끼는 등의 변화가 예정되어 있었다. 그러기에 추후 패치로 수정될지도 모를 일이었지만.... 링크에 따르면, 차이나 라이징의 맵 디자이너 曰 "레볼루션은 애초에 준비한 게 없다"고 하여 차이나 라이징은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너게 되어버렸다... 묵념.

3 세컨드 어설트 Second Assault 524288.gif

Xpack_00_detail.png

엑스박스 원 유저들에게 독점적으로 2013년 11월 22일에 선행 제공됐던 DLC. 나머지 플랫폼은 2014년 3월 4일 공식 출시됐고, 프리미엄 멤버는 2월 18일부터 먼저 플레이할 수 있었다. 2016년 6월 무료로 배포되었다.

  • 4개의 맵
    • 메트로 작전 2014 대체 왜...
    • 오만 만 2014
    • 카스피해 접경지역 2014
    • 파이어스톰 작전 2014
  • 5종의 보병 무기
    • F2000 : 돌격병 전용.
    • AS VAL : 공병 전용.
    • M60-E4 : 보급병 전용.
    • GOL Magnum : 정찰병 전용.[1]
    • DAO-12 : 전 병과 공용. 산탄총.
  • 1종의 탈것
    • 지게차 (스키드 로더 Skid Loader) [2]
  • 새로운 게임 모드
    • 깃발 쟁탈

배틀필드 2의 맵이였고, 3에서는 DLC로 추가되었던 오만 만을 제외하고는 모든 맵들이 배틀필드 3에 등장했었던 맵이며, 여러군데 손 보고 Levolution을 추가했다.

유저들은 메트로 작전이나 파이어스톰 작전보단 그랜드 바자르센 강 도하가 더 좋았을거란 반응이다.
메트로 작전이야 러시용으로 넣었다 치더라도 파이어스톰 작전은 Levolution 만들기가 쉬워서 대충 넣은 것 같다는 평. 그나마 그 레볼루션마저도 별로다.

4 네이벌 스트라이크 Naval Strike 2097152.gif

Xpack_02_detail.png

어떤 버그를 만들지 기대했더니 이번엔 발매를 늦추는 버그를 만들어냈다...

해상전을 컨셉으로 한 DLC. 모든 맵이 섬과 바다를 배경으로 삼았다. 3월 31일 프리미엄 멤버를 대상으로 플레이가 가능해졌다. 비 프리미엄 멤버는 2주 후인 4월 13일부터 플레이가 가능했다. 2016년 7월 무료로 배포되었다.

  • 4개의 맵
    • 구포 작전
    • 난사군도 공습
    • 로스트 아일랜드
    • 방파제
  • 5종의 보병 무기
    • AR-160 : 돌격병 전용.
    • SR-2 : 공병 전용.
    • AWS : 보급병 전용.
    • SR338 , 정찰병 전용. 저격 소총 범주인데도 반자동 소총이다! 성능은 역대 배틀필드 시리즈를 통틀어 최악]
    • SW40 : 보조무기(리볼버). 전 병과 공용. 이름과는 달리 스미스 & 웨슨과는 전혀 관련이 없고, 이탈리아의 Chiappa Firearms(기아파 파이어암즈)사의 Rhino계열의 리볼버이다. Rhino 40DS로 보인다.
  • 2종의 보병 장비

m320_fancy.png

  • M320 3GL : 돌격병 전용
유탄을 3연발로 발사할수있는 돌격병 전용 장비. 일반 고폭탄보다 위력과 방사범위는 줄어들었지만 다수적들을 상대하거나 엄폐물 파괴하거나 다수적들에게 동시에 제압을 거는데 효과적인 무장이다. 공격력이 매우 낮아서 사살하긴 힘들지만 제압을 통해 아군에게 도움민폐을 줄 수 있다. 쓰는 사람을 거의 볼 수가 없는데 이유야 당연히 성능이 쓰레기(...) 굳이 사용법을 찾는다면 폭발물 처리정도?

185px-BF4_Anti-Air_Mine.png

  • 대공 지뢰 , 공병 전용
레이더와 미사일 발사기가 한 세트인 지대공 미사일을 발사하는 대공지뢰로 공병 전용 장비. 설치 시 반경내 항공기를 감지해 지대공 열추적 미사일을 발사하며 효과적으로 항공기의 기동력을 손실시킬수있으며 주요 목표 방어, 저공 비행 항공기 감지 및 견제 등 여러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출시 직후에는 SMAW나 RPG등 대전차무기와 함께 사용이 가능했으나 패치후 단독으로만 사용이 가능해지면서 쓰는 사람이 거의 없었었다가 커뮤니티 오퍼레이션 패치때에 다시 사용가능해졌다.
  • 새로운 게임 모드
    • 캐리어 어썰트: 배틀필드 2142의 타이탄 모드를 재구성한 것으로, 현대전에 맞게 타이탄이 강습상륙함으로 바뀌었다.

차이나 라이징마냥 Levolution을 잘라먹진 않을까 염려한 플레이어들이 많았으나, 다행히도 4개 맵 전부 메인 Levolution을 갖고 있다. 스케일이 쥐꼬리만하고 심지어 난사 군도 맵의 경우엔 약간의 악천후가 전부지만

3월 19일 네이벌 스트라이크의 트레일러가 공개되었다. 3월 25일 PC판 네이벌 스트라이크의 발매가 4월 초로 연기되었다, 이유는 버그를 발견해서라고. 그런데 발매 몇시간을 앞둔 상황에서 고지되어 유저들의 분노를 샀다.

DLC 자체는 꽤 호평받는다. 맵 디자인을 DICE답지않게잘 밸런싱 했다는 평. 발매 전 파라셀 폭풍 + 파라셀 폭풍화맵 4개 = 똥망이란 우려가 많았다는 점을 생각하면 정말 잘 나왔다. 단, 케리어 어썰트는 배틀필드 2142의 타이탄 모드를 생각하던 올드팬을 많이 실망시켰다. 확실히 타이탄 모드에 비해 밸런스도 안 맞고 다이나믹하지도 않다.

그외에 나름 해전중심이라고 대형스케일을 기대했던 사람들은 RCB하고 DV-15만 2개정도 밖에 없는것을 확인하고 실망한 경우도 매우많다. 고치라는 버그는 안고치고 이스터에그를 넣었다

5 드래곤즈 티스 Dragon"s Teeth 4194304.gif

DT_Expanded_Cover_Art.png

중국풍으로 리메이크한 배틀필드 테마가 인상적이다. 사족이지만 트레일러의 나레이션 내용을 잘 들어보면 "차이나 라이징" DLC에서 미국을 상대로 절치부심하여 야심차게 승리를 거두겠다는 각종 명언과 각오가 철철 넘치는 내용이 "드래곤즈 티스"로 넘어와서는 스토리상 미국에게 털렸다라는 것이 기정사실화 되는듯 하다. 안습.드래곤즈 티어 근데 평양도 미군이 온거보면 3대 세습 뚱땡리우스도 어쩌면 죽거나 아니면 어디로 도망칠수있다는 가능성도 있다 올레 차이나 라이징에서는 포스넘치는 중국어로 말했으면서 왜 여기선 굳이 영어로 말하는지는 불명

시가전을 컨셉으로 삼은 DLC. 프리미엄 유저의 경우 2014년 7월 15일, 일반 유저의 경우 2014년 7월 28일 출시. 2016년 5월 4일, 해당 DLC를 유통사인 오리진에서부터 무료로 제공해주었었으며, 현재는 다시 가격을 두고 판매중이다.

  • 4개의 맵
    • 룸피니 가든 [3]
    • 성큰 드래곤
    • 펄 마켓
    • 프로파간다 [4]
  • 5종의 보병 무기
    • SRSS Bulldog : 돌격병 전용. [5]
    • MPX : 공병 전용 [6]
    • CS5 : 정찰병 전용. [7]
    • DEagle .44 : 전 병과 공용. 보조 무기. [8]
    • Unica 6 : 전 병과 공용. 보조 무기. (리볼버)
  • 2종의 보병 장비

150px-Shield_fancy.png

  • 방탄 방패 : 보급병 전용

보급병이 사용할수있는 방탄 방패로 대부분의 보병의 소화기 공격을 막을 수 있다. 보병의 소총의 피해를 막을수있으나 폭발에 대한 피해에는 취약하며 전면 관측창부분은 폭발,저격,산탄에 의한 피해로 무력화 되기 십상이다. 방패를 사용할경우 다른 무장은 사용할 수 없지만 방패를 사용해 근접 공격을 할수있고 아군 보병들에게 엄폐물로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정식발매전 CTE에서 무기밸런싱 테스트를 했을때 방탄방패로 맞으면 한방이었다. 그러다보니 개나소나 방탄방패 들고다니며 트롤링을하기에 포풍하향(...).

rawr_fancy.png

  • RAWR : 노획무장

드래곤즈 티스의 전장에서 활용가능한 원격 보조 무장 로봇 (Remote Assisted Weaponized Robot). 노획무장이며 적 사살을 위한 M240B 경기관총과 제압을 위한 M320 3GL,전술조명을 장착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열화상 화면이며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통해 3배율 확대가 가능하다. 무인기이기 때문에 매우 작은 크기이고 피탄 면적이 작고 날렵하며 체력도 500이나 되기 때문에 적 보병을 효과적으로 상대할 수 있다. 작아서 보이지 않을 것 같지만 안테나쪽이 주황빛으로 반짝거리기에 못보기가 힘들다.

  • 새로운 게임 모드
    • Chainlink. 평범한 컨퀘스트보다 작은 맵에서 여러 점령지를 둔다. 한 점령지를 점령한 후 그곳에 가장 근접한 곳을 점령하면 링크가 되어 적들의 티켓 감소속도가 빨라진다.

사족으로 프로파간다 맵의 배경은 다름아닌 평양이다!!! 링크를 보면 얼마나 흡사하게 구현했는지 볼 수 있다.

지상락원을 파.괘.할 수 있음이 기정사실화가 되었다 이렇게 된 이상 평양으로 간다!

링크

새로 추가되는 인식표들링크 이 떡밥을 품고 있다. 외계인과 핵폭탄인데, 어쩌면 Levolution이 핵폭발이 될 수도 있다. 콜 오브 듀티: 고스트의 ODIN마냥 맵을 아예 바꿔버리는 Levolution이 될 것이라고 추측하는 플레이어들이 있었지만 DLC 발매후 물론 그런거 없다.

2016년 5월 7일에 무료배포를 하였다.

6 파이널 스탠드 Final Stand 8388608.gif

배틀필드 4의 마지막 DLC. 프리미엄 유저 한정으로 2014년 11월 18일 출시되었다. 일반 유저는 2주 뒤인 12월 2일에 출시되었다.

근미래전을 주제로 둔, 배틀필드 2142와의 연관성이 매우 짙게 묻어나는 DLC다. 즉, 이 DLC가 공식설정으로 인정될 경우 배틀필드 4의 122년 후가 2142의 세계다.[9][10] 세컨드 어썰트와 더불어 미군이 박살내는 것으로 연출된 트레일러. 이후 커뮤니티 오퍼레이션과 레거시 오퍼레이션까지 미군이 다해먹는다

2016년 5월 19일부터, 유통사인 오리진에서 해당 DLC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드레곤즈 티스를 무료 배포한지 한 달이 안되서 두 번째로 무료 DLC를 제공하고 있다. 무슨 마약하시길래 이런생각을 했어요

2016년 6월 22일 또 세컨드 어썰트를 무료배포하며 세번째로 DLC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태평양표준시 5월 17일부터 5월 24일까지 무료로 풀린다. 가서 집어가자!프리미엄은 눙물만

    • 격납고 21
    • 카렐리아의 거인
    • 해머헤드
    • 화이트아웃 작전: 배틀필드 2142의 PAC 호버탱크 프로토타입이 등장한다. 러시아군 소속인 주제에 모델링은 호버링하는 Strv-103.역시 스웨덴 회사다.
  • 보병 무기
떡밥이 된 팬텀 프로젝트와 관련된 무기가 나올 것으로 예상되었고 이는 결국 맞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배틀필드 3의 석궁(크로스보우)처럼 화살촉을 교체할 수 있는 컴파운드 보우인 "팬텀"이 추가된다. 또한 배틀필드 프렌즈에 나온 조크인 양각대 대검(Bipod Knife), "C-100"[11]이 추가되었다. 이오텍도 달아주지[12]#
  • 1종의 보병 장비

BF4_DS3.png

  • DS-3
모든 병과 사용 가능 가젯으로 등장하며 던지고 난 후 몇 초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상대의 미니맵에 가짜 보병 아이콘을 표시시켜 혼란을 준다. 또한 점령지 주변에서 사용할 경우 상대팀 HUB에 적군이 점령지를 점령 중이라고 뜨기 때문에 잘만 이용하면 상대팀에 큰 혼란을 줄 수 있다. 도전 과제 "허위 정보" [13]를 달성하면 해금가능.
  • 2종의 노획 무기

BF4_Rorschx1.png

  • Rorsch Mk-1
표지에 돌격병이 들고 있는 무기로 레일건이다. 단발식 화기로 보병은 한 발로 침묵시킬수 있으며 차량도 피해를 받는다. 전투기는 두 발, 수송헬기는 다섯 발이라는 말도 안되는 데미지를 자랑하며 폭발데미지 덕분에 기체가 안 터져도 탑승인원들이 죽어나가는 괴물같은 병기. 게다가 헬기는 한 대 맞으면 무조건 기동 불능이다. 낙차도 없고 탄속도 3600m/s라는 무식한 수치를 자랑한다. 관통력은 얼마나 괴물인지 전차에게도 데미지가 들어간다. 단점은 길디 긴 장전시간과 눈에 보이는 파란색 조준 레이저, 그리고 가장 치명적인 것으로 사격 전 1~2초의 충전시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동안 타겟을 크로스헤어에 일치시켜 주어야 한다. 괴물같은 탄속을 가지고 있지만, 먼 거리에서 빠르게 움직이는 적을 맞추려면 아주 약간의 리드샷도 필요하다. 사기급 무기 중에서도 최정상급으로 군림하고 있으며, 노획무기의 성능이라는 것을 매우 잘 보여준다. 단점이라는 충전과 재장전 시간도 오히려 손맛을 늘려주는 요소로 작용할 정도. 참고로, Rorsch는 배틀필드 2142의 고정식 레일건 포대를 제작하는 업체다. 재장전이 이렇게까지 흥분될줄은 몰랐군

BF4_XD1.png

  • XD-1 액시피터.
미니건을 탑재한 무선 조종 장비로 MKV라는 미사일 요격 장비가 모티브. 보병을 잡을 수도 있고 미사일에도 락온할 수 있다. MAV와 비슷하지만 UCAV같이 비행 시간에 제한이 있다. 성능은 뭐니 이게. 사기성을 레일건에게 몰아주었습니다 미니건은 미니건인데 장비 크기가 크기인지라 초소형 콩알탄을 갈기는건지 쏴갈겨봐야 헬기는 미니건으로 잡기엔 너무 튼튼하고 보병은 잡히지도 않는다. 그렇다고 가까이서 쏴보자니 이녀석 내구도가 너무 낮아서 뭘 맞아도 금방 터진다. 소총류는 그냥 한방. 권총으로도 두세발 맞으면 터진다. 그런놈이 파파파팟 거리면서 시끄럽게 소리를 내는데다가 뭔가 계속 터져나가고 있으니 눈에도 엄청 잘띈다. 탄수가 무한인게 장점이긴 한데 어차피 과열되는데다가 허공에 탄뿌리다 금방 격추당하니 무의미. 그래도 이 녀석의 존재 가치는 아예 전무한건 아니다. 구석에 쳐박혀서 저격으로 아군을 괴롭히는 똥싸개들을 포착, 사살하는것이 이 녀석의 임무다. 저격소총 특성상 이 녀석에게 걸리는 그 순간 제압이 걸려 제대로 대응을 못하고, 권총을 꺼내드는 사이 갈린다.
  • 탈것
  • HT-95 Levkov : 배틀필드 2142에 등장하는 PAC 호버탱크의 원형이 되는 선행양산형 시제품이다. 기동성은 나쁘지 않지만 포탑이 차체와 일체형이라 조준이 굉장히 힘들다. 쉽게말해서 호버링 구축전차. 또한 소음이 다른 전차에 비해서 크기 때문에 위치를 노출당하기 쉽다. 운용방법은 일반적인 전차처럼 우직하게 화력을 받아내고 쏟아붓는게 아니라, 그 특유의 기동성을 이용하여 쉬지 않고 돌아다니며 화력지원을 쏟아주는것. 도색과 해금장비는 MBT의 것을 공유한다.
  • 스노모빌 : 맵을 빠르게 돌아다닐 수 있는 스노모빌이다. 기동성이 너무 좋은 나머지 심심하면 공중 부양을 시전한다. 아무리 높게 점프하더라도 눈에 착륙하면 멀쩡하지만 돌에 착륙하면 폭발한다. 돌에 떨어질것 같으면 탈출하자. 스키 점프 관련 도전과제가 존재.
  • 1종의 총기 부착물

BF4_TDD.png

  • 목표 감지기
목표 감지기. 카빈, DMR에만 장착할수있는 총기 부착물로써 자신의 시야방향으로 좁은 부채꼴 영역의 적을 스팟해준다. 그리고, 사정거리 제한이 없어서 조준만 하고있으면 맵 끝에서 돌아다니는 적군까지 스팟 가능하다. 탐지 약장 2개 달성, DMR/카빈으로 20킬을 하는 도전과제 "아이 스파이"를 달성하면 해금가능.
  • 2종의 거치 무기

BF4_Sc42.png

  • SCHIPUNOV 42
거치식 산탄총으로서 메탈 스톰이 연상된다. 보병 잡기가 매우 수월하지만 기갑차량엔 피해를 입힐 수 없고 탄 궤적이 엄청나게 눈에 띄인다. CTE 알파에선 맞추기만 하면 맵 반대편에 있는보병도 죽이고 차량 종류와 상관없이 뒤집어버리는[14](...) 사기 무기였으나 베타에서는 고쳐져서 대미지를 줄 수 없게 되었다. 다만 헬기나 항공기에는 유효한 공격 수단. 보병도 꽤나 잘 잡지만, 거리가 조금 멀다고 생각되면 마음을 비우자(...).
  • 포드 런처 : 배틀필드 2142 APC와 타이탄에서 사용 가능하던 포드 런처의 시제품이다.

이외에 폭격기가 등장하는 맵이 있는데 파이널 스탠드의 모든 맵이 미국 대 러시아 구도이므로 B-1B와 함께 Tu-160이 등장한다...는 이야기가 있었으나 사실은 중국의 H-6K를 복붙해온 것이다(...). 사실상 Tu-16이 등장하는 격(...).다이스 이놈들이

개발진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DLC에서 등장하는 호버탱크, 레일건 등은 개발 완료단계가 아닌 시제품이다. 배틀필드 2142와의 연관성을 두고 싶어하는듯. 실제로 레일건의 이름인 Rorsch는 2142의 고정식 무기의 제조사 이름과 같으며 맵 상에서 2142의 진영 중 하나인 PAC: 범아시아 연합의 로고를 찾을수 있다.

팬텀 프로젝트의 떡밥이 서서히 풀리고 있다. 격납고 21 에서 어떤 엘리베이터를 탑승하면 포스필드로 막혀있는 숨겨진방으로 이동 할 수 있는데 조건이 맞지않으면 그 방에 도달하지 못하고 엘리베이터에서 끔살 당한다. 이 방에서 팬텀보우를 획득 가능하다!

방에 도달하기 위한 조건
1. 팬텀 과제를 모두 완료(팬텀 대원 빼고)
2. 4명 모두 다른 파이널스탠드 맵에서 발견할 수 있는 독택, 팬텀프로스펙트 독택 착용
3. 팬텀 위장색과 팬텀 무기 위장색을 착용

파이널 스탠드 맵을 뭣빠지게돌아다니다 보면 아주 조그마한 흰색, 갈색 상자를 발견할 수 있는데 그 상자를 부수면 그 안에서 독택을 획득 할 수 있다. 이렇게. 주의할점은 정말 찾기 힘들다는 것이다. 멋모르고 독택찾기에 뛰어들다가는 시간은 시간대로, 스킬은 스킬대로 날려먹고 멘탈이 가루가 되기 십상이다. 박스는 구경도 못하고 있는데 쓰륵쓰륵 소리만 계속 듣다보면 정말 찾을맛 안난다.

유저들의 말에 의하면 MAV, PLD나 IRNV스코프로 보면 길쭉한 사각형 모양의 박스가 "흰색"으로 보인다. 화이트아웃 작전, 해머헤드만 해당되며 인식표는 5~15분 간격으로 하나씩 스폰되고, 또 도그택 스폰지점 근처에 사람이 있으면 그 지점에서는 생기지 않는 듯. 누군가 인식표를 획득하면 "쓰륵"하는 전자음이 작게 들림.

인식표의 위치는 파일:I1bTjD7.jpg

각자 맵에 맞는 독택이 나온다. 즉, 4개를 다 얻을려면 맵 4개에서 찾아야된다는말.
하지만 단순히 팬텀보우를 얻기위한 거라면 하나만 얻어도 된다. 엘레베이터를 안전하게 탑승하려면 4명이 각자 다른 독택을 "착용"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
이 자료 이외에도 현재 계속해서 발견되고 있다고.
굳이 독택을 찾는다면 일반 게임에서 하지 말고 dogtag, final stand dogtag 등으로 검색해서 나오는 노킬룰의 외국서버를 이용하자. [15]

유튜버 jackfrags 가 엘리베이터에 탑승하는 영상을 올렸다! 하지만 숨겨진 방에 도착은 했으나 포스필드를 해제하는 비밀번호를 알수가 없어 발길을 돌렸으나....

결국 찾아냈다. 비밀번호는 1290-429-397648-970. 역시 덕중의 덕은 양덕 또한 이곳에서 "팬텀대원" 과제를 해제가능하다.

하지만 현재는 이 뻘짓방법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데 아웃브레이크 작전 맵에서 그냥 주우면(...)바로 언락된다. 하지만 독택을 얻고 싶다면 이 방법뿐.

다이스 직원의 말로는 팬텀룸 뒤에 문이 하나더 있는데 그 문은 아직 열리지 않는다고 한다. 또다른 팬텀프로젝트의 떡밥인것.

하지만 이 도전과제들을 완수하려면 정말 엄청난 시간과 노력이 드는것에 비해서 팬텀보우는 정말 쓰레기 수준. 일단 주무기 슬롯을 차지하는것도 가장 큰 문제이고 3때 석궁과 비교하면 게임안에서 화살 종류 변경이 불가능한점, 석궁이 아니라 컴파운드 보우여서 바로 발사가 아니라 활 시위를 당기는 모션을 해야 돼서 갑자기 조우한 적을 대처하기가 불가능에 가깝다는점(부무장으로 스왑해서 쏴야하는데 이미 스왑하기도 전에 적 유저가 초보가 아닌이상 누워있는 캐릭터를 볼수있다), 4에서 업그레이드된 궤적 시스템으로 화살이 날라가는게 엄청나게 잘 보여서 적들한테 역관광 당하기 쉽다는 점..... 이외에도 만렙이 140으로 확장된다.

7 무료 추가 콘텐츠

400px
어째선지 러시아 정찰병이 SV-98을 버리고 M40으로 전향했다?

파이널 스탠드로 배틀필드 4의 마지막을 장식할 줄 알았던 유저들을 깜짝 놀라게 한 현재진행형 떡밥.

최근 드래곤즈 티스와 파이널 스탠드를 제작한 다이스 LA에서 6번째 DLC에 대한 유저들의 질문에 여러가지 떡밥을 남겨놓고 있다. 특히 프리미엄 멤버쉽 서비스 일정표가 은근슬쩍 2015년 12월 까지 확장되는 등 수상한 움직임이 계속 되고 있고, 또한 다이스 LA지부의 협력 프로듀서인 "David Sirland"가 트위터에서 한 유저의 6번째 DLC에 대한 물음에 대해 "12월 9일에 6번째 DLC에 대한 거대한 소식이 있을거야"라고 답하는 등 6번째 DLC의 존재에 대해 언급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12월 9일 6번째 DLC에 대한 정보가 배틀로그 탑스토리를 통해 공개 되었다.

"파이널 스탠드는 끝난것이 아니며 우리는 여러분들이 배틀필드 4를 오랫동안 즐길 것을 희망하고 있다. 또한 배틀필드 4에는 앞으로도 더 많은 콘텐츠들이 있다는 것이다. 이에 관해서는 곧 다가올 미래에 정확한 내용을 공개 할 것이다. 차후 적절한 시기에 다시 소식을 알려 줄 것이다. 그리고, 여러분들이 원하는 클래식 맵들을 알고싶다. 우리에게 배틀필드 4에서 클래식 맵들을 다시 만들어 달라는 많은 요청이 들어왔었다. 우리들은 어떠한 맵을 리메이크를 하게 된다면 여러분들은 어떠한 맵을 원하는지 이 주제에 관해 여러분들의 생각을 정말로 궁금해 하고있다."

상기 했듯 다이스 측에서는 세컨드 어설트의 폭망을 자각하고 있었는지 현재 클래식 맵에 대한 리메이크를 계획하고 있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더불어 유저들이 어떤 맵이 리메이크 되길 원하는지 투표도 함께 실시하고 있는데 배틀필드 1942부터 배틀필드 3까지(번외편 포함)의 지난 배틀필드 시리즈의 맵 중 원하는 맵에 투표할 수 있다. 하지만 세컨드 어설트 투표 당시 오퍼레이션 파이어스톰은 하위권이었고 그랜드 바자르가 상위권이었는데 다이스 측에서 어느순간 투표결과를 못보게 막아놓고 결국 파이어스톰이 나온걸로 봐서는 이번에도 투표결과에 상관없이 리메이크가 쉬운맵으로 때울거라는 우려도 나왔다.

그리고 6번째 DLC의 존재를 밝혔던 다이스 LA지부의 프로듀서 "David Sirland"가 트위터에서 6번째 DLC와 앞으로의 콘텐츠들이 무료로 풀려야 한다는 한 유저의 멘션에 "Indeed, it does"라고 답하여 긍정하는 모습을 보여 유저들은 지금까지 프리미엄이나 배틀팩 팔이로 돈벌어 먹기에 급급했던 EA와 다이스의 행보에 대비되는 상황에 놀라움을 표현하기도 하고 다양한 의문을 표하고 있었다. 그리고 5월 11일, 공식적으로 이후 등장할 6번째 DLC를 포함한 모든 추가 컨텐츠는 무료로 제공된다고 선언, 추가 컨텐츠는 비 프리미엄 유저를 포함한 모든 유저에게 제공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토록 다이스가 트위터를 통해 야간전 그리고 6번째 DLC 떡밥까지 내놓을 정도로 콘텐츠 확장 떡밥을 뿌리는 이유에는배틀필드 4는 현재 다이스 LA의 손에 맡겨져 있고, 다이스 LA가 대인배이기 때문이다. 다이스 스톡홀름은 전적으로 스타워즈 배틀프론트의 개발에 집중하고 있고,실질적으로 다이스 LA가 완전히 서포트및 버그 픽스를 하게 된 것.무책임한 다이스

이렇게 "6번째 DLC"라고 불리는 프로젝트가 시작된 후, 5종의 새로운 무기와 2개의 새로운 맵이 무료로 공개되었다. 하단 참조.

신규로 추가된 무료 컨텐츠를 업데이트만으로는 모두 즐길수 없다. 따라서 무료 컨텐츠라 하더라도 다른 유료 DLC 처럼 제품 구매 사이트에가서 구입후 설치를 따로 해줘야 해당 DLC펙을 확실히 즐길수가 있으니 참조하자. 덧붙이자면 무료이니 당연히 추가로 드는 비용은 없다.

7.1 무기 상자 Weapon Crate

2015년 5월 26일 적용된 6번째 DLC 프로젝트의 첫 패치. 봄 패치라고도 부르며, 건 마스터 모드, 5개의 새로운 무기들이 추가됨과 동시에 전체적인 총기 밸런스들이 새롭게 다시 짜여졌다.

  • 새로운 5가지 보병 무기 추가. 모든 유저에게 무상 지급되었다.
  • AN-94 - 돌격소총
  • GROZA-4 - PDW
  • L86A2 - 경기관총
  • GROZA-1 - 카빈.
  • MARE"S LEG - 보조무기.
  • 건 마스터 모드 추가. 전작의 클로즈 쿼터스 확장팩에 들어간 바 있다.
  • 게임 플레이 개선
  • 넷코드 수정 또...
  • 열화상, 적외선 조준경의 가시성 변경
  • 제압 모델 변경. 전작의 총기 명중률 변경의 형태로 바뀌었다.
  • UCAV에 위치 확인용 조명과 60초의 사용 대기 시간이 생김.
  • 마찬가지로 박격포에도 30초의 사용 대기 시간이 생김.
  • 총알들에 예광탄 효과가 추가, 궤적이 잘 보이게 됨.
  • 보병 탐지 가능 거리가 1200m에서 100m로 축소.
  • 무기 밸런싱. 더 자세한 사항은 배틀필드 4/병과 항목 참조.
  • 헤드 글리치 수정. 이제 저격 소총과 DMR의 기본 영점은 100m(소음기 장착 시 75m가 되었다. 간단히 이야기 하자면, 게임 안에서 총알 모델이 총구에서 나오지 않고 화면 중앙, 즉 조준경에서 나오는 것을 의미한다. 사진으로 설명하면 이렇다. 그 때문에 엄폐물 밖으로 머리만 나오고 총구는 나오지 않았는데 맞는 현상이 제거되었다.
  • 샷건 벅샷의 대미지 모델 변경.
  • 섬광탄의 위력 증가.
  • 부착물들의 효과 조정 및 너프.
  • 일부 장비 발사체의 장탄수 감소.(예: TV 미사일)

7.2 나이트 오퍼레이션 Night Operations[16] 268435456.gif

2015년 8월 6일, 여름 패치와 무료 DLC인 "나이트 오퍼레이션"이 발표되었다. 2015년 9월 1일 적용.

  • 자보트 311의 야간전 맵인 자보트: 야간 근무(Zavod: Graveyard shift) 추가. 다만 이는 여름 패치에 적용되는 것이 아닌, 오리진의 무료 DLC를 다운로드해야 사용할 수 있다.
  • 야간전 맵에서는 모든 장비가 헤드라이트를 달고 나온다.
  • 그리고 적외선, 열화상의 가시성이 이 맵 한정으로 개선된다.
  • 네트워크
  • 넷코드 개선 이건 일상이지
  • 개선된 통신 주기(60hz, 120hz) 서버의 이용이 가능해지고, 배치 화면에서 값 확인 가능.
  • 차량 밸런스 개선. 자세한 것은 배틀필드 4/장비, 배틀필드 4/병과 항목 참조.
  • 지상 차량 포탑 조작 시스템 변경. 손맛이 달라졌어 손맛이
  • 공중 장비 내부 유리의 반사도 등의 개선.
  • 차량의 노출된 좌석에 있는 적에게 어떤 타입의 미사일로도 대미지를 줄 수 없었던 문제를 수정
  • 나이트비전에 대한 제트스키의 후류효과(Wake Effect)를 수정
  • 전차 FLIR(열화상)/IRNV(적외선) HUD의 밝기를 2에서 0.45로 감소시킴
  • 차량 FLIR의 블룸효과 스케일을 줄임
  • PLD IRNV의 거리를 (차량/병사) 300/45 에서 375/100으로 늘림
  • 공격헬기 스마트 로켓 너프.
  • 대공전차의 20mm/30mm 기관포의 밸런스 수정. 20mm는 사거리가, 30mm는 스프레드가 증가했다.
  • 락온 미사일의 대미지 모델을 충격 대미지로 변경. 또한 락온 각도 제한이 생김. 그리고 전체적인 락온 시간 감소.
  • TV 미사일의 보병 대미지 비율, 조작성이 증가. 보병을 잡을 수 있게 되었다.
  • JDAM의 새로운 폭발 효과. 대미지의 변화는 없음.
  • 보병 밸런스 변경.
  • 총탄 궤적 예광탄 효과 개선.
  • 섬광탄 대거 수정.
  • 제압 효과 증가.
  • 2발까지만 들고 다닐 수 있음.
  • 지속 시간이 10초에서 1.5초로 줄어듦.
  • 유효 각도 감소 및 아군의 섬광 효과 시간 감소.
  • 노출된 좌석이 아니면, 차량 내부에서는 효과를 받지 않음.
  • M15 대전차지뢰에 붉은 조명 추가.
  • AN-94에 양각대 장착 가능, 기본으로 언락됨.
  • Mare"s leg에 헤비 배럴 장착 가능.
  • 리볼버류/DEAGLE .44/슬러그탄 사용시 헤드샷 비율이 2.13배로 변경, 더 이상 원거리에서 헤드샷 한 방이 불가능해졌다.
  • 게임 플레이 개선
  • RPK-74M은 RPK로, L96A1은 L115로 명칭이 바뀜: 이유는 지난 패치로 인하여 두 총기의 사용 탄종이 바뀌어 더 이상 그 이름으로 부를 수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자세한 것은 각각의 총기 항목과 병과 항목 참조.
  •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했던 재장전 버그가 드디어 해결.
  • 새로운 팀 밸런스 시스템.
  • 서버 프리셋(노멀, 클래식, 하드코어)를 배치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음.
  • 병사 좌우 이동 속도 감소.
  • 새로운 현실적인 사운드 시스템 적용.
  • 일부 3인칭 그래픽 수정.
  • PC과 서버의 성능을 볼 수 있는 아이콘이 좌측 상단에 표시됨. 예를 들어 핑이 높은 서버에 들어가면 핑 높음 아이콘이 뜨는 식.
  • 많은 오류 수정.
  • 배틀로그에서 NPAPI 기반의 플러그인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음. 덕분에 구글 크롬 유저들이 겪었던 플러그인 제한 문제가 해결되었다.
  • 새로운 플러그인 시스템은 오리진 기반으로 작동된다. 때문에 게임 실행을 위해 오리진을 작동시켜야 한다. 서버를 바꿀 때 게임을 종료하고 실행해야 하는 등 아직까지는 NPAPI 기반 플러그인보다는 불편하다.

7.3 커뮤니티 오퍼레이션 Community Operations[17] 8589934592.gif

400px

고기동 차량이 등장할때 익숙한 목소리가 들린다. 탑승자가 서포터인건 덤[18]내내 안습인 인민해방군에게 묵념 게다가 람보코스프레 하는 보급병 하나한테 열심히 털리기까지 한다

10월 1일, 두 번째 무료 DLC인 "커뮤니티 작전"이 발표되었다. 지난 5월부터 진행된 "커뮤니티 맵 프로젝트"의 최종 결과물인 아웃브레이크 작전(Operation Outbreak) 맵이 포함될 예정이다. 10월 27일 적용.
자세한 패치 내역들은 패치 적용시 추가 예정.
전체 패치 노트원본

  • 커뮤니티 맵 아웃브레이크 작전 추가. 자보트: 야간 근무의 경우처럼 무료 DLC를 다운로드해야 사용할 수 있다.
  • 새로운 노획 무기 M60 ULT가 등장한다.[19]
  • 넷코드 개선
  • 서버에서 높은 틱레이트(60hz, 120hz, 144hz)를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배틀로그 상에서 검색할 수 있게 됨.
  • 보병 달리기 배율, 점사, 반동, 스프레드 등이 높은 틱레이트에 맞춰 계산되게 됨.
  • 러버 밴딩을 강력하게 제어하는 기능 탑재.
  • 퍼포먼스 인디케이터 아이콘에 주황/빨간색을 추가, 더 자세하게 표현된다.[20]
  • 프레임 기록 시간에서 보병, 장비와 관련되지 않은 모든 것이 0.125 기록값을 바탕으로 작동함, 핑이 250 이하라면 제대로 타격됨
  • 장비 기록값을 1.0으로 설정해 높은 속도 혹은 높은 핑에서 작동하는 경우에 올바르게 리드샷이 적용되도록 변경
  • 차량, 보병 밸런스 대규모 수정.
  • 전 탑승장비 및 부착 무기의 밸런싱. 자세한 변경 사항은 배틀필드 4/차량 문서 및 위 패치 노트 참조.
  • 공중 장비의 하단 레이더가 추가되었다. 회전익기는 25m, 고정익기는 50m 이하의 고도에 있을 때 AA의 미사일 락온이 되지 않는다.
  • 고정익기가 정찰헬기에 기존에 비해 대미지를 20% 많이 주게 됨.
  • 고속정의 각도 피해 추가. 대장비 무장에 피격당할 시 입사각이 직각에 가까울수록 피해를 더 많이 입는다.
  • 주력전차의 속력 및 기동성 증가 [21]
  • 보병전투차량의 주포 각도 제한이 25도까지로 증가.
  • 샷건의 펠릿 당 대미지 감소.
  • 반자동 샷건 (QBS-09 제외)과 UTS-15의 펠릿 수 감소.
  • 대미지 하락 거리 감소.
  • 재보급 시간 변경
  • 공병의 대전차 장비, C4는 8초로 대폭 증가.
  • XM-25/M320(화살탄 제외)는 7초로 변경. 화살탄의 경우 2.5초가 됨.
  • XM-25의 경우, 이제 한 발이 아니라 한 탄창씩 재보급된다.
  • 투척 무기의 경우 M67은 8초, 그 외에는 7초로 변경.
  • 박격포의 배치 대기 시간이 15초로 감소되었으며, SUAV처럼 60초마다 자동으로 재보급됨.
  • UCAV의 재보급 시간이 40초로 감소, 폭발 범위 증가 및 (공중) 폭발 피해 감소.
  • C4의 대규모 너프.
  • 폭발 피해량이 400으로 감소, 중장갑 차량을 기준으로 개당 40의 만큼의 피해가 들어가기 때문에 내구도가 100%인 중장갑 차량을 격파하려면 C4 3개 이상이 필요하다. 패치 전에는 개당 피해량 50으로 2개면 격파가 가능했다.
  • 폭발 반경, 최대 폭발 피해 범위 감소. 거의 반토막이 났다.
  • PLD의 레이저 조준 거리 및 가시 거리가 500m로 증가.
  • 대공 지뢰 대거 수정
  • 이제 대공 지뢰는 대장비 무장과 함께 장착할 수 있다.
  • 피해량이 증가했으며, 락온 대기시간 없이 바로 발사된다. 하지만 사정거리가 75m로 대폭 감소되었다.
  • 최대 소지량이 1개로 제한됐다.
  • 보병 탑승칸이 있는 차량 내에서 락온 무장을 들 수 없게 되었다. 대놓고 정찰헬기나 수송헬기에 타고 대공 미사일을 쏴대던 공병들을 저격하는 패치다(...) 비 락온 무장은 패치 전처럼 사용 가능.
  • 이제 적외선/열화상 조준경으로 연막 너머를 볼 수 없으며, 연막에 3D 탐지를 해제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 게임 플레이 개선
  • 점수 체계 변경
  • 컨퀘스트 깃발 점령 점수가 400점, 오블리터레이션 폭발 줍기 점수가 150점, 러시 M-COM 파괴 / 폭탄 해체 점수가 500점으로 대폭 증가.
  • 컨퀘스트, 오블리터레이션, 러시 승리 약장 점수 증가.
  • 명사수 보너스 점수가 거리 관계 없이 25점이 됨.[22]
  • 미니맵 개선
  • 배틀필드 하드라인처럼, 각 점령지의 영역이 미니맵에 표시됨.
  • 역시 하드라인처럼 미니맵 상 보병의 고도 표시 지원.
  • 분대 명령 기능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분대장을 분대원이 직접 해임할 수 있게 되었다. 이제 분대장이 분대 명령 요청을 받고도 30초간 아무런 명령을 내리지 않을 경우 분대장 지위가 분대 명령을 요청한 플레이어에게 넘어간다. 이 분대는 이제 제 겁니다

작성 중 보병과 장비에 관련 패치 더 자세한 내용 있다면 추가바람

7.4 레거시 오퍼레이션 Legacy Operations[23]17179869184.gif

사운드트랙은 여기서. 배틀필드 2의 중국군 진영 테마를 편곡했으며, 편곡된 풀버전은 여기로.. 미군 전차들의 진격과 F-35의 신들린 무빙이 인상적인 트레일러다.어째 이번에도 인민해방군은 털리는 역할이다.

2015년 11월 13일 발표된 세 번째 무료 DLC. 배틀필드 2의 "드래곤 밸리" 맵의 항구 부분을 배틀필드 3의 "노샤르 운하"로 바꿔 리메이크한 드래곤 밸리 2015와 제공권 모드가 포함될 예정이다. 12월 15일 적용.

패치노트 원문

  • 클래식 맵 드래곤 밸리 2015 추가.
  • 당초 알려진 드래곤 밸리와 노샤르 운하는 "드래곤 밸리 2015"라는 하나의 맵으로, 노샤르 운하에서는 팀 데스매치, 도미네이션 등의 보병전 모드만 가능하다. 반대로 드래곤 밸리에서는 컨퀘스트 등의 장비전 모드만 가능.
  • 보병 변경점. 자세한 사항은 배틀필드 4/장비 문서 참조.
  • 배틀로그 표기 오류 대거 수정
  • QBU-88, SKS의 대미지 감소 거리 감소.
  • 수리 도구의 장비 탑승 수리 효율이 원래대로 돌아옴.
  • 낙하산 커스터마이징이 프리미엄 유저가 아니어도 사용이 가능해짐.

DLC 추가시 맵항목에도 추가바람

7.5 정식으로 출시되지 못한 맵들

  • 상하이 봉쇄의 야간 버전인 '상하이 잠입(Infiltration Of Shanghai)'
  • '거얼무 철로의 야간 버전'
아래 발매된 "자보트: 야간 근무"와 더불어 CTE에서 테스트되었으나 기술적인 문제로 인해 정식 출시 일자는 기약이 없었고, 2016년 3월 18일경 DICE LA 수석 엔지니어의 트위터를 통해 배틀필드 4의 사후지원이 종료됨이 알려져 앞으로 저 두 맵들은 추가될 일이 없어졌다. 광원 관련 기술을 구세대 콘솔이 받아들이지 못해 난항을 겪다 폐기되었다는 모양. 또 니들이냐아ㅏㅏ 참고로, 이미 상술되었지만 네이벌 스트라이크의 추가 모드가 노잼이 된데는 구세대 콘솔이 한 몫 한 바 있다. 두 맵 모두 CTE에서의 평가가 상당히 좋았기 때문에 매우 아쉽다는 반응이 대다수이다. 배틀필드 4/맵 문서에서 해당 맵의 설명을 볼 수 있다.
  1. 배틀필드 배드 컴퍼니 2에 등장했던 볼트 액션 소총.
  2. 오만 만, 파이어스톰 작전 맵에만 등장한다
  3. 태국 방콕에 있는 공원
  4. 평양을 배경으로 한 맵이다!
  5. M14를 불펍으로 개량한 버전
  6. SIG사에서 만든 PDW.
  7. 데이빗 톱이라는 전미 고위력 라이플 사격대회의 챔피언이 개발한 TUBB2000을 기반으로 제작된 볼트 액션 소총. 메달 오브 아너: 워파이터에 등장했다.
  8. 타 FPS에서 흔히 나오는 .50구경 모델이 아닌 .44 구경 모델이다. 그래서 장탄수는 8+1발.
  9. 이렇게 될 경우 미국입장에서는 미래가 밝지 않은데, 2142의 세계에서는 미국을 비롯한 미 대륙 전체가 빙하로 뒤덮이기 때문이다.
  10. 밑밥 자체는 제대로 깔려있긴 하다. 배틀필드 4 본편에서도 얻을 수 있는 2142의 대검의 주석에서 서술하길, 미래의 전장에서 쓰일 대검이란다.
  11. 해당 영상의 Colonel 100(공로스타 100 대령)의 약자이다(...)
  12. 배틀필드 프렌즈의 대령은 양각대와 홀로그램 사이트가 부착된 바요넷을 들고 다녔다.
  13. 섬광탄으로 10명 제압 달성, 파이널 스탠드 확장팹 맵 하나 플레이, 근접 3킬.
  14. 그냥 뒤집히는 정도가아니라 맵밖으로 튕겨나가는수준(...)
  15. 이외 bow등 활 관련 명칭으로 검색해도 된다.
  16. 여름 패치라고도 부른다.
  17. 가을 패치라고도 부른다.
  18. 0:42초쯤 나온다. 사실 배틀필드 시리즈에서 늅포터나 기타 인물들이 이스터에그나 깜짝요소로 등장하는건 그리 적지 않은 편.
  19. 헬기 잔해에 부착되어 있어 떼어서 쓸수 있다.
  20. 심각도에 따라 주황~빨강으로 표기된다.
  21. M1 에이브럼스가 타국가의 주력전차 수준..도 아니고 상위호환급 기동성을 자랑할 수준으로 굉장히 빨라졌다!
  22. 원래는 m 단위 거리만큼 보너스를 줘서 자리를 잘 잡고 저격을 하면 엄청난 점수가 들어왔다.
  23. 공휴일(Holiday) 패치라고도 부른다.